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濟州) 향토(鄕土) 돌문화경관(景觀)자원의 인지적 특성 분석 - 한·중 비교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Resources of Je-ju Local Stone Culture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China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1, 2020년, pp.132 - 141  

임진강 (고구려대학교 건축조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세계적 유산 가치를 지닌 제주도 돌문화경관자원에 대한 기초적 조사로써 다양한 제주 향토자원의 우수성과 앞으로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적 자료 제공에 궁극적 목적이 있다. 제주 돌문화자원의 경관적 특성을 도출하고자 문헌연구와 함께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돌문화자원에 대한 인식 및 이미지 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이에 한·중국인이 가지는 있는 제주돌문화경관의 인식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제주의 대표적 향토자원은 돌이고, 그것의 큰 특징은 자연성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돌문화자원의 이미지에 있어 "조화로운", "매력적인",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높게 평가하였고, 밭담을 "아름다운", 돌하르방을 "친근한"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한·중인이 가장 선호하는 돌문화자원은 밭담과 돌하르방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선호도에는 서로 차이가 존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basic study of the stone cultural landscape resources of Jeju Island with the value of world heritage. It has the ultimate purpose of providing basic resources for the advantages of various Jeju local resources and futur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Literature research and field sur...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세계적 유산 가치를 지닌 제주도의 문화자원에 대한 기초조사로써 다양한 제주 향토자원의 우수성과 앞으로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적 자료 제공의 궁극적 목적이 있으며, 제주의 문화자원에 대한 인식 및 이미지 등의 기초적인 조사를 통하여 자원의 중요성과 대중의 기초적 인식을 알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즉, 제주의 돌 문화는 제주만의 특수한 생활환경의 조건 안에서 오랜 시간에 거쳐 만들어진 독특한 삶의 대한 경관으로 잠재력이 큰 소중한 자원임이 틀림없다. 이에 돌문화경관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중함과 자원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알아야하기에 돌문화경관에 대해 많은 자원 중 어떠한 경관자원을 선호하는지, 그러한 자원은 어떠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본 연구를 통해 한·중국인이 가지는 제주 돌문화경관에 대해 깊이 고찰하고자 한다.
  • 제주의 많은 개발과 변화에 의한 향토자원의 무분별 소실이 일어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보전방안을 강구하는 차원에서 제주의 대표적 문화경관 자원을 도출하고 자원에 대한 이미지 및 인식을 분석하여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무분별한 지역개발은 전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대 문제이며 특히 제주도의 경우는 심각한 상황이라 하겠다. 대내외적으로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관광지는 예나 지금이나 제주도를 꼽을 것이다. 제주도는 천연자원과 자연경관을 대표하는 관광지로서 국제적으로 계속 그 명성이 커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호 및 적극적인 제재의 차원의 정책적 접근이 필요한 이유는? 제주도는 천연자원과 자연경관을 대표하는 관광지로서 국제적으로 계속 그 명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개발과 발전 이면에는 난개발과 대규모 공사로 인한 제주 경관의 훼손 등 많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는바, 이제는 관리의 차원이 아니라 보호 및 적극적인 제재의 차원에서 지자체의 정책적 접근이 있어야 한다고 본다.
돌문화 경관자원에 대한 보호와 관리 측면의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특성이 분명하게 나타나는데 특히 제주 전 구역에 분포하고 있는 돌문화경관자원은 제주 경관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도 흔치 않은 모습으로 제주만의 특별한 경관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제주 향토 자원인 ‘돌문화 경관자원’에 대한 보호 및 관리 측면의 연구 시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ee, H. L.(2017). Spatial Analysis of the Confucian Cultural Landscapes at Jeongeuihyanggyo,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5(4): 29-42. 

  2. Lim, J. K., Min, B. W. and Kim, D. C.(2017). A Study on the Importance about Stone Cultural Landscape Resources in Jeju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Method :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Chin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45(1): 16-27. 

  3. Lee, H. L.(2015). A Study on the Confucian Cultural Landscape of Daejeonghyanggyo at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3(-): 17-33. 

  4. Kim, S. B. and Park, T. H.(2011). A Study of Use and Symbolism of Dongjaseok Seen from Components of Jeju Graveyard Landscap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9(2): 143-153. 

  5. Kang, S. G.(2011).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the Field Walls on Jeju Island as the Cultural Landscape.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Photo-Geographers. 21(3): 223-233. 

  6. Lee, S. W. and Kim, M. K. .(2012). Study on Height of Stony Walls in Coastal Villages of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47(3): 390-406. 

  7. Ban, Y. U., Lee, T. H., Baek, J. I. and Kim, M. A.(2012). Selecting Representative Landscape Adjectives in Accordance with Landscape Units and Space Type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5(2): 95-101. 

  8. Ryu, J. S.(2012).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Vocabulary and Image Analysis for Evaluating Urban and Rural Landscape. Master thesis of Chung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9. Seung, J. H.(2010). Visual Landscape Assessment Model Development for Agricultural Production Landscapes. Doctoral thesis of Kyung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10. Yoo, N. H., Ban, T. U., Baek, J. I., Kim, Y. M. and Yu, H. S.(2009). Participatory Selecting Representative Landscape Adjectives Through Factor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26(2): 153-155 

  11. Kim, Y. M., Yoo, N. H., Ban, T. U., Baek, J. I. and Yu, H. S.(2009). Resident-Participatory Landscape Adjectives for Evaluation about Rural Landscape Status Quo.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Autumn Conference Abstract. pp. 645-653. 

  12. Lee, B. Y.(2004).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ices for the visual analysis of rural landscape. Master thesis of Seoul University Graduate School. 

  13. Joo, S. H. and Im, S. B.(2003). A Study on the Landscape Adjectives for Urban Landscap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1): 1-10. 

  14. Kim, S. H.(Author) Kim, H. D.(Translator)(1992). NamSaRok(南?錄). Seoul: Young Ga Publisher. 

  15. Deeo Rooted Tree Publishing House(1989). The Discovery of Korea. Seoul: Deeo Rooted Tree Publishing House. 

  16. Oh, C. W. and Park, C. S.(1991). Geography and Custom of Our Country. North Korea: Geumseong Youth Publisher. 

  17. Cheju-do(Korea). Ministry of Culture and Sports(1997). Jeju Folk Ruins. Jeju: Cheju-do. 

  18. Cheju-do(Korea)(1985). Legendary land of Jeju Island. Jeju: Cheju-do. 

  19. Woo, G. S.(2002). Cave. Seoul: jisungs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