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숙도에 따른 복분자 열매의 미백 활성 비교
Comparison of whitening effect of Rubus coreanus fruit according to maturit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3 no.2, 2020년, pp.121 - 128  

박정용 (농촌진흥청 인삼특작부) ,  이지연 (농촌진흥청 인삼특작부) ,  서경혜 (농촌진흥청 인삼특작부) ,  장귀영 (농촌진흥청 인삼특작부) ,  이승은 (농촌진흥청 인삼특작부) ,  지윤정 (농촌진흥청 인삼특작부) ,  김형돈 (농촌진흥청 인삼특작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 열매의 성숙도에 따른 미백 활성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B16F10 cell에서 melanin 생성량을 측정하고, 기능성분인 ellagic acid의 함량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ellagic acid의 함량에 따른 tyrosinase 저해 활성도 측정하였다. B16F10 cell에서 MRF 및 IRF 추출물은 200 ㎍/mL 농도까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Melanin 생성량은MRF 추출물에 비해 IRF 추출물에서 더 좋은 억제 활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복분자 성숙도에 따른 ellagic acid의 함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 MRF 추출물에 비해 IRF 추출물에서 ellagic acid의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고, tyrosinase 저해 활성 평가에서도 MRF 추출물에 비해 IRF 추출물에서 더 좋은 억제 활성을 보였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MRF 추출물에 비해 IRF 추출물에서 ellagic acid의 함량이 더 높았으며, 이로 인해 tyrosinase의 저해 및 melanin 생성 억제 또한 IRF 추출물에서 더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복분자 미성숙과는 천연 미백 소재로써 우수한 기능성 화장품 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Rubus coreanus fruit (RF) is an important traditional medicinal herb having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immunoregulatory properties. These activities are known to change dramatically, depending on maturity of the RF. It is presumed that change of functional components, such a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RF와 IRF의 미백 활성을 비교하고, 활성 차이의 원인인 기능성분을 탐색하였으며, 천연물 미백소재로써 복분자 열매를 활용하기 위한 적절한 수확 시기를 확인하였다.
  • Ellagic acid는 천연 생체활성물질로 항산화제로써 직접 작용하거나 세포 내 항산화 효소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23], 복분자의 성숙도에 따라 염증 반응에 효과가 있는 ellagic acid의 함량이 달라져 항염증 활성의 차이를 나타냈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 [24]. 또한 ellagic acid의 미백 활성이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tyrosinase의 inhibitor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25], 본 연구에서는 성숙도에 따른 복분자 열매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MRF (8%)에 비해 IRF 추출물 (40%)에서 억제 활성이 좋게 나타났으며 추출물의 ellagic acid함량과 비례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 본 연구 이전의 선행 연구에 따르면 MRF와 IRF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을 때 IRF의 항산화 활성이 3배 이상 효과가 있었다 [11]. 멜라닌의 생성은 자외선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생성이 촉진이 되어 이를 막기 위한 항산화 물질이 멜라닌 생성의 억제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기 때문에 [22], 성숙도에 따른 복분자 추출물이 항산화능에 비례하여 미백 활성에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MRF와 IRF 추출물 처리 후 melanin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MRF 추출물은 melanin 생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IRF 추출물은 우수한 melanin 억제 활성을 보여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분자 열매의 유효성분 중 생리활성에 관여하는 것은? 한방에서 덜 익은 복분자 열매를 약재로 사용하였으며 간, 신장 보강 및 빈뇨 치료에 사용 하였다 [9]. 복분자는 항산화, 항염증 및 항바이러스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 으며 [10], 복분자 열매의 생리활성 성분은 cyanidin 3-O-glucoside, cyanidin 3-O-xylosylrutinoside, cyanidin 3-O-rutinoside 등 안토시아닌 성분과 ellagic acid 및 phenolics 등이 알려져 있다 [11]. 또한 복분자는 성숙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에 차이를 보인다고 보고되었다 [12].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됐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피부는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가장 먼저 노출된다.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이 되면 화상, 염증, 피부 조직 손상을 야기하고 자외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색소 침착 및 피부암을 유발할수 있다 [1]. 멜라닌은 세포질 내 멜라노좀에서 합성이 되며 사이토카인 (cytokine), 성장인자 (growth factor) 및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들에 따라서 조절된다 [2,3].
복분자 열매란? 복분자 열매 (Rubus coreanus fruit, RF)는 black rasberry라 불리는 장미과 야생 딸기이며 한국, 중국 및 일본에서 자생한다 [7]. 5–6월에 꽃이 피고 7–8월에 열매가 성숙하여 완전히 익는다 [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Park JY, Lee JY, Lee DY, Kim HD, Kim GS, Lee SE, et al. Melanogenesis inhibitory effect of steamed Platycodon grandiflorum on B16F10 cells. Asian J Beauty Cosmetol 2019; 17(1): 37-46. 

  2. Jeon S, Hwang W, Hong Y, Kim M, Ahn E, Park S. Inhibitory effects of Hericium erinaceus extracts on melanin synthesis and oxidative stress. Asian J Beauty Cosmetol 2016; 14(4): 427-435. 

  3. Videira IF, Moura DF, Magina S. Mechanisms regulating melanogenesis. An Bras Dermatol 2013; 88(1): 76-83. 

  4. Heitz MP, Rupp JW, Horn KW. Biocatalytic activity of mushroom tyrosinase in ionic liquids: specific ion effects and the Hofmeister series. Insights Enzym Res 2018; 2(1): 1. 

  5. Oh TI, Yun JM, Park EJ, Kim YS, Lee YM, Lim JH. Plumbagin suppresses $\alpha$ -MSH-induced melanogenesis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s by inhibiting tyrosinase activity. Int J Mol Sci 2017; 18(2): E320. 

  6. Yamakoshi J, Otsuka F, Sano A, Tokutake S, Saito M, Kikuchi M, et al. Lightening effect on ultraviolet-induced pigmentation of guinea pig skin by oral administration of a proanthocyanidin-rich extract from grape seeds. Pigment Cell Res 2003; 16(6): 629-638. 

  7. Lee SM, You Y, Kim K, Park J, Jeong C, Jhon DY,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of native Gwangyang Rubus coreanus Miq.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41(3): 327-332. 

  8. Jeong HS, Han JG, Han JH, Kim Y, Oh SH, Kim SS,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and skin-whitening effects of nano-encapsuled water extract from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Med Crop Sci 2009; 17(2): 83-89. 

  9. Park T, Yang K, Chang S, Kim SY. Anti-inflammatory effect of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 from Jeju Island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KSBB J 2019; 34(3): 167-172. 

  10. Han HM. Inhibitory effects of Terminalia chebula, Sanguisorba officinalis, Rubus coreanus and Rheum palmatum on hepatitis B virus replication in HepG2 2.2. 15 cells. Yakhak Hoeji 1999; 43(4): 458-463. 

  11. Seo KH, Lee JY, Park JY, Jang GY, Kim HD, Lee YS, et al. Differences in anti-inflammatory effect of immature and mature of Rubus coreanus fruits on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via NF- ${\kappa}B$ signal pathways.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9; 19(1): 89. 

  12. Kim LS, Youn SH, Kim JY.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and Rubus occidenta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4; 43(9): 1357-1362. 

  13. Han SB, Kwon SS, Kong BJ, Kim KJ, Park SN. Antioxidative effec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unripened fruit extract of Rubus coreanus Miquel. J Soc Cosmet Sci Korea 2013; 39(4): 295-302. 

  14. Kim GS, Lee DY, Lee SE, Noh HJ, Choi JH, Park CG, et al. Evaluation on extraction conditions and HPLC analysis method for bioactive compounds of Astragali radix. Korean J Med Crop Sci 2013; 21(6): 486-492. 

  15. Hosoi J, Abe E, Suda T, Kuroki T. 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by 1 alpha, 25-dihydroxyvitamin D3 and retinoic acid. Cancer Res 1985; 45(4): 1474-1478. 

  16. Chae KS, Son RH, Park SY, Kim KA, Lee TB, Kwon JW.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of ellagic acid as a marker compound for the standardization of black raspberry extract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od Eng Prog 2014; 18(4): 355-358. 

  17. Rivas M, Rojas E, Araya MC, Calaf GM. Ultraviolet light exposure, skin cancer risk and vitamin D production. Oncol Lett 2015; 10(4): 2259-2264. 

  18. Svendby TM, Hansen GH, Backlund A, Dahlback A. Monitoring of the atmospheric ozone layer and natural ultraviolet radiation. Annual report 2018. Kjeller: Norwegian Institute for Air Research; 2019. 

  19. Yoon Y, Bae S, An S, Choe YB, Ahn KJ, An IS.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on the skin and skin cell signaling pathways. Korean J Aesthet Cosmetol 2013; 11(3): 417-426. 

  20. Mun YJ, Kim J, Lim NY, Lee SY, Seop G, Hwang CY, et al. Inhibitory effect on melanogenesis of Radix glycyrrhizae water extract. J Physiol Pathol Korean Med 2002; 16(6): 1230-1235. 

  21. Chen H, Zuo Y, Deng Y.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flavonoids and other phenolic compounds in cranberry juice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gr A 2001; 913(1-2): 387-395. 

  22. Jang TW, Park JH.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s from the immature seeds of Abeliophyllum distichum. J Life Sci 2017; 27(5): 536-544. 

  23. Vattem D, Shetty K. Biological functionality of ellagic acid: a review. J Food Biochem 2005; 29(3): 234-266. 

  24. Yang HM, Lim SS, Lee YS, Shin HK, Oh YS, Kim JK. Comparison of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and Rubus occidentali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7; 39(3): 342-347. 

  25. Ortiz-Ruiz CV, Berna J, Tudela J, Varon R, Garcia-Canovas F. Action of ellagic acid on the melanin biosynthesis pathway. J Dermatol Sci 2016; 82(2): 115-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