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영양소 섭취와 식이다양성이 중년 이후 성인과 노인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trient intake and dietary diversity score on osteoporosis of middle-aged adults and elderly based on 2015-201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3 no.2, 2020년, pp.155 - 174  

권세혁 (한남대학교 비즈니스통계학과) ,  이정숙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 6기 3년차 (2015년), 제 7기 1, 2년차 (2016년,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50세 이후 연령층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수준, 음주, 흡연 및 신체활동 및 BMI 중 골다공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통제변인으로 적용한 후 영양소 섭취 수준과 DDS가 골다공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골다공증으로 의사 진단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골다공증 환자군, 골다공증 의사 진단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 정상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정상군으로 분류된 대상자 중 환자군으로 분류한 대상자와 성, 연령 및 사회경제적 수준에 매칭되는 경우만을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라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도는 75세 이상 연령군에 비해 50-64세 연령군에서 2.38배 정도 낮았으며, 모든 연령군에서 여자의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이 8.85배 이상 높았다. 골다공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통제변인으로 50-64세 연령군의 경우 성, 연령, 가구내 소득수준, 교육수준이었고, 65-74세 연령군의 경우 성, 교육수준, 음주, BMI이었으며, 75세 이상 연령군의 경우 성, 연령, 현재 흡연, 음주, BMI, 에너지 섭취량이었다. 모든 연령군에서 탄수화물, 단백질 (동물성, 식물성), 지방, 식이섬유, 칼슘, 인, 나트륨, 칼륨, 비타민 B1, 비타민 B2, 니아신, 콜레스테롤 섭취량 증가는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을 낮추었으나 연령군별 통제변인을 적용할 경우 완전통제 되어 영양소 섭취량은 골다공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단백질, 인, 철, 비타민 B1을 EAR 이상 섭취 시 모든 연령군에서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을 19% 이상, 비타민 B2와 칼슘을 EAR 이상 섭취 시 65세 이상 연령군에서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을 31% 이상 예방하는 효과가 있었으나 통제변인 적용 시 65-74세 연령군에서 비타민 B2만이 부분통제 되었고, 이외 영양소는 모든 연령군에서 완전통제 되었다. DDS 수준은 50-64세, 75세 이상 연령군에서 2점 이하의 점수를 보일 경우 5점을 보인 대상자에 비해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이 각각 1.765배, 3.595배 높았으나, 각 연령군별 통제변인 적용 후 50-64세 연령군에서는 완전 통제되었고, 75세 이상 연령군에서는 부분통제 되었다. 본 연구결과 50세 이상 연령군에서 통제변인 적용 시 영양소 섭취량은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에 완전통제되었으나, 75세 이상의 노인 연령군에서 DDS는 통제변인에 의해 부분통제되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 연령층에서 DDS가 2점 이하의 낮은 점수를 보일 경우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겼다. 즉, 노인기 골다공증 예방 및 뼈 건강을 위한 식이치짐으로 곡류군, 육류·어류·콩류군, 채소군, 과일군, 우유 및 유제품군을 포함한 다양한 식품의 균형된 섭취를 권장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선정된 통제변인은 추후 50세 이상 연령군을 대상으로 골다공증 관련 연구 수행 시 보정변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trient intake and dietary diversity score (DDS) on osteoporosis after controlling for sex, age, socioeconomic level, drinking, smoking, physical activity, and body mass index (BMI) as mediators using the 2015-2017 Korean Natio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 6기 3년차 (2015년), 제 7기 1, 2년차 (2016년,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만 50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요인, 흡연, 음주, 신체활동 및 BMI를 통제변인으로 적용한 후 영양소 섭취와 식이다양성 점수가 골밀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또한 골다공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진 사회경제적 수준, 음주, 흡연, 신체활동 등을 통제변인으로 적용한 후 이들 식이요인이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 6기 3년차 (2015년), 제 7기 1, 2년차 (2016년,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50세 이후 연령층을 대상으로 연령군에 따라 분류한 후 사회경제적 수준, 음주, 흡연 및 신체활동 및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중 골다공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통제변인으로 적용한 후 영양소 섭취 수준과 식이다양성 점수가 골밀도 발생에 미치는 통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기 골다공증 예방 및 뼈 건강을 위해 권장하는 식이지침은? 본 연구결과 50세 이상 연령군에서 통제변인 적용 시 영양소 섭취량은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에 완전통제되었으나, 75세 이상의 노인 연령군에서 DDS는 통제변인에 의해 부분통제되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 연령층에서 DDS가 2점 이하의 낮은 점수를 보일 경우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겼다. 즉, 노인기 골다공증 예방 및 뼈 건강을 위한 식이치짐으로 곡류군, 육류·어류·콩류군, 채소군, 과일군, 우유 및 유제품군을 포함한 다양한 식품의 균형된 섭취를 권장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선정된 통제변인은 추후 50세 이상 연령군을 대상으로 골다공증 관련 연구 수행 시 보정변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0세 이후 연령층의 골다공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통제변인은? 85배 이상 높았다. 골다공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통제변인으로 50-64세 연령군의 경우 성, 연령, 가구내 소득수준, 교육수준이었고, 65-74세 연령군의 경우 성, 교육수준, 음주, BMI이었으며, 75세 이상 연령군의 경우 성, 연령, 현재 흡연, 음주, BMI, 에너지 섭취량이었다. 모든 연령군에서 탄수화물, 단백질 (동물성, 식물성), 지방, 식이섬유, 칼슘, 인, 나트륨, 칼륨, 비타민 B1, 비타민 B2, 니아신, 콜레스테롤 섭취량 증가는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을 낮추었으나 연령군별 통제변인을 적용할 경우 완전통제 되어 영양소 섭취량은 골다공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남성과 비교한 여성의 골다공증 위험 정도는?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라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도는 75세 이상 연령군에 비해 50-64세 연령군에서 2.38배 정도 낮았으며, 모든 연령군에서 여자의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이 8.85배 이상 높았다. 골다공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통제변인으로 50-64세 연령군의 경우 성, 연령, 가구내 소득수준, 교육수준이었고, 65-74세 연령군의 경우 성, 교육수준, 음주, BMI이었으며, 75세 이상 연령군의 경우 성, 연령, 현재 흡연, 음주, BMI, 에너지 섭취량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rceo-Mendoza RM, Camacho P. Prediction of fracture risk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a brief review. Womens Health (Lond) 2015; 11(4): 477-482. 

  2. Nuti R, Brandi ML, Checchia G, Di Munno O, Dominguez L, Falaschi P, et 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osteoporosis and fragility fractures. Intern Emerg Med 2019; 14(1): 85-102. 

  3. Seurer A, Huntington MK. Screening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S D Med 2015; 68(11): 497-501. 

  4. 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IOF). What is osteoporosis? [Internet]. Washington, D.C.: 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c2020 [cited 2020 Feb 13]. Available from: https://www.iofbonehealth.org/what-osteoporosis-0. 

  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2012 health behavior and chronic disease statistics.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6. 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IOF). Who's at risk? [Internet]. Washington, D.C.: 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c2020 [cited 2020 Feb 13]. Available from: https://www.iofbonehealth.org/whos-risk. 

  7. 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IOF). Preventing osteoporosis [Internet]. Washington, D.C.: 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c2020 [cited 2020 Feb 13]. Available from: https://www.iofbonehealth.org/preventing-osteoporosis. 

  8. Hamidi MS, Corey PN, Cheung AM. Effects of vitamin E on bone turnover markers among US postmenopausal women. J Bone Miner Res 2012; 27(6): 1368-1380. 

  9. Holvik K, Meyer HE, Laake I, Feskanich D, Omsland TK, Sogaard AJ. Milk drinking and risk of hip fracture. The Norwegian Epidemiologic Osteoporosis Studies (NOREPOS). Br J Nutr 2018; 121(6): 1-21. 

  10. Hong H, Kim EK, Lee JS. Effects of calcium intake, milk and dairy product intake, and blood vitamin D level on osteoporosis risk in Korean adults: analysis of the 2008 and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 Res Pract 2013; 7(5): 409-417. 

  11. Regu GM, Kim H, Kim YJ, Paek JE, Lee G, Chang N, et al. Association between dietary carotenoid intak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adults aged 30-75 years using data from the fourth and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08-2011). Nutrients 2017; 9(9): 1025-1038. 

  12. Sahni S, Hannan MT, Gagnon D, Blumberg J, Cupples LA, Kiel DP, et al. Protective effect of total and supplemental vitamin C intake on the risk of hip fracture--a 17-year follow-up from the Framingham Osteoporosis Study. Osteoporos Int 2009; 20(11): 1853-1861. 

  13. Welch A, MacGregor A, Jennings A, Fairweather-Tait S, Spector T, Cassidy A. Habitual flavonoid intake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women. J Bone Miner Res 2012; 27(9): 1872-1878. 

  14. Ward KA, Prentice A, Kuh DL, Adams JE, Ambrosini GL. Life course dietary patterns and bone health in later life in a British birth cohort study. J Bone Miner Res 2016; 31(6): 1167-1176. 

  15. Dai Z, Zhang Y, Lu N, Felson DT, Kiel DP, Sahni S. Association between dietary fiber intake and bone loss in the Framingham Offspring Study. J Bone Miner Res 2018; 33(2): 241-249. 

  16. Lee T, Suh HS.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fiber intak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adult Korean population: analysis of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1. J Bone Metab 2019; 26(3): 151-160. 

  17. Movassagh EZ, Vatanparast H. Current evidence on the association of dietary patterns and bone health: a scoping review. Adv Nutr 2017; 8(1): 1-16. 

  18. Park SJ, Joo SE, Min H, Park JK, Kim Y, Kim SS, et al. Dietary patterns and osteoporosis risk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Osong Public Health Res Perspect 2012; 3(4): 199-205. 

  19. Shin S, Sung J, Joung H. A fruit, milk and whole grain dietary patter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healthy adults. Eur J Clin Nutr 2015; 69(4): 442-448. 

  20. Lim YS, Lee SW, Tserendejid Z, Jeong SY, Go G, Park HR.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nutrient and food group intake level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using the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Nutr Res Pract 2015; 9(5): 539-546.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2).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24. Rosenbaum PR, Rubin DB.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Biometrika 1983; 70(1): 41-55.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 for Koreans 2015.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26.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 Pers Soc Psychol 1986; 51(6): 1173-1182. 

  27. Yoo KO, Kim MJ, Ly SY.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intak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s aged $\geq$ 50 years: analysis of the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using a newly established vitamin D database. Nutr Res Pract 2019; 13(2): 115-125. 

  28. Yu CH, Lee JS, Lee L, Kim SH, Lee SS, Jung IK. Nutritional factors related to bone mineral density in the different age groups of Korean women. Korean J Nutr 2002; 35(7): 779-790. 

  29. Yu CH, Lee JS, Lee L, Kim SH, Lee SS, Kang SA. Nutritional factors related to bone mineral density in the different age groups of Korean men. Korean J Nutr 2004; 37(2): 132-142. 

  30. Kim JM, Jin MR, Kim HW, Chang N. Associations between daily food and nutrient intak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men aged 50 years and older. Korean J Nutr 2011; 44(5): 394-405. 

  31. Go G, Tserendejid Z, Lim Y, Jung S, Min Y, Park H. The association of dietary quality and food group intake patterns with bone health status among Korean postmenopausal women: a study using the 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Nutr Res Pract 2014; 8(6): 662-669. 

  32. Park SJ, Jung JH, Kim MS, Lee HJ. High dairy products intake reduces osteoporosis risk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a 4 year follow-up study. Nutr Res Pract 2018; 12(5): 436-442. 

  33. Sommer I, Erkkila AT, Jarvinen R, Mursu J, Sirola J, Jurvelin JS, et al. Alcohol consump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elderly women. Public Health Nutr 2013; 16(4): 704-712. 

  34. Zhang X, Yu Z, Yu M, Qu X. Alcohol consumption and hip fracture risk. Osteoporos Int 2015; 26(2): 531-542. 

  35. Daly RM, Dalla Via J, Duckham RL, Fraser SF, Helge EW. Exercise for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an evidence-based guide to the optimal prescription. Braz J Phys Ther 2019; 23(2): 170-180. 

  36. Harding AT, Beck BR. Exercise, osteoporosis, and bone geometry. Sports (Basel) 2017; 5(2): 29-43. 

  37. Rogers TS, Harrison S, Judd S, Orwoll ES, Marshall LM, Shannon J, et al. Dietary patterns and longitudinal change in hip bone mineral density among older men. Osteoporos Int 2018; 29(5): 1135-1145. 

  38. Feskanich D, Meyer HE, Fung TT, Bischoff-Ferrari HA, Willett WC. Milk and other dairy foods and risk of hip fracture in men and women. Osteoporos Int 2018; 29(2): 385-396. 

  39. Higgs J, Derbyshire E, Styles K. Nutrition and osteoporosis prevention for the orthopaedic surgeon: a wholefoods approach. EFORT Open Rev 2017; 2(6): 300-308. 

  40. Sahni S, Hannan MT, Blumberg J, Cupples LA, Kiel DP, Tucker KL. Inverse association of carotenoid intakes with 4-y change in bone mineral density in elderly men and women: the Framingham Osteoporosis Study. Am J Clin Nutr 2009; 89(1): 416-424. 

  41. Sugiura M, Nakamura M, Ogawa K, Ikoma Y, Ando F, Shimokata H, et al. Dietary patterns of antioxidant vitamin and carotenoid intake associated with bone mineral density: findings from post-menopausal Japanese female subjects. Osteoporos Int 2011; 22(1): 143-1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