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의 비타민 D 수준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 2010-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The Effect of Vitamin D on the Glyc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Diabetes: From the Fifth (2010-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22 no.1, 2020년, pp.53 - 60  

이아리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김혜진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used raw data from the fifth (2010-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D level and glycemic control of diabetes, and to provide basic data about the use of vitamin D for preparation of a treatment pl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비타민 D를 유제품, 주스, 시리얼 등을 포함한 음식섭취와 자외선 노출로 얻을 수 있도록 생활습관개선 등을 교육해야 할 것이다[18]. 더불어 비타민 D 결핍이 있는 경우나, 혈당 장애가 있는 당뇨병 환자의 경우 충분한 양의 비타민 D 투여를 통해 당뇨병을 예방하고 혈당을 개선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될 수 있다.
  • 본 연구는 국내 당뇨병 유병자의 비타민 D 수준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3차년도(2010-2012) 원시 자료를 이차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당뇨 유병자의 비타민 D 수준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당뇨병 유병자의 혈당조절 불량군이 양호군보다 혈중 비타민 D 수준이 유의하게 낮았다.
  • 본 연구는 당뇨 유병자의 비타민 D 수준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 비타민 D의 수준은 당뇨병 유병자의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당뇨병 유병자의 비타민 D 수준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국가 단위로 매년 실시되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당뇨병 환자의 비타민 D 수준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당뇨병 유병자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학적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들의 치료 계획 수립 시 비타민 D의 활용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국가 단위로 매년 실시되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당뇨병 환자의 비타민 D 수준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당뇨병 유병자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학적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들의 치료 계획 수립 시 비타민 D의 활용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World Health Organization. Defini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its complications. Final repor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9. Report No.: WHO/NCD/NCS/99.2. 

  2.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report on diabete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cited 2019 Nov 1]. Available from: https:// 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204871/9789241565257_eng.pdf;js essionid126BF0FCCFC24D7BB309211B057D29AF?sequence1 

  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Final report. Sejong-shi: Minister Health & Welfare; 2015. Report No.: 11-1351159-000027-10 

  4.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8 abridges for primary care providers. Clinical Diabetes. 2018;36(1):14-37. https://doi.org/10.2337/cd17-0119 

  5.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Evidence-based guideline for type 2 diabetes in primary care. Seoul.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Jan. Report No.: 11-1352159-000560-14. 

  6. Lim S, Kim DJ, Jeong IK, Son HS, Chung CH, Koh G, et al. A nationwide survey about the current status of glycemic control and complications in diabetic patients in 2006: the committee of the Korean diabetes association on the epidemiology of diabetes mellitus. Korean Diabetes Journal. 2009;33(1):48-57. https://doi.org/10.4093/kdj.2009.33.1.48 

  7. Zoungas S, Chalmers J, Ninomiya T, Li Q, Cooper ME, Colagiuri S, et al. Association of HbA1c levels with vascular complications and death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evidence of glycaemic thresholds. Diabetologia. 2012;55(3): 636-643. https://doi.org/10.1007/s00125-011-2404-1 

  8. The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 Trial Research Group. The effect of intensive treatment of diabetes o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long-term complications i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93;329(14):977-986. https://doi.org/10.1056/nejm199309303291401 

  9. Jeon JY, Kim DJ, Ko SH, Kwon HS, Lim S, Choi SH, et al. Current status of glycemic control of patients with diabetes in Korea: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2014;38(3): 197-203. https://doi.org/10.4093/dmj.2014.38.3.197 

  10. Khattab M, Khader YS, Al-Khawaldeh A, Ajlouni K.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glycemic control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2010;24(2):84-89. https://doi.org/10.1016/j.jdiacomp.2008.12.008 

  11. Lu J, Weng J, Gu W, Guo X, Yang W, Zou D, et al. Non-pharmaceutical factors for poor glycemic control in 13,970 Chinese women with drug-treated type 2 diabetes: a cross-sectional survey in 77 tertiary hospitals in four Chinese cities. Patient Preference and Adherence. 2014; 8:1161-1167. https://doi.org/10.2147/ppa.s66915 

  12. Bralic Lang V, Bergman Markovi? B, Vrdoljak D. The association of lifestyle and stress with poor glyc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type 2: a Croatian nationwide primary care cross-sectional study. Croatian Medical Journal. 2015;56(4):357-365. https://doi.org/10.3325/cmj.2015.56.357 

  13. Ji EJ. Factors associated with hemoglobin A1c among patient aged 40 years over with diabetes mellitus: 2012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5;22(4):433-441. https://doi.org/10.7739/jkafn.2015.22.4.433 

  14. Choi HS. Vitamin D status in Korea.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13; 28(1):12-16. https://doi.org/10.3803/EnM.2013.28.1.12 

  15. Holick MF. Vitamin D deficiency.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7;357(3):266-281. https://doi.org/10.1056/NEJMra070553 

  16. Chakhtoura M, Azar ST. The role of vitamin d deficiency in the incidence, progression, and complications of type 1 diabetes mellitus. International Journal of Endocrinology. 2013;2013:148673. https://doi.org/10.1155/2013/148673 

  17. Pittas AG, Lau J, Hu FB, Dawson-Hughes B. The role of vitamin D and calcium in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2007; 92(6): 2017-2029. https://doi.org/10.1210/jc.2007-0298 

  18. Lee JH. Pharmacologic supplementation of vitamin D.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7;60(4): 330-335. https://doi.org/10.5124/jkma.2017.60.4.330 

  19. MacDonell SO, Miller JC, Harper MJ, Waters DL, Houghton LA. Vitamin D status and its predictors in New Zealand aged-care residents eligible for a government-funded universal vitamin D supplementation programme. Public Health Nutrition. 2016;19(18):3349-3360. https://doi.org/10.1017/s1368980016001683 

  2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Final report. Sejong-shi: Minister Health & Welfare; 2013. Report No.: 11-1351159-000027-10 

  2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fifth (2010-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Guidebook for Examination survey. Sejong-shi: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p.77-116 

  2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fifth (2010-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Guidebook for database. Sejong-shi: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p.47-56 

  23. Kim SA, Park WS, Ohrr HC, Kang HY, Lee DH, Yi SW, et al. Prevalence and management status of diabetes mellitus in Korea.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5;68(1):10-17. 

  24. Eliasson B, Attvall S, Taskinen MR, Smith U.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n smokers is related to smoking habits. A Journal of Vascular Biology; 1994; 14(12):1946-1950. https://doi.org/10.1161/01.ATV.14.12.1946 

  2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3rd Report. Sejong-shi: Minster Health & Welfare; 2007 April. p.131-166. 

  26. Inzucchi SE, Bergenstal RM, Buse JB, Diamant M, Ferrannini E, Nauck M, et al. Management of hyperglycemia in type 2 diabetes, 2015: a patient-centered approach: update to a position statement of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nd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Diabetes. Diabetes Care. 2015;38(1):140-149. https://doi.org/10.2337/dc14-2441 

  27. Pyo EY, Jung MH, Kim YS. Factors related to blood glucose control in patients with diabet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2; 29(3): 15-22. 

  28. Lips P, Eekhoff M, van Schoor N, Oosterwerff M, de Jongh R, Krul-Poel Y, et al. Vitamin D and type 2 diabetes. The Journal of Steroid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2017; 173: 280-285. https://doi.org/10.1016/j.jsbmb.2016.11.02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