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자체가 선정한 현대팔경에 나타난 경관 선호 양상

A Local Governments' Preferences in Selecting Modern Eight Scenic Landscapes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1, 2020년, pp.92 - 102  

소현수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78개 지자체가 홈페이지에 제시한 현대팔경 78개와 팔경을 구성하는 816개 경(景)을 통해 본 경관 선호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으로 선정된 자연환경 요소는 지형경관인 산, 대(臺), 암, 바위와 같은 산경요소와 하천, 해양, 호소(湖沼)경관으로 구분되는 수경요소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여기에 소나무, 은행나무, 산수유, 이팝나무노거수, 가로수 길과 숲, 그리고 계절 경관을 제공하는 철쭉, 진달래, 연꽃, 갈대, 억새와 같은 식물요소가 포함된다. 둘째, 인문환경 요소로 선정된 경의 과반수가 묘역, 산성과 읍성, 전통마을, 별서누정, 사찰 등 역사문화유산이다. 다음으로 재래시장, 전시관, 테마파크, 해수욕장, 음식 거리 등 여가관광시설과 산책로, 광장, 공원, 식물원 등 녹색기반시설, 마지막으로 목장, 폐탄광, 철도역, 항구, 다리 등의 산업유산이 경으로 선정되었다. 셋째, 현대팔경에는 지역 대표시설, 특산물, 축제처럼 조망과 관련 없는 대상이 포함되었다. 넷째, 현대팔경의 과반수가 8개 경으로 구성되었지만, 홍보대상을 늘리기 위하여 20개, 38개, 100개로 구성된 것도 있다. 다섯째, 전래팔경과 현대팔경을 함께 소개하고, 주제를 달리한 두 개의 현대팔경을 만든 경우, 일부 지역으로 한정하여 현대팔경을 선정하는 등 여러 개의 현대팔경을 제시한 지자체가 있다. 또한 한 개의 경에 다수의 장소명을 넣은 경우도 많다. 여섯째, 경의 명칭에 '낙안(落雁)'을 사용한 소상전형과 '효종(曉鐘)', '낙조', '일몰', '야경', '여명', '일출'을 명칭에 넣고 경관과 구름, 노을, 달, 눈을 표현한 소상유사형 현대팔경, 관광 행태를 드러내는 명소체험형 현대팔경으로 구성된다. 대부분은 장소의 명칭만으로 인지도를 높인 명승형 현대팔경이다. 일곱째, 현대팔경의 명명 방식은 경물과 경색을 명시한 한자를 조합한 소상팔경식 명명 대신 글자 숫자만 네 개로 맞춘 경우, 장소를 특화하는 수식어를 넣은 경우 등으로 다양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ollowings are the landscape preference aspects from the 816 landscapes(景, Kyung), which comprise the 78 modern Palkyungs, presented by the 78 local governments in Korea. First, the natural environment elements selected as Kyung(景), which are topographical landscapes, mostly consist of mountain ...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대상의 아름다움에 다수가 동의하는 경관이 존재하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공적 자산의 가치를 지니는 현대팔경을 통해서 현대의 경관에 대한 인식과 선호 양상을 이해하고 바람직한 접근 방향을 제안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 본 연구는 지자체가 선정한 현대팔경을 구성하는 경들의 명칭에서 대상이 가진 속성을 파악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지며, 전래팔경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하여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현대팔경에 대한 첫 번째 분석은 팔경을 구성하는 개별 ‘경’을 대상으로 한다.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전래팔경에 대응하여 지자체가 선정한 것1)을 ‘현대팔경’이라고 구분하고, 현대팔경을 구성하는 ‘경’의 선정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 현대팔경은 선정 주체가 지자체이며 생활환경의 변화를 수용함으로써 전래팔경과 다른 양상이 나타난다. 이에 현재 우리나라 78개 지자체가 선정한 현대팔경을 대상으로 하여 경의 대상과 내용, 팔경의 구성, 형식, 명명 방식에서 전래팔경과 다른점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서 현대의 경관 선호 양상을 다음과 같이 이해하였다.
  • ‘구봉산 전망대’처럼 조망점을 제시한 경도 있지만, 대부분은 조망대상을 지칭하였다. 하지만 특정 조망점을 파악할 수 없는 연속적 경관과 함께 인문환경 요소의 유형에서 파악된 바와 같이 지역을 대표하는 시설을 소개하거나 경관 이미지로 떠올릴 수 없는 축제나 특산물이 경에 포함되어 지역 방문을 유도하려는 목적을 보여준다.
  • 현대팔경에 나타난 경관 선호 양상을 확인하려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전체 연구 대상 중에서 분석 항목과 관련되는 특성을 보여주는 사례들을 제시하며 고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통계적 의미를 갖지는 않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래팔경에 대응해 현대팔경이 선정되어야하는 이유는?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전래팔경에 대응하여 지자체가 선정한 것1)을 ‘현대팔경’이라고 구분하고, 현대팔경을 구성하는 ‘경’의 선정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시간이 흐르면서 아름다운 경관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감상의 대상이 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또한 대상의 아름다움에 다수가 동의하는 경관이 존재하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공적 자산의 가치를 지니는 현대팔경을 통해서 현대의 경관에 대한 인식과 선호 양상을 이해하고 바람직한 접근 방향을 제안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경을 대표하는 중국의 기록은 무엇인가? 선조들은 현대 조경의 대상이 되는 ‘경관(景觀)’이라는 용어 대신 경관이 빼어나거나 특색 있는 넓은 지역은 ‘승(勝)’으로, 지역보다 좁은 장소에서 특출하거나 아름다운 경치는 ‘경(景)’이라고 지칭하였다[1]. 중국 북송(北宋)시대에 유래된 ‘소상팔경(瀟湘八景)’이 ‘경’을 대표하는데, 우리나라는 고려시대부터 팔경에 대한 기록이 전해진다. 조선시대에 ‘관동팔경’, ‘한양팔경’, ‘단양팔경’처럼 지역의 산수에서 자연미를 발견하고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지는 구체적 상황에 이름을 정하여 여덟 가지를 모아놓는 팔경 문화가 발전하였다.
경(景)이란 무엇인가? 선조들은 현대 조경의 대상이 되는 ‘경관(景觀)’이라는 용어 대신 경관이 빼어나거나 특색 있는 넓은 지역은 ‘승(勝)’으로, 지역보다 좁은 장소에서 특출하거나 아름다운 경치는 ‘경(景)’이라고 지칭하였다[1]. 중국 북송(北宋)시대에 유래된 ‘소상팔경(瀟湘八景)’이 ‘경’을 대표하는데, 우리나라는 고려시대부터 팔경에 대한 기록이 전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on, K. S.(2000). The Korean Nature. The Compilation Committee of the Collection of General Korean History Books. 

  2. An, J. L.(1997). A Study on the Sosangpalkyung(瀟湘八景) poetry. Doctoral thesis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n Studies. 

  3. Go, Y. H.(2003). Poems and Paintings of Koryo and Choson Dynasties on the Eight Views of Xiao-Xiang Rivers. Dongbanghag. 9(-): 217-243. 

  4. Choi, K. S.(1989). A study on the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from a viewpoint of "kyo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5(4): 133-139. 

  5. Kang, Y. J. and Kim, Y. R.(1991). A Study on the Type and the Spatial Location of Pal-Kyong(eight scenery) in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9(2): 27-36. 

  6. Shin, S. S. and Rho, J. H.(1998). A Study on the Reinterpretation of ChonJu Palkyong for Improvement of Landscape Identi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4): 25-35. 

  7. Rho, J. H. and Lee, K. W.(2010). Retrospective Lnertia of Historic Spots and Spectacles of Baekje's Sabi Period, Represented in Buyeo's Palkyu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8(3): 14-28. 

  8. Rho, J. H.(2011). A Study on the Transmission Process of Yeoju-Palkyung in Old Poems and Map.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1): 14-27. 

  9. Kwon, J. Y., Kim, S. K. and Sung, J. S.(2016). A Study on the Contents and Distribution of Palgyeong in Gangneung A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4(2): 16-26. 

  10. Kim, J. H. and Bae, H. M.(2006).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election Process in the 8 Great View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1(2): 179-189. 

  11. Kim, J. H. and Ahn, H. K.(2009). A Study on the Type of Daegu and Gyeongbuk 8 Great Views and the Structure of Scenic Resources-Basic Data Analysis for the Use of Cultural Tourism Resourc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11): 291-298. 

  12. Song, M. J. and Son, I.(2011). The Landscape Analysis of The Modern Eight Famous Views(八景): A Case Study on The 12 Cities and Counties in the Kyeongsangnam-Do.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23(2): 77-99. 

  13. Jung, W. J. and Hwang, K. W.(2019). A Study on the Setting Process and Form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eonyu Eight Scenic in Gogunsan Island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7(4): 32-50. 

  14. Lim, E. J. and So, H. S.(2016).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Waterscape Elements from the Chapter Sancheon of the Volumes Gyeongsang-province in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4(2): 1-15. 

  15. Choi, J. H.(2000). A study on Annhook's view of the scene on the Kwundongbyulko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8(2): 49-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