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임종간호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es'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3 no.1, 2020년, pp.76 - 86  

박효진 (경남정보대학교 간호학과) ,  강은희 (경남정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xtent to which nurses' death perceptions, death anxiety, and stress associated with terminal care affects their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Method : A total of 214 nurses were asked questions about characteristics, death perceptions, dea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죽음인식, 죽음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임종간호 태도와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함과 동시에 임종간호 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임종간호 태도를 긍정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 교육 프로그램과 임종간호 프로토콜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들이 죽음에 대한 인식에 대한 상황은? Sasahara, Miyashita, Kawa와 Kazuma (2003)의 보고에서 간호사 92%가 분노와 불안을 호소하는 임종 환자들을 간호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간호사 91%가 죽음이나 임종에 적절하게 반응하는 것을 잘 알지 못한다고 하였다. 이는 간호사가 임종 환자들과 가장 밀접히 접촉하며 이들을 간호하는 위치에 있지만, 대부분의 간호사들이 임종 환자를 간호해야 하는 상황에서 좌절감, 우울감, 공포, 부담감 등을 느끼고, 스트레스를 경험하는데 이것은 죽음에 대한 인식이 확실하지 않기 때문이다(Stewart, Lord, & Mercer, 2000). 죽음에 대한 인식은 한 개인이 죽음에 대해 느끼고 있는 감정과 인지, 개인적 신념을 포괄하는 복합적 개념으로 개인의 가치관과 경험에 따라 개인마다 다르다(Kim et al.
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종간호에 대한 연구의 실태는? , 2018; Ji & You, 2014), 임종간호 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연구(Yang, 2015) 등이 중환자실 간호사, 암병동간호사, 요양병원 간호사,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현재 일반 간호사를 대상으로 죽음인식, 죽음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임종간호 태도와의 상관관계 연구와 임종간호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간호사의 임종간호 태도의 필요성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Yang (2015)의 연구에서 죽음인식, 죽음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현재 의료기관에서 임종을 맞이하는 환자의 비율이 높고, 임종간호 다빈도 병동 뿐만 아니라 일반병동에서도 임종환자의 간호가 증가하고 있어 체계적인 임종간호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i, W. G. M., & Ayou, N. S. (2010). Nurses' attitudes toward caring for dying patient in Mansour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Medicine and Biomedical Sciences, 1(1), 16-23. 

  2. AN, M. S., & Lee, K. J. (2014). Awareness of good death and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among geriatric hospit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7(3), 122-133. 

  3. Chi, K. A., & Kim, E. J. (2005). Factors influencing nurse's attitude toward hosp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4(3), 285-291. 

  4. Cho, H. J., & Kim, E. S. (2005). The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8(2), 163-172. 

  5. Collett, L., & Lester, D. (1969). The fear of death and the fear of dying. The Journal of Psychology, 72(2), 179-81. 

  6. Frommelt, K. H. M. (1991).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nurses' attitudes toward caring for terminally ill persons and their families. Americ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Care, 8(5), 37-43. 

  7. Hong, E. M., Jun, M. D., Park, E. S., & Ryu, E. J. (2013). Death perceptions,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 death in oncology nurses. Asian Oncology Nursing, 13(4), 265-272. 

  8. Inumiya, Y. A., & Han, S. Y. (2004). A study on development of a view of life and death scale.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0(1), 31-82. 

  9. Ji, S. I., & You, H. S. (2014). The impact of clinical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and spiritual health on their terminal care stres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7(4), 232-240. 

  10. Jo, M. J., & Jun, W. H. (2015). Effects of end-of-life care education using self reflection diary on spirituality, death orientation,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12), 294-303. 

  11. Kang, J. H., & Han, S. J. (2013). A study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respect for life.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6(2), 80-89. 

  12. Kang, S. E., & Lee, B. S. (2001).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the dying patients in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7(2), 237-251. 

  13. Kim, M. H., & Lee, E. S. (2015). Nurses' stress, attitude and performance during terminal care towards do-not resuscitate patients.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 25-41. 

  14. Kim, S. R., No, M. J., Moon, K. E., Cho, H. J., Park, Y., Lee, N. J., . . . Sim, M. Y. (2018). Intensive care unit nurses' death perception, end of life stress and end of life nursing attitud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4(2), 255-262. 

  15. Lee, H. Y., Lee, Y. O., Choi, E. Y., & Park, Y. M. (2007). A comparison on stress and coping of bereavement care between nurses in the cancer unit and nurses in the general unit. Asian Oncology Nursing, 7(1), 26-35. 

  16. Lee, K. J., & Park, Y. S. (2015). Nurses' spirituality and attitude toward terminal care in geriatric hospita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2), 347-357. 

  17. Lee, M. Y. (2012). End-of-life care stress and strategies of coping and relief among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8. Lee, Y. O. (2004). A study of cancer unit nurses' stress from bereavement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19. Nia, H. S., Lehto, R. H., Ebadi, A., & Peyrovi, H. (2016). Death anxiety among nurses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A review article.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ty Based Nursing and Midwifery, 4(1), 2. 

  20. Noh, S. S., Lee, C. K., & Sung, Y. H. (2016). Predictors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for cancer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 Critical Care Nursing, 19(2), 61-70. 

  21. Park, E. J., & Seo, M. J. (2019). The influence of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new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8(4), 230-241. 

  22. Sasahara, T., Miyashita, M., Kawa, M., & Kazuma, K. (2003). Difficulties encountered by nurses in the care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n general hospitals in Japan. Palliative Medicine, 17(6), 520-526. 

  23. Statistics Korea. (2019). 2018 population trends survey: Provisional results of birth and death statistics. Retrieved January 5, 2019,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bSeq&aSeq373361&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24. Stewart, A. E., Lord, J. H., & Mercer, D. L. (2000). A survey of professionals' training and experiences in delivering death notifications. Death studies, 24(7), 611-631. 

  25. Suh, H. K. (1987). The relationships among life satisfaction. locus of control, death anxiety as perceived by Korean and American all the adults using selected personal demographic variables.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4(2), 1-41. 

  26. Tunnah, K., Jones, A., & Johnstone, R. (2012). Stress in hospice at home nurses: A qualitative study of their experiences of their work and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Palliative Nursing, 18(6), 283-289. 

  27. Yang, S. A. (2015). Convergenc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erminal care attitud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4), 73-88. 

  28. Wafaa, G. M. A., & Nahed, S. A. (2010). Nurses attitudes toward caring for dying patient in Mansoura university hospitals. Journal of Medicine and Biomedical Science, 1(1), 16-23. 

  29. Woo, Y. W., Kim, K. H., & Kim, K. S. (2013).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among nurses and the relationship to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6(1), 33-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