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목관절의 시각되먹임 운동 이후 기능적 전기자극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Ankle Joint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fter Visual feed-back Ankle training to Improve on Balance, Gait ability in Patient with Chronic Strok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5, 2020년, pp.253 - 260  

김동훈 (김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경훈 (김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되먹임 발목관절 운동 이후 기능적전기자극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및 보행능력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선정기준에 따라 만성 뇌졸중 환자를 22명을 대상으로 두 군으로 실시하였다. VFAF군은 시각되먹임 발목관절운동 이후 기능적전기자극치료(n=11), CON군(n=11)은 보존적 물리치료를 시행하였다. 훈련은 1일 60분, 1주 5번, 총 8주간 시행하였다. 중재 전·후에 균형과 보행능력을 검사하였다. 훈련결과 VFAF군이 COP, LOS, BBS, FRT, 10m WT에서 CON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시각적 되먹임 발목관절 운동 이후 기능적전기자극치료의 융합은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및 보행능력의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로 임상에서 활용 될 수 있으며, 향후 졸중 환자를 위한 융합중재개발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Visual feed-back ankle training combined with Ankle joint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balance, gait ability on patient with Chronic Stroke. A total of 22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divided into VFAF Group, CON group. Each group performed...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시각적 되먹임 훈련 이후 기능적 전기자극을 실시하는 방법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능력에 효과적이다. 또한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 능력의 향상을 위한 중재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오랜 시간의 치료가 요구되는 뇌졸중 환자 중재 방법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시각되먹임 훈련 이후 기능적 전기자극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시각되먹임 훈련과 발목관절 기능적 전기자극을 병행한 군(11명)과 보존적 치료군(11명)의 중재를 통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시각적 되먹임의 발목관절 운동 이후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유사실험연구의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로 시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 되먹임 훈련과 기능적 전기 자극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자세 균형능력과 보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아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 및 보행 기능 증진을 위한 중재에 참고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구체적 가설은 시각적 되먹임을 통한 발목관절 운동이후 기능적 전기자극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N. E. Mayo, S. Wood-Dauphinee, R. Cote, L. Durcan & J. Carlton. (2002). Activity,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6 months poststroke. Archives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83(8), 1035-1042. 

  2. S. Y. Kim & I. H. Kim. (2018). Factors convergent influencing rehabilitation motivation among stroke pati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9), 375-384. 

  3. S. G. Chung, E. VanRey, Z. Bai. E. J. Roth & L. Q. Zhang. (2004). Biomechanic changes in passive properties of hemiplegic ankles with spastic hypertonia.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85(10), 1638-1646. 

  4. D. H. Kim, J. Y. Ko & Y. K. Woo. (2013). Effects of dual task training with visual restriction and an unstable base on the balance and attention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5(12), 1579-1582. Doi : 10.1589/jpts.25.1579. 

  5. P. Lisinski, J. Huber, E. Gajewska & P. Szlapinski. (2012). The body balance training effect on improvement of motor functions in paretic extremities in patients after stroke. a randomized, single blinded trial. Clinical Neurology Neurosurg, 114(1), 31-36. Doi : 10.1016/j.clineuro.2011.09.002. 

  6. D. H. Kim & K. H. Kim. (2018).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with mirror therapy 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109-120. 

  7. A. Shumway-cook & M. H. Woolacott. (2006). Motor control :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3rd edition. Philadelphia, US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8. G. Yavuzer et al. (2008). Mirror therapy improves hand function in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9(3), 393-398. Doi : 10.1016/j.apmr.2007.08.162. 

  9. H. O. Karnath. (1996). Optokinetic stimulation influences the disturbed perception of body orientation in spatial neglect.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y, and Psychiatry, 60(2), 217-220. 

  10. I. V. Bonan et al. (2004). Reliance on visual information after stroke. part II: Effectiveness of a balance rehabilitation program with visual cue deprivation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85(2), 274-278. 

  11. M. Grace Gaerlan, P. T. Alpert, C. Cross, M. Louis & S. Kowalski. (2012). Postural balance in young adults: the role of visual, vestibular and somatosensory system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24(6), 375-381. Doi : 10.1111/j.1745-7599.2012.00699.x. 

  12. P. Giraux & A. Sirigu. (2003). Illusory movements of the paralyzed limb restore motor cortex activity. Neuroimage, 20(suppl 1), 107-111. 

  13. S. W. Lee, K. J. Lee & C. H. Song. (2011). Effects of visual feedback-based balance training on balance in elderly faller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8(1), 16-27. 

  14. N. M. Kapadia et al. (2013).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for recovery of reaching and grasping in severe chronic pediatric stroke patient. Journal of Child Neurology, 29(4), 493-502. Doi : 10.1177/0883073813484088. 

  15. D. H. Kim & K. H. Kim. (2018).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with mirror therapy 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9(10), 109-120, 

  16. J. Cauraugh, K. Light, S. Kim, M. Thigpen & A. Behrman. (2000). Chronic motor dysfunction after stroke: recovering wrist and finger extension by electromyography-trigered neuromuscular stimulation. Stroke, 31(6), 1360-1364. 

  17. Y. Yang, Q. Zhao, Y. Zhang, Q. Wu, X. Jiang & G. Cheng. (2018). Effect of mirror therapy on recovery of stroke survivors: a systematic review nd network Meta-analysis. Neuroscience, 390(15), 317. Doi : 10.1016/j.neuroscience.2018.06.044. 

  18. K. H. Kim, S. M. Lee, D. H. Kim & K. S. Kim. (2015). The Effects of ankle joint muscle strengthening and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s accompanied by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stroke patients' balanc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7(9), 2971-975. Doi : 10.1589/jpts.27.2971. 

  19. M. L. Latash, S. S. Ferreira, S. A. Wieczorek & M. Duarte. (2003). Movement sway: changes in postural sway during voluntary shifts of the center of pressure. Experimental brain research, 150(3), 314-324. 

  20. K. O. Berg, S. L. Wood Dauphinee, J. I. Williams & B. Maki. (1992).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validation of an instrument.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41(6), 304-311. 

  21. P. W. Duncan, D. K. Weiner, J. Chandler & S. Studenski. (1990). Functional reach: a new clinical measure of balance. Journal of gerontology, 45(6), 192-197. 

  22. C. M. Dean, C. L. Richards & F. Malouin. (2000).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ives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81(4), 409-417. 

  23. R. K. Tong, M. F. Ng, L. S. Li & E. F. So. (2006). Gait training of patients after stroke using an electromechanical gait trainer combined with simultaneou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Physical Therapy, 86(9), 1282-1294. 

  24. C. Krishnan, D. Kotsapouikis, Y. Y. Dhaher & W. Z. Rymer. (2013). Reducing robotic guidance during robot-assisted gait training improves gait function: a case report on a stroke survivor.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4(6), 1202-1206. 

  25. S. J. Park, T. H. Kim, J. H. Go & P. S. Youn. (2017). The impact of convergence balance training and taping on spasticity and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297-306. 

  26. T. G. Nam & J. H. Lee. (2017). The effect of unstable plate on the ankle joint displacement and dynamic balance abi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wearing high-heeled sho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5), 31-38. 

  27. S. Y. Kim & I. Hong. Kim. (2018). Factors convergent Influencing rehabilitation motivation among stroke pati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9), 375-384. 

  28. J. M. Kim, B. I. Yang & M. K. Lee. (2010).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al physical training on manual dexterity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korea, 17(2), 17-24. 

  29. K. Zentgraf et al. (2005). Differential activation of pre-SMA and SMA proper during action observation: effects of instructions. Neuroimage, 1(26), 662-672. 

  30. Z. Pavare, I. Garuta, T. Ananjeva & A. Smolovs. (2015). Gait rehabilitation of post-stroke patients by treadmill gait training with visual feedback. Gait and Posture, 1(42), S69-S70. 

  31. H. Aizawa, M. Inase, H. Mushiake, K. Shima & J Tanji. (1991). Reorganization of activity in the supplementary motor area associated with motor learning and functional recovery. Experimental Brain Research, 84(3), 668-671. 

  32. G. Bartur, H. Pratt, R. Dickstein, S. Frenkel-Toledo, A. Geva & N. Soroker. (2015). Electrophysiological manifestations of mirror visual feedback during manual movement. Brain research, 1606, 113-124. Doi : 10.1016/j.brainres.2015.02.029. 

  33. H. Thieme, J. Mehrholz, M. Pohl, J. Behrens & C. Dohle. (2013). Mirror therapy for improving motor function after stroke. Stroke. 44(1), e1-2. 

  34. D. Lee, G. Lee & J. Jeong. (2016). Mirror therapy with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for improving motor function of stroke survivors: a pilot randomized clinical study. Technology and health care, 27(4), 503-511. Doi : 10.3233/THC-161144. 

  35. J. Liepert, H. Bauder, W. H. Miltner, E. Taub & C. Weiller. (2000). Treatment-induced cortical reorganization after stroke in humans. Stroke, 31(6), 1210-1216. 

  36. C. K. Thomas, R. S. Johansson & B. Bigland-Ritchie. (2002). Incidence of F waves in single human thenar motor units. Muscle Nerve, 25(1), 77-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