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근로환경이 건강문제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Nurses' Working Environment on Health Problem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9 no.1, 2020년, pp.1 - 7  

장현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최은숙 (경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ork environment on health problems of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5 nurses who were wage workers among KWCS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respondents in 2014. The work environments were measured by the KWC...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근로환경이 건강문제에 미치는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사의 인간공학적, 심리 ․ 사회적 근로환경은 건강문제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세부직종의 포괄적인 근로환경과 건강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근로환경조사를 이용하여 간호사 직종을 대상으로 건강문제를 포괄적으로 확인하고 근로환경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본 연구결과 간호사의 근로환경인 인간공학적 위험요인과 심리•사회적 위험요인은 간호사의 다양한 건강문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 본 연구는 제4차 근로환경조사 원시자료에서 간호사만을 추출하여 간호사의 근로환경 수준을 파악하고, 근로환경이 건강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간호사의 근로환경 개선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한국 간호사의 근로환경이 건강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2014년 근로환경조사(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를 활용하여 간호사의 근로환경을 생물 ․ 화학적, 인간공학적, 사회 ․ 심리적으로 좀 더 세분화하여 분석하고 이들과 건강결과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사들의 근로환경을 개선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atlette, M. (2005). A descriptive study of the perceptions of workplace violence and safety strategies of nurses working in level I trauma center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1(6), 519-525. 

  2. Cho, K. H. (2003).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musuloskeletal diseases in hospital workers. Unpublished doctoral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3. Choi, S. Y., Son, C. W., Heo, G. G., & Bak, D. H. (2008). A comprehensive model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hospital workers based on ergonomic risk and psychosocial factors.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10(4), 21-30. 

  4. Jeanne, M. S. (1998). Encyclopedia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In. Book Publishing International Labour office (4th ed.). Geneva. 

  5. Jeong, H. S. (2004). Work-related risk factor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nurses. Unpublished doctoral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6. Jeong, Y. H. (2017).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ypes of employment and industrial accident occurrence through "labor environment survey".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7. Kant, I. L., Dejung, L. C., Van Rijssen-Moll, M., & Borm, P. J. (1992). A survey of static and dynamic work postures of operating room staf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Health, 63(6), 423-428. 

  8. Kim, E. A. (2013).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 of nursing staff.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4), 275-284. 

  9. Kim, J. H. (2017). Work accident rate and related factors of workers from Korea working condition survey in 2011.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10. Korean Society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2006). Hospital infection management. Book Publishing Hanmi Medical (3rd ed.). Seoul: Author. 

  11. Lee, J. H. (2010). On the current state of blood borne infectious diseases caused by needle stick injuries reported by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Seoul. 

  12. Lee, J. S., Ko, H. M., Jung, H. J., & Kim, H. J. (2016). Working conditions of the national health care workers - wages, work conditions and environment - . Research of Lobor, 33, 169-197. 

  13. Lee, Y. M., Jung, M. H., Arakida, M., Watanabe, R., & Suzuki, S. (2008). The influencing factors on presenteeism of nurses in Korea and Jap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18(4), 253-261. 

  14. Lee, Y. S. (2013).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s and workplace support, on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married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15. Manojlovich, M. (2005). Linking the practice environment to nurses' job satisfaction through nurse-physician communication.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7(4), 367-373. 

  16. Martinez, L. F., & Ferreira, A. I. (2012). Sick at work: Presenteeism among nurses in a Portuguese public hospital. Stress and Health, 28(4), 297-304. 

  17. Nelson, A., Lloyd, J. D., Menzel, N., & Gross, C. (2003). Preventing nursing back injuries: Redesigning patient handlingtasks.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51(3), 126-134. 

  18. OECD. ( 2015). Health at a Glance 2015. 

  19. Park, H. H. (2005). Study on the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operating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Gyeonggido. 

  20. Park, S. H. (2017).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s on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1. Park, S. Y. (2016).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health problems in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22. Song, J. E., Marks, N. F., & Han, G. H. (2007). Work, family, workfamily spillover and mental health among working adults - A comparison of data from national surveys in Korea and the U.S. -. Family and Culture, 19(2), 61-92. 

  23. Van Bogaert, P., Clarke, S., Roelant, E., Meulemans, H., & Van de Heyning, P. (2010). Impacts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burnout on nurse-reported outcomes: A multilevel modelling approach.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9(11-12), 1664-1674. 

  24. Van Bogaert, P., Clarke, S., Vermeyen, K., Meulemans, H., & Van de Heyning, P. (2009). Practice environment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nurse-reported outcomes in Belgian hospitals: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a Dutch adaptation of the Revised Nursing Work Index.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6(1), 55-6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