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기반 학생 건강검진 참여 결정에 대한 연구
Study on Opt-in of School-Based Student Health Screening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5, 2020년, pp.289 - 297  

조기범 (한양대학교 스포츠과학부) ,  이호준 (서울여자대학교 체육학과) ,  김승용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초록

본 연구는 학교를 기반으로 하는 학생 건강 검진 참여를 결정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주의 건강 관리사 6명이며, 자료 수집은 전화 인터뷰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 건강에 대한 관심과 외부적인 압박, 그리고 무료 검진에 의해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 검진에 대한 지식 부족, 가정 통신문에 대한 무관심, 그리고 자녀의 정보 노출에 대한 불안감, 피를 뽑아야 하는 두려움이 동의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강 검진의 장점으로 모든 절차가 무료로 진행된다는 점이었다. 넷째, 학부모가 동의를 결정하는 주된 결정권자이지만 때로는 자녀에게 그 결정권이 존재하고 있었다. 다섯째, 학생 주변에 존재하는 교사, 동료학생, 학교 모두 참여를 결정지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가정 통신문 개선, 학부모 및 교사 교육, 무료 검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determining school-based student health screening participation. Participants were six health coordinators in West Virginia, the United States. They have responsibilities in the student health screening and conducted a phone interview.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강 관리사들에게 학교를 기반으로 한 학생 건강 검진에 대한 총괄적인 의견을 조사하여 이를 검토함으로써 국내 학생 건강 검진의 참여율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고 한다.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는 몇 가지 주요한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 이는 연구자의 과장된 해석을 최소화하고, 알맞은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는지, 면담내용이 주제별로 적합하게 범주화되었는지에 대해 동료 연구자들과 협의하는 과정을 말한다. 본 연구는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일련의 과정 동안 웨스트버지니아주 학생 건강 검진 총괄 책임자와 체육대학 교수 1명, 그리고 질적 연구를 주로 수행하는 교수 1명과 수차례 비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면담 내용에 대한 의미를 적합하게 분석하는 노력을 하였다.
  • 본 연구는 미국의 학생 건강 검진을 관장하는 건강 관리사들에게 학생들이 건강 검진에 참여하는 이유와 그렇지 않은 이유, 참여를 통한 이점, 참여 의사 결정권자 등에 대해 전화 인터뷰함으로써 향후 국내 학생 건강 검진이 정착되었을 때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자가 조사한 여섯 가지 질문 중 건강 검진에 참여했을 때 단점을 묻는 문항에 대해서는 참여자 모두 없다라고 답을 한 이유로 이 문항은 결과에서 제외한 뒤에 기술하였다.
  • 본 연구는 전화인터뷰를 통해 얻은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화인터뷰를 통해 얻은 통화내용은 Spradley의 귀납적 범주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14].
  • 이를 위해 인터뷰 내용을 모두 전사처리 하였으며, 전사된 자료를 2-3회 이상 반복하여 읽은 뒤 주제 영역 속에서 관련성이 있는 것을 선정한 뒤 관련된 단어 혹은 문장을 주제별로 귀납해 범주화(categorization)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렇게 범주화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들에게 돌아가 면담 내용과 일치하는지 확인하였다.
  • 웨스트버지니아주의 학생 건강 검진은 Coronary Artery Risk Detection in Appalachian Communities(CARDIAC) 프로젝트로 불리며 1998년부터 2019년 현재까지 매년 실시되고 있다.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학교 현장에서 무료로 건강 검진을 제공하며 학생들의 건강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학생 및 학부모에게 건강교육을 제공함으로써 학생이 성인이 되기 전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는 주체로서 성장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이 프로젝트의 특징은 학생 건강 검진에 따른 결과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검진 결과에 따라 학교와 지역사회가 주어진 환경에서 모든 자원을 지원해준다.

가설 설정

  • 첫째, 가정 통신문의 중요성을 인지해야 한다. 학생 건강 검진의 설명을 시작으로 동의서 회신, 건강 검진 결과제공까지 이 모든 과정은 가정 통신문을 통해 제공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E. A. Kramarow & B. Tejada-Vera. (2019). National Vital Statistics Reports. National Vital Statistics Reports, 68(2), 1-18. 

  2. T. D'lsanto, A. Manna & G. Altavilla. (2017).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Sport Science, 10(1), 100-105. 

  3. F. U. Jung & C. Luck-Sikorski. (2019). Overweight and lonely? A representative study on loneliness in obese people and its determinants. Obesity Facts, 12(40), 440-447. DOI : 10.1159/000500095 

  4. C. V. Harris & W. A. Neal. (2009). Assessing BMI in West Virginia schools: parent perspectives and the influence of context. Pediatrics, 124(Supplement 1), S63-S72. DOI : 10.1542/peds.2008-3586i 

  5. S. A. Carlson, D. Densmore, J. E. Fulton, M. M. Yore & H. W. Kohl. (2009).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prevalence and trends from 3 US surveillance systems: NHIS, NHANES, and BRFSS.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6(s1), S18-S27. DOI : 10.1123/jpah.6.s1.s18 

  6. M. Y. Kubik, M. Story & G. Rieland. (2007). Developing school-based BMI screening and parent notification programs: findings from focus groups with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ealth Education & Behavior, 34(4), 622-633. DOI : 10.1177/1090198105285373 

  7. P. Branscum & M. Sharma. (2012). After-school based obesity prevention intervention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9(4), 1438-1457. DOI : 10.3390/ijerph9041438 

  8. K. Resnicow. (1993). School-based obesity prevention: population versus high-risk interventions.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699(1), 154-166. DOI : 10.1111/j.1749-6632.1993.tb18847.x 

  9. M. Rukstalis & C. Hauer. (2011). C-B5-05: early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in primary care: opt-in versus opt-out recruitment strategies. Clinical Medicine & Research, 9(3-4), 163-164. DOI : 10.3121/cmr.2011.1020.c-b5-05 

  10. E. M. Taveras et al. (2011).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improve primary care to prevent and manage childhood obesity: the High Five for Kids study.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65(8), 714-722. DOI : 10.1001/archpediatrics.2011.44 

  11. S. Bellman, E. J. Johnson & G. L. Lohse. (2001). On site: to opt-in or opt-out? it depends on the question. Communications of the ACM, 44(2), 25-27. DOI : 10.1145/359205.359241 

  12. Ministry of Education. (2019). 2018 Student health screening results, Seoul : Ministry of Education Publishing. 

  13.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November, 20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ttp://www.mohw.go.kr/reach/modules/download.jsp?BOARD_ID1020%CONT_SEQ347391&FILE_SEQ245132 

  14. J. P. Spradley. (2016). The ethnographic interview. Illinois: Waveland Press. 

  15. C. Y. Lee, J. A. Kim & S. H. Kim. (2013). Comparison of preventive health behaviors in adults aged 50-64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2), 161-171. DOI : 10.12799/jkachn.2013.24.2.161 

  16. Y. J. Jeun. (2013). EMR system and patient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7(3), 213-224. DOI: 10.12811/kshsm.2013.7.3.213 

  17. Y. J. Kim. (2018).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looking into a case of an elementary school.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6), 517-526. DOI : 10.21742/AJMAHS.2018.06.83 

  18. Y. J. Oh. (2018). Rol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for school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Journal of Cultural Exchange, 7(3), 79-99. DOI : 10.30974/kaice.2018.7.3.79 

  19. T. R. Wagner & C. Manolis. (2012). The fear associated with blood and organ donation: an explication of fright and anxiety. Progress in Transplantation, 22(2), 200-206. DOI : 10.7182/pit2012467 

  20. C. Maitland, G. Stratton, S. Foster, R. Braham & M. Rosenberg. (2013). A place for play? the influence of the home physical environment on children's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ur.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10(1), 99. DOI : 10.1186/1479-5868-10-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