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세네갈 수유 여성의 개인위생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ractice of Personal Hygiene in Senegal Women applying Health Belief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1, 2020년, pp.231 - 239  

주영주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  오혜경 (서울대학교 간호학과) ,  서형은 (가톨릭관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세네갈 수유 여성의 개인위생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개인위생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2017년 12월 2일부터 8일까지 세네갈 다카르 주에 거주 중인 15~35세 사이의 수유 여성 21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통해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ath analysis를 사용하였다. 경로분석 결과, 개인위생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위생에 대한 지식, 지각된 감수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위협, 지각된 이익, 지각된 장애로 나타났으며, 총 87.7%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personal hygiene impact on practices of lactating women in Senegal by applying the Health Belief Model. The subjects were 217 lactating Women aged between 15 and 35 in Dakar, Senegal. Data collected from December 2 to 8, 2017. This study u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중 세네갈의 5세 이하 영양결핍 정도는 아프리카 평균 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3], 여전히 5세 이하 아동의 17%가 만성 영양결핍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중 24-35개월 아동의 23%가 영양결핍이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5]. WHO 아프리카 사무소에서는 아프리카 지역의 영양결핍을 줄이기 위한 정책 계획에서 영양결핍을 예방하기 위한 다각적인 조치 중 하나로 미래의 성인이나 주 양육자가 될 학령기 아동 대상 중재로 개인위생, 건강 추구 습관을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6]. 개인위생 수준을 높이는 것은 모든 이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필수적인 단계이며[7], 효율적인 개인위생 실천은 가정이나 지역사회에서 감염성 질환 이환률을 낮출 수 있다[8, 9].
  • 개인위생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를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대상자가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떻게 그 문제를 극복해 나가는지를 확인하는 요소들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26].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위생 실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식 및 태도들과 실천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 세네갈의 깨끗한 물, 위생시설, 개인위생 정도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중에서도 수준이 나쁜 편에 속하며, 특히 기본적인 개인위생 정도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 평균인 28%보다 더 낮다[15].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세네갈 수유 여성을 대상으로 개인위생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지식, 태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프리카 세네갈 수유 여성들을 대상으로 HBM의 이론적 모델에 기초하여 개인위생 실천과 지식, 인지된 취약성, 심각성, 이익, 장애, 자신감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모성의 개인위생행위를 실천하도록 돕는 효과적인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세네갈 수유 여성의 개인위생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의 개인위생 관련 지식의 평균점수를 확인해보면 하 정도의 지식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세네갈 수유 여성의 개인위생 실천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세네갈 수유 여성을 대상으로 건강신념 모형을 적용하여 이들의 개인위생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위생 관련 실천을 높이기 위해 지역사회 기반 모성을 중점 대상으로 한 개인위생 중재를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저개발국가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인위생 관련 실천을 높이기 위한 전략 수립 방안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20]을 적용하여 세네갈 수유 여성의 개인위생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인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은 다음과 같다(Figure 1).
  •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위생 관련 실천을 높이기 위해 지역사회 기반 모성을 중점 대상으로 한 개인위생 중재를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저개발국가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인위생 관련 실천을 높이기 위한 전략 수립 방안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가설 설정

  • • 개인위생에 대한 대상자의 지각된 이익은 개인위생 실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개인위생에 대한 대상자의 지각된 장애는 개인위생 실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대상자의 개인위생에 대한 지각된 감수성은 지각된 위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대상자의 개인위생에 대한 지각된 심각성은 지각된 위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대상자의 개인위생에 대한 지각된 위협은 개인위생 실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대상자의 개인위생에 대한 지식은 개인위생 실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대상자의 개인위생에 대한 지식은 지각된 감수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대상자의 개인위생에 대한 지식은 지각된 심각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대상자의 개인위생에 대한 지식은 지각된 위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대상자의 개인위생에 대한 지식은 지각된 이익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대상자의 개인위생에 대한 지식은 지각된 장애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WHO (2015). Transforming our worl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1-35. 

  2. UN (2019).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Report. New York: United Nations, 1-64. 

  3. WHO (2019). Atlas of African health statistics 2019. Regional officer for Africa, 1-131. 

  4. Songa J, Machine M. & Rakuom C. (2015). Maternal child health through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Sky Journal of Medicine and Medical Sciences, 3(7), 94-104. http://www.skyjournals.org/SJMMS 

  5. USAID (2018). Senegal: Nutrition Profile, 1-6. 

  6. WHO (2019). Strategic plan to reduce the double burden of malnutrition in the African region: 2019-2025. Reginal Office for Africa, 1-12. 

  7. Cairncross S, Bartram J, Cumming O. & Brocklehurst C. (2010). Hygiene, Sanitation, and Water: What Needs to Be Done? PLoS medicine, 7(11). 

  8. Bloomfield S. F, Aiello A. E, Cookson B, O'Boyle C. & Larson E. L. (2007). The effectiveness of hand hygiene procedures in reducing the risks of infections in home and community settings including handwashing and alcohol-based hand sanitizers. AJIC: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5(10), S27-S64. DOI: https://doi.org/10.1016/j.ajic.2007.07.001 

  9. Vivas A. P, Gelaye B, Aboset N, Kumie A, Berhane Y. & Williams M. A. (2010).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KAP) of Hygiene among School Children in Angolela, Ethiopia.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 University of Genoa. DOI: 10.15167/2421-4248/jpmh2010.51.2.216 

  10. CTA. Promoting safer hygiene and healthy eating in Senegal. : Technical Centre for Agricultural and Rural Cooperation ACP-EU; 2018. 

  11. Jung, N. O. (2009). Inflence of parents' parenting 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early childhood.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5(2), 236-44. DOI: 10.4094/jkachn.2009.15.2.236 

  12. Mattheus D. J. (2010). Vulnerability related to oral health in early childhood: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9), 2116-25. DOI: 10.1111/j.1365-2648.2010.05372.x. 

  13. Bang, K. S, Kwon, M. K, Choi, M. Y, Huh, B. Y, & Chung, S. J. (2012).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Mothers of Children in this Age Group and Graduate Students in Nursing.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8(2), 60-7. DOI: https://doi.org/10.4094/jkachn.2012.18.2.60 

  14. Nielsen M, Hoogvorst A, Konradsen F, Mudasser M & Hoek Wvd. (2001). Childhood diarrhea and hygiene: mot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in the Punjab, Pakistan. International Water Management Institute, 1-29. DOI: http://dx.doi.org/10.3910/2009.157. 

  15. Senagal-End water poverty [Internet]. 2018 [cited 27 July 2019]. Available from: https://endwaterpoverty.org/sites/default/files/2018-01/Senegal,%20WASHwatch%20extended%20factsheet,%202018.pdf. 

  16. Rosenstock I. M, Strecher V. J & Becker M. H. (1988).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ation & Behavior, 15(2), 175-83. DOI:10.1177/109019818801500203 

  17. Ku, Y. H, Noh, G. Y. (2018). A Study on the Effect of Info Seeking on Breast Cancer Screening Intention: Focusing on HBM and Autonomous Motives. Digital Contents Society, 19(7), 1381-7. DOI: https://doi.org/10.9728/dcs.2018.19.7.1381 

  18. Kang, J. S, Cho, Y. C. (2017). Factors Affecting Health Behaviors for Lifestyle-related Diseases of Public Officials Using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1), 239-51. DOI:http://dx.doi.org/10.5762/KAIS.2017.18.11.239 

  19. Goodarzi A, Heidarnia A, Tavafian S. & Eslami M. (2019). Predicting oral health behaviors among Iranian students by using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8(1), 10-. DOI: 10.4103/jehp.jehp_10_18 

  20. Karen Glanz, Barbara K, Rimer K, Viswanath, John Wiley & Sons (2008).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Jossey-Bass. DOI:10.1371/journal.pmed.0040310. 

  21. Fautsch Macias Y, Glasauer P. (2014). Guidelines for assessing nutrition-related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 KAP manual, Italy,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DOI: http://www.fao.org/economic/kap/en/ 

  22. Sarkar M. (2013). Personal hygiene among primary school children living in a slum of Kolkata, Indi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Hygiene, 54(3), 153-158. DOI: https://doi.org/10.15167/2421-4248/jpmh2013.54.3.401 

  23. Vivas A. P, Gelaye B, Aboset N, Kumie A, Berhane Y. & Williams M. A. (2010).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KAP) of hygiene among school children in Angolela, Ethiopi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hygiene, , 51(2), 73-9. DOI: 10.15167/2421-4248/jpmh2010.51.2.216 

  24. Siwach M. (2009). Impact of Health Education Programme on the Knowledge and Practices of School Children Regarding Personal Hygiene in Rural Panipat.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Sciences, 1(2), 115-8. DOI: https://doi.org/10.1080/09751122.2009.11889984 

  25. Chaung, S. K. (2018). The Effect of Hand Washing Procedure Poster on the Hand Washing Behaviors,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4(3), 269-74. DOI: https://doi.org/10.17703/JCCT.2018.4.3.269 

  26. Usfar A. A, Iswarawanti D. N, Davelyna D. & Dillon D. (2010). Food and Personal Hygiene Perceptions and Practices among Caregivers Whose Children Have Diarrhea: A Qualitative Study of Urban Mothers in Tangerang, Indonesia.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42(1), 33-40. DOI: 10.1016/j.jneb.2009.03.003. 

  27. Ahmed N. U, Zeitlin M. F, Beiser A. S, Super C. M. & Gershoff S. N. (1993). A longitudinal study of the impact of behavioural change intervention on cleanliness, diarrhoeal morbidity and growth of children in rural Bangladesh. Social Science and Medicine, 37(2), 159-71. DOI:https://doi.org/10.1016/0277-9536(93)90452-A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