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트레드밀 훈련이 족저압, 하지 근 기능, 균형에 미치는 융복합적 효과 : 메타분석
Convergence Effects of Treadmill Training on Plantar Pressure, Lower Limb Muscle Function, and Balance in Chronic Stroke : A Meta-Analysi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5, 2020년, pp.87 - 96  

최기복 (조선대학교병원 재활치료팀) ,  조성현 (남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메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트레드밀 훈련의 융복합적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PICOS 기준에 의거하여 문헌을 검색한 후 총 22편의 국내 '뇌졸중', '트레드밀' 관련 연구물을 선정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 CM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국내 트레드밀 훈련의 전체 효과크기는 0.661(95%CI: 0.456~0.865)로 중간크기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트레드밀 훈련의 효과를 족저압(1.147), 하지 근 기능(0.875), 균형(0.664)으로 나누어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족저압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추가로 균형은 하위항목들을 나누어 분석하였고, 균형은 TUG(0.553), BBS(0.760), 정적균형지수(0.654)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따라서 트레드밀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한다. 트레드밀 훈련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는 정보, 통신 및 의료기술의 헬스케어 융합을 향한 업계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nvergence effectiveness of treadmill training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through a meta-analysis. After searching the literature based on the patients,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criteria, and study desigan, a total of 22 studies related to ...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트레드밀 훈련이 족저압, 하지 근 기능, 균형 효과에 대한 검증을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트레드밀 훈련에 대한객관적인 증거를 제시하여 근거중심의 임상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만성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 회복을 위해 하지 근 기능, 족저압, 균형의 영향을 주는 트레드밀 훈련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다양한 트레드밀 훈련의 적용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체계적인 메타분석법을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트레드밀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국내 22편의 논문을 종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트레드밀 훈련에 대한 효과크기를 알아본 결과 전체 효과크기가 0.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트레드밀 훈련이 족저압, 하지 근 기능, 균형 효과에 대한 검증을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트레드밀 훈련에 대한객관적인 증거를 제시하여 근거중심의 임상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O. D. Adebayo & G. Culpan. (2019). Diagnostic accuracy of computed tomography perfusion in the prediction of haemorrhagic transformation and patient outcome in acute ischaemic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opean Stroke Journal, 5(1), 4-16. DOI : 10.1177/2396987319883461 

  2. R. W. Bohannon. (2007). Muscle strength and muscle training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39(1), 14-20. DOI : 10.2340/16501977-0018 

  3. F. Khan, H. Anjamparuthikal & M. F. Chevidikunnan. (2019). The comparison between isokinetic knee muscles strength in the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limbs and correlating with function of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Neurosciences in Rural Practice, 10(4), 683-689. DOI : 10.1055/s-0039-1700612 

  4. A. S. Ryan, C. L. Dobrovolny, G. V. Smith, K. H. Silver & R. F. Macko. (2002). Hemiparetic muscle atrophy and increased intramuscular fat in stroke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3(12), 1703-1707. DOI : 10.1053/apmr.2002.36399 

  5. T. Tanaka, Y. Kariya & Y Hoshino. (2004). Histochemical study on the changes in muscle fibers in relation to the effects of aging on recovery from muscular atrophy caused by disuse in rats. Journal of Orthopedic Science, 9(1), 76-85. DOI : 10.1007/s00776-003-0734-7 

  6. T. Hortobagyi et al. (2000). Changes in muscle strength, muscle fibre size and myofibrillar gene expression after immobilization and retraining in humans. The Journal of physiology, 524(1), 293-304. DOI : 10.1111/j.1469-7793.2000.00293.x 

  7. M. Kivimaki et al. (2019). Physical inactivity, cardiometabolic disease, and risk of dementia: an individual-participant meta-analysis. BMJ, 365, I1495. DOI : 10.1136/bmj.l1495 

  8. A. S. Aruin, T. Hanke, G. Chaudhuri, R. Harvey & N. Rao. (2000). Compelled weight bearing in persons with hemiparesis following stroke: the effect of a lift insert and goal-directed balance exercis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37(1), 65-72. 

  9. J. S. Roh & T. H. Kim. (2001). Reliability of plantar pressure meaures using the parotec system. Physical Therapy Korea, 8(3), 35-41. 

  10. H. W. Yoon, S. Y. Lee & H. M. Lee. (2009). The comparison of plantar foot pressure in normal side of normal people, affected side and less affected side of hemiplegic patients during stance pha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4(2), 87-92. 

  11. S. B. O'Sullivan & T. J. Schmitz. (2007). Physical rehabilitation. ed. Philadelphia : FA Davis Company. 

  12. A. Shumway-Cook & M. H. Woollacott. (2007).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Lippincoot Williams & Wilkins, 108-105. 

  13. R. A. Geiger, J. B. Allen, J. O'Keefe & R. R. Hicks. (2001). Balance and mobility following stroke: effect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with and without biofeedback/forceplate training. Physical Therapy, 81(4), 995-1005. DOI : 10.1093/ptj/81.4.995 

  14. J. J. Eng & K. S. Chu. (2002).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3(8), 1138-1144. DOI : 10.1053/apmr.2002.33644 

  15. V. Dietz. (2009). Body weight supported gait training : from laboratory to clinical setting. Brain Research Bulletin, 78(1), 1-6. DOI : 10.1016/S0361-9230(08)00410-3 

  16. E. W. Miller, M. E. Quinn & P. G. Seddon. (2002).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and overground ambulation training for two patients with chronic disability secondary to stroke. Physical Therapy, 82(1), 53-61. DOI : 10.1093/ptj/82.1.53 

  17. J. S. Kim, J. H. An, H. H. Lee, H. J. Park & K. I. Ki. (2017). The effect of treadmill gait training accompanied by visual feedback on the gait and bal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PNF and Movement, 15(2), 133-140. DOI : 10.21598/JKPNFA.2017.15.2.133 

  18. Y. J. Kim. (2018). Effects of underwater and ground treadmill walking training on the foot pressure and the walking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Master's thesis, Youngsan University, Busan. 

  19. J. Park, B. R. Kim & T. H. Kim. (2018). Effects of visual feedback and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on walking of stroke patients induced by treadmill walking training. Physical Therapy Korea, 25(2), 53-61. DOI : 10.12674/ptk.2018.25.2.053 

  20. K. J. Kim & K. H. Kim. (2018). Progressive treadmill cognitive dual-task gait training on the gait 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14(5), 821-828. DOI : 10.12965/jer.1836370.185 

  21. S. Y. Park & I. S. Shin. (2012). Meta-analysis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hemiplegic stroke patient in korea. Physical Therapy Korea, 19(2), 59-68. DOI : 10.12674/ptk.2012.19.2.059 

  22. M. Borenstein, L. V. Hedges, J. P. Higgins & H. R. Rothstein.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 UK : John Wiley & Sons, Ltd. 

  23. S. Hesse, C. Werner, T. Paul, A. Bardeleben & J. Chaler. (2001). Influence of walking speed on lower limb muscle activity and energy consumption during treadmill walking of hemiparetic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2(11), 1547-1550. DOI : 10.1053/apmr.2001.26607 

  24. N. M. Salbach, N. E. Mayo, S. Wood- Dauphinee, J. A. Hanley, C. L. Richards & R. Cote. (2004). A task-orientated intervention enhances walking distance and speed in the first year post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18(5), 509-519. DOI : 10.1191/0269215504cr763oa 

  25. H. S. Shin. (2015). Effects of inclination tread mill training for dynamic stretching on the spasticity and gait of chronic stroke patients.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