$\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딥러닝 기반 얼굴 위변조 검출 기술 동향 원문보기

방송과 미디어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v.25 no.2, 2020년, pp.52 - 60  

김원준 (건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생체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를 모바일 기기에 적용하는 사례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얼굴 기반 인증 방식은 비접촉식이며 사용이 편리하여 적용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얼굴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이용한 위변조가 용이하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 내 보안 유지에 어려움을 야기한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심층신경망 기반 얼굴 위변조 검출 연구의 최신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기본 합성곱 신경망 구조부터 생성모델 기반의 위변조 검출 방법까지 다양한 신경망 구조를 이용한 위변조 검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심층신경망 학습을 위해 사용되는 얼굴 위변조 데이터셋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고에서는 얼굴 위변조 검출 기술, 특히, 심층학습을 이용한 얼굴 위변조 검출 최신 기술 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모바일 기기를 위한 생체 인증 기술, 특히, 얼굴 인증 기술이 꾸준히 발전하고 있지만, 다양한 위변조 공격으로 인해 고성능 보안 시스템 구축에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
  • 본 고에서는 이와 같이 심층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얼굴 영상 기반 위변조 검출의 최신 기술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II 장에서는 최근 주요 학회에서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심층신경망 기반 얼굴 위변조 검출 기술의 연구 방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 이번 장에서는 얼굴 위변조 검출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셋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대부분 RGB 칼라 색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사진 출력과 종이로 제작된 마스크 및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위변조 영상을 포함하고 있다.
  • 얼굴 위변조 검출 방법은 영상 내 텍스처(Texture) 정보를 이용한 검출 방법과 심층학습을 이용한 검출 방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모든 픽셀 위치에서 주변 픽셀 값과의 비교 결과를 이진 패턴으로 인코딩하는 기술자(Local BinaryPattern, LBP) [1]를 이용하여 실제 얼굴과 위변조 얼굴의 차이를 구별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고해상도 영상 제작이 가능해지면서 실제 얼굴과 위변조 얼굴 간 미세한 표면 차이를 픽셀 밝기 값의 관계만으로 구별하기 매우 어려우며, 다양한 위변조 형태를 효과적으로 학습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얼굴 위변조 검출방법 중, 심층신경망 기반 방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즉, 입력 영상은 적층 구조의 합성 곱 계층을 반복적으로 통과하면서 얼굴 위변조 검출을 위한 잠재 특징(Latent Feature)으로 압축되며 이를 기반으로 심층신경망 기반 방법은 기존 영상 특징 대비 검출 정확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였다. 이러한 심층신경망 기반 방법은 다양한 위변조 공격 형태를 모델 용량 증가 없이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깊은 적층 구조(Deeply Stacked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위변조 얼굴 영상의 다양한 비선형적 변형 또한 성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그러나 학습 데이터셋에 존재하지 않는 위변조 공격에 대해서는 매우 취약하며, 기존 영상 텍스처 기반 위변조 검출 방법 대비 수행속도가 느린 문제점이 있다.
얼굴 위변조 검출 방법은 크게 어떠한 방법으로 나뉘는가? 얼굴 위변조 검출 방법은 영상 내 텍스처(Texture) 정보를 이용한 검출 방법과 심층학습을 이용한 검출 방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모든 픽셀 위치에서 주변 픽셀 값과의 비교 결과를 이진 패턴으로 인코딩하는 기술자(Local BinaryPattern, LBP) [1]를 이용하여 실제 얼굴과 위변조 얼굴의 차이를 구별하고자 노력하였다.
영상 내 텍스처(Texture) 정보를 이용한 검출 방법의 한계는 무엇인가? 전자의 경우, 모든 픽셀 위치에서 주변 픽셀 값과의 비교 결과를 이진 패턴으로 인코딩하는 기술자(Local BinaryPattern, LBP) [1]를 이용하여 실제 얼굴과 위변조 얼굴의 차이를 구별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고해상도 영상 제작이 가능해지면서 실제 얼굴과 위변조 얼굴 간 미세한 표면 차이를 픽셀 밝기 값의 관계만으로 구별하기 매우 어려우며, 다양한 위변조 형태를 효과적으로 학습하는 데 한계가 있다. 한편, 영상 인식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여준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을 얼굴 위변조 검출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시작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Y. Atoum, Y. Liu, A. Jorabloo, and X. Liu, "Face anti-spoofing using patch and depth-based CNNs," in Proc. IEEE Int. J. Conf. Biometrics, pp. 319-328, Oct. 2017. 

  2. H. Li et al., "Learning generalized deep feature representation for face anti-spoofing," IEEE Tr. Inform. Forensics and Secur., vol. 13, no. 10, pp. 2639-2652, Oct. 2018. 

  3. Y. Liu, A. Jourabloo, and X. Liu, "Learning deep models for face anti-spoofing: binary or auxiliary supervision," in Proc. IEEE CVPR, pp. 389-398, Jun. 2018. 

  4. X. Yang, W. Luo, L. Bao, D. Gong, S. Zheng, Z. Li, and W. Liu, "Face anti-spoofing: model matters, so does data," in Proc. IEEE CVPR, pp. 3507-3516, Jun. 2019. 

  5. A. Jourabloo, Y. Liu, and X. Liu, "Face de-spoofing: anti-spoofing via noise modeling," in Proc. European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ECCV), Sep. 2018. 

  6. Y. Liu, J. Stehouwer, A. Jourabloo, and X. Liu, "Deep tree learning for zero-shot face anti-spoofing," in Proc. IEEE CVPR, pp. 4675-4684, Jun. 2019. 

  7. R. Shao, X. Lan, J. Li, and P. C. Yuen, "Multi-adversarial discriminative deep domain generalization for face presentation attack detection," in Proc. IEEE CVPR, pp. 10015-10023, Jun. 2019. 

  8. A. Liu et al., "Multi-modal face anti-spoofing attack detection challenge at CVPR 2019," in Proc. IEEE CVPRW, Jun. 2019. 

  9. T. Shen, Y. Huang, and Z. Tong, "FaceBagNet: bag-of-local-features model for multi-modal face anti-spoofing," in Proc. IEEE CVPRW, Jun. 2019. 

  10. K. He, X. Zhang, S. Ren, and J. Sun, "Deep residual learning for image recognition," in Proc. IEEE CVPR, pp. 770-778, Jun. 2016. 

  11. O. Nikisins, A. George, and S. Marcel, "Domain adaptation in multi-channel autoencoder based features for robust face anti-spoofing," in Proc. ICB, pp. 1-8, Jun. 2019. 

  12. H. Chen, Y. Chen, X. Tian, and R. Jiang, "A cascade face spoofing detector based on face anti-spoofing R-CNN and improved Retinex LBP," IEEE Access, vol. 7, pp. 170116-133, Dec. 2019. 

  13. X. Tu, H, Zhang, M. Xie, Y. Luo, Y. Zhang, and Z. Ma, "Enhance the motion cues for face anti-spoofing using CNNLSTM architecture," in arXiv 1901.05635, Jan. 2019. 

  14. J. Guo, X. Zhu, J. Xiao, Z. Lei, G. Wan, and S. T. Li, "Improving face anti-spoofing by 3D virtual synthesis," in Proc. ICB, pp. 1-8, Jun. 2019. 

  15. Z. Zhang, J. Yan, S. Liu, Z. Lei, D. Yi, and S. Z. Li, "A face antispoofing database with diverse attacks," in Proc. ICB, 2012, pp. 26-31. 

  16. I. Chingovska, A. Anjos, and S. Marcel, "On the effectiveness of local binary patterns in face anti-spoofing," in Proc. IEEE BIOSIG, Sep. 2012, pp. 1-7. 

  17. K. Patel, H. Han, and A. K. Jain, "Secure face unlock: spoof detection on smartphones," IEEE Tr. Inform. Forensics and Secur., vol. 11, no. 10, pp. 2268-2283, Oct. 20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