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급종합병원 환자와 간호사의 안전 인식 비교와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직무수행 영향요인
Comparison of Safety Perception between Patients and Nurses and Factors Affecting Nurses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Tertiary Hospital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1, 2020년, pp.69 - 82  

김연홍 (경상대학교병원) ,  최윤정 (경상대학교병원) ,  강다희 (경상대학교병원) ,  정지영 (경상대학교병원) ,  길초롱 (경상대학교 건강과학연구원) ,  장희경 (경상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환자와 간호사의 안전 인식을 비교하고,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경상남도 J시 G대학교병원에 입원한 환자 147명과 간호사 147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8년 7월 24일부터 9월 23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 후 SPSS/WIN 23.0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환자의 안전 인식이 간호사의 인식 정도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직무수행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요인은 교육수준, 근무형태, 의사소통, 환자안전 인식,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이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환자안전 지식의 하위영역인 '의사소통'과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의 하위영역인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관심'이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직무수행을 54.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직무수행 향상을 위해 간호사는 환자와 조직 구성원간 원활한 의사소통과 관심 정도를 높이는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강조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compare the safety perception between patients and nurse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nurses'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tertiary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147 patients and 147 nurses from a un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입원 환자와 간호사의 안전인식 정도를 비교하고,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직무수행 정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환자안전문화형성을 위한 전략과 근거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환자와 간호사의 안전인식을 비교하고,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직무수행 정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환자와 간호사의 안전지식과인식에 따른 환자안전관리 직무수행 정도를 확인하기 위 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환자의 안전인식, 간호사의 안전지식 및 안전인식과 환자안전관리 직무수행 정도를 확인하고,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직무수행 정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환자안전 요구도가 높은 상급종합병원에서 입원 환자가 인지하고 있는 안전인식과 간호사가 인지하고 있는 안전인식의 정도를 비교하고, 간호사의 안전관리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여보다 효율적이고 적극적인 환자안전문화 형성을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안전이란 무엇인가? 환자안전은 의료기관 인증제도의 도입 이후 그 관심이 더욱 높아졌으며, 의료기관의 모든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기본원칙이자 모든 치료행위를 통틀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는 가치라고 할 수 있다[4]. 따라서 상급종합병원에서는 환자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이나 사고를 예방하는 환자안전 활동을 강조하고 있을 뿐 아니라[5] 환자안전은 의료인의 의무이면서 법적 규제의 작용도 받고 있으며, 환자안전 활동의 결과는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 고 재정적인 손실을 경감하는 데에 큰 영향을 준다[6].
의료기관 인증제도의 목적은 무엇인가? 2012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for Development)에서는, 보건의료체계에서 환자안전‘을 가장 큰 문제로 평가하였고, 한국을 환자안전의 현황 파악이 가장 취약한 국가라고 하였다[2]. 이에 정부는 2011년 시작된 의료기관 인증제도의 정착과정에서 의료의 질 향상과 환자안전에 관한 평가를 강화하고 있다[3]. 
의료기관 인증제도가 도입된 이유는 무엇인가? 정부의 보건정책이 보장성 강화와 함께 의료의 질과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변화하면서 소비자의 의료 지식수준과 관심도 함께 증가하여 의료의 질과 환자 안전은 국가적으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1]. 2012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for Development)에서는, 보건의료체계에서 환자안전‘을 가장 큰 문제로 평가하였고, 한국을 환자안전의 현황 파악이 가장 취약한 국가라고 하였다[2]. 이에 정부는 2011년 시작된 의료기관 인증제도의 정착과정에서 의료의 질 향상과 환자안전에 관한 평가를 강화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H. N. Cho and H. S. Shin, “A systemic review of published studies on patient safety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Administration, Vol. 2, No. 1, pp. 61-82, 2014. 

  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reviews of health care quality; Korea 2012 raising standards, Paris OECD, 2012. 

  3.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What is the accreditation program for healthcare organization Accreditation Program for Healthcare Organizations. https://www.koiha.or.kr/member/en/contents/ensub02/ensub02_01_01.do 

  4. J. Jeong, Y. J. Seo, and E. W. Nam,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t nursing divisions of two university hospital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ol. 11, No. 1, pp. 91-109, 2006. 

  5. M. S. Song and K. S. Jae,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n simulation practice focusing on cardiac arrest,”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4, No. 1, pp. 119-128, 2018. DOI : 10.17703/JCCT.2018.4.1.119 

  6. S. W. Baek, S. J. Lee, and J. E. Huh, Patient safety and accountability improving medical ethics and patient safety, Bomungak, 2009. 

  7. Institute of Medicine, Crossing the quality chasm: a new health system for the 21st century, National Academies Press, 2001. 

  8. E. H. Ha, K. S. Hyun, and J. Y. Cho, “Awareness of hospital safety culture and safety activities of workers in a tertiary care hospital,” Journal of Academic Social Nursing Education, Vol. 22, No. 2, pp. 191-201, 2016.. 

  9. J. E. Kim, N. J. Lee, S. M. Jang, and Y. M. Kim, “Healthcare service consum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ol. 10, No. 2, pp. 133-140, 2013. 

  10. R. E. Davis, N. Sevdalis, R. Jacklin, and C. A. Vincent, “An examination of opportunities for the active patient in improving patient safety,” Journal of Patient Safety, Vol. 8, No. 1, pp. 36-43, 2012. 

  11. M. J. Park, I. S. Kim, and Y. L. Ham, "Development of a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scale (PI-PSM) for hospital employe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5, pp. 332-341, 2013. DOI : 10.5392/JKCA.2013.13.05.332 

  12. S. K. Chung, “A structural model of safety climate and safety compliance of hospital organization employee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7, No. 8, pp. 947-961, 2017. DOI : 10.14257/ajmahs.2017.08.84 

  13. M. Y. Kim and Y. Eun,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safety care knowledge and activity among nurses at an orthopedic hospital,”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 24, No. 1, pp. 14-23, 2017. DOI : 10.5953/JMJH.2017.24.1.14 

  14. H. Lee and M. Park, “The effect of pre-healthcare workers' knowledg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and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on their confidence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International Information Institute (Tokyo). Information, Vol. 21, No. 3, pp. 1213-1228, 2018. 

  15. Y. Paik and Y. Kim, “Patient safety care activity in small-medium sized hospital nurses patient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 21, No. 1, pp. 51-59, 2018. DOI : 10.7587/kjrehn.2018.51 

  16. J. Jang and S. H. Shin, “Effects of psychiatric nurses' perception of the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and safety climat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25, No. 4, pp. 375-385, 2016. 

  17. S. J. Park, E. H. Choi, K. S. Lee, and K. Chung, “A study on perception and nursing activity for patient safety of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1, pp. 332-339, 2016. 

  18. J. M. Lee, S. J. Hong, and M. H. Park,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are activity among ICU nurses," Crisisonomy, Vol. 9, No. 11, 274-290, 2013. 

  19. J. H. Lee and S. I. Lee, “Patient safety: the concept and gener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Vol. 15, No. 1, pp. 9-18, 2009. 

  20. K. J. Kim, E. H. Lee, and S. H. Shi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atient safety perception scale for hospitalizes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30, No. 4, pp. 404-416, 2018. 

  21.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and A. G. Lan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 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 41, No. 4, pp. 1149-1160, 2009. DOI: 10.3578/brm.41.4.1149 

  22. N. Y. Seok, The factor related to patient safety accident in long-term care hospitals, [master's theses]. Gyeong Sang University, Jin ju, 2018. 

  23. S. H. Yoon, B. Kim, and S. Y. Ki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patient safety culture scale for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3, No. 3, pp. 379-388, 2013. 

  24. G. O. Lee, Study on nurse manager leadership and patient safety-related nursing activities,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009. 

  25. Y. J. Lee, Patient Safety culture and management activities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Eul ji University, Dae jeon, 2011. 

  26. H. S. G. Lee, Healthcare service consum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ight to know and self-determination-, [master's thesis], Yonsei, Seoul, 2016. 

  27. H. J. Jeong, Safety culture awareness and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operating room nurse,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013. 

  28. J. I Joo, The effect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job exhaustion on the patient safety performance among operation room nurses, [master's thesis]. In Je University, Busan, 2014. 

  29. M. H. Kim, The study on safety culture awareness, attitudes,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master's thesis]. Han Yang University, Seoul, 2016. 

  30. H. J. Ji, S. J. Shin, and J. I. Kim, “A study on the patient privacy protection of medical information for internet,”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8, No. 5, pp. 235-241, 2008. 

  31. Y. J. Choi, Y. K. Kang, I. J. Yang, and J. Y. Lim, "Patient safety perception of nurses as related to patient 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in tertiary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4, No. 3, pp. 193-201, 2018. DOI : 10.11111/jkana.2018.24.3.193 

  32. H. M. Jang, J. Y. Park, Y. J. P. Choi, S. W. Park, and H. N. Lim, “Effect of general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burnout on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Vol. 22, No. 3, pp. 239-250, 2016. 

  33. J. M. Yun and H. S. Park, “Perception of the patient safety risk factors and safety management by nurses in emergency servic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of Nursing, Vol. 21, No. 4, pp. 380-391, 2014. DOI : 10.7739/jkafn.2014.21.4.380 

  34. J. Y. Lee, “Effective communication for patient safety,”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 58, No. 2, pp. 100-104, 2015. DOI : 10.5124/jkma.2015.58.2.1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