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어의 언어 문화적 고찰
A Study on the Language Culture of the Neologism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1, 2020년, pp.17 - 22  

유경민 (전주대학교 국어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빠르게 변화하는 것은 기술 발전만이 아니다. 언어도 세대별 계층별로 다양한 공감대를 형성하며 급속으로 만들어지고 확산되어 간다. 그러므로 신어는 시기마다 생성되는 문화사의 한 부분으로서 이해할 필요성이 있다. 신어는 언어공동체의 공인 속에서 재미와 편리함, 친밀감 이상의 대체 불가능성을 지니고 있어 규범 언어에서 그 사용을 자제하도록 한다 해도 그 파급 속도를 막을 수가 없다. 그것이 얼마나 오래 살아남을 것이냐는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언어를 중심으로 작은 공동체가 만들어지고 기존 공동체를 파편화시켜 보이지 않는 벽을 세우는 것이 신어 향유자들에게는 오히려 흥미로운 언어 생활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한 글자를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으로 읽거나 거기에 담긴 다의적인 연상을 의도적으로 오독하는 시각적 유희, 즉 문자 유희를 중심으로 신어를 연구한다. 신어의 특성은 간섭 받기 싫어하고, 기존의 질서에 기발함을 더하는 것을 즐기는 젊은 세대의 성향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시대에나 신어는 만들어졌고, 형태는 다르지만 신어 생성의 원리는 오래된 방식이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신어 생성의 역사적 특성에 대해서도 고찰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at has been rapidly changed and developed is not only technology, but also language and culture, of which the diverse consensus has been speedily formed between generations and spread throughout all the social grades. Therefore, Neologisms need to be understood as part of the cultural history that...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기에 익숙한 현대의 젊은 세대에게 문자는 정렬된 읽는 대상이 아니라 보고, 감상하고, 장난칠 수 있는 대상이다. 낯선 나라의 문자가 그림처럼 보이듯이 자국의 문자에 대해서도 시각적 디자인화가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생각하고 거침없이 실행하는 것이 특징인데, 종류별로 살펴보기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언어와 문화와 사상은 상호 영향 관계에 있으면서 서로의 거울이 되어주는 것으로서 유기적으로 설명되어야 함을 염두에 두고 신어의 특성을 탐구한다. 예를 들면, 최근 ‘맘충, 진지충, 기생충(자립능력이 없어 누군가에 기대거나 붙어살며 그것에 해를 끼치는 사람)’ 등의 단어가 유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신어의 생산성에 대하여 언중이 현대 한국 사회를 벌레 먹은 사회로 인식하고, 타인을 부정적으로 인지하며, 경쟁상대로 의식하는 경향이 짙어짐으로써 자연스럽게 형성된 언어 문화적 현상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 이러한 시각적 언어유희는 기존 언어의 다의성(多義性)이나 동음이의성(同音異義性)이 아니라 다형성(多形性)을 활용한 문자 놀이를 시도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문자 유희1)라고 하고, 한글이나 한자로 표기된 문자를 대상으로 시각적 차원에서의 언어유희와 관련된 신어를 고찰한다. 기존의 언어유희가 주로 동음이의어를 관련짓는 행위, 즉 구두-청각적 차원에서 논의되었던 것과 차별성을 두는 것이다[2].
  • 신어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살아 있는, 생물로서의 언어를 관찰한다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젊은 사람들이 기존의 문자 결합 양식을 깨고, 글자의 형태를 혁신하는 방식으로 신어를 만들어 쓰는 문자 유희는생각보다 그 역사가 깊다는 것을 국어사적 자료들을 살피며 실증적으로 설명하였다. 음성 언어와 문자의 표현 방식이 한 민족의 사회 문화 안에서 얽히고 설킨 산물이라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 이는 이러한 문자 유희가 이미 사회 전반적인 언어공동체를 형성해 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어 중에서도 한글이나 한자의 형태 활용에 중점을 둔 현대 사회의 문자 유희의 방식과 용례를 살피고, 국어사적으로 유사한 방식의 문자 활용법이 있었는지를 검토한다. 어느 시대이든 신어는 당시의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만들어지며 그러하기 때문에 우리의 시대 문화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는 것을 설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Y. W. Lee. The effects of SNS use and the individual differences on the social connectedness, The Journal of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5, No. 3, pp. 215-227, 2019. 

  2. J. L. Lee & Y. Choi, Why people use social media?: A comparison of open and closed SNS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9, No. 1, pp. 115-148, 2015. 

  3. Leung, L., User-generated content on the Internet: an examination of gratifications, civic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New Media & Society, Vol. 11, No. 8, pp. 1327-1347. 2009. 

  4. M. J. S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ody image,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SNS use time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5, No. 1, pp. 257-264, 2019. 

  5. Taraglia, S., Different medalities of using Facebook: The influence of actual social relations, wellbeing, and attitude toward the medium, Studia Psychologica, Vol. 58, No. 1, pp. 3-17. 2016. 

  6. Wei, R. & Lo, V., Staying connected while on the move: cell phone use and social connectedness, New Media & Society, Vol. 8, No. 1, pp. 53-72. 2006. 

  7. van Dijk, T.A. Discourse, Power and Access, in C.R. Caldas-Coulthard and M. Coulthard(eds) Texts and Practices: Readings i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pp. 84-104. London: Routledge, 1996. 

  8. Ban, H. & Noh, B. K. The Role of Evaluative Language in News Translation: Focusing on Soft and Hard New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IJACT). Vol. 6 No, 2, 2018. 

  9. K. M. Yu, A study on Tensing Meaning and Real pronunciation in Dictionary information of monosyllabic Sino-Korea, words, Korean Semantics 64, pp. 85-66. 2019. 

  10. Schlein, S., Guerney, B., & Stover, L.,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7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