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거주 뇌졸중 환자의 가정방문 작업치료 효과: 사례 연구
Effect of Home-Visit Occupational Therapy on Community Dwelling Stroke Survivors: A Case Study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9 no.2, 2020년, pp.87 - 98  

정은화 (극동대학교 의료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재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방문 작업치료를 제공한 사례를 통해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서울시 소재 보건지소에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를 신청한 뇌졸중 환자 두 명을 대상으로 가정방문 작업치료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일상생활동작 기능, 작업수행 기능, 인지기능, 정서 기능을 평가하고 클라이언트 중심 접근(Client-centered approach)을 기반으로 작업치료 목표를 설정하고 중재를 계획하였다. 작업치료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의 주요 문제를 바탕으로 여가 활동 탐색 및 참여를 목표로 설정하여 12회기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 두 사례 모두 COPM 점수에 향상이 있었고, 사례 2에서 MBI와 K-MMSE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또한 사례 1에서 KGDS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결론 : 가정방문 작업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향상 및 경제적 부담 등을 고려하면서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인지, 정신적 기능의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정 및 지역사회 통합에 있어 기관중심재활에서 지역사회중심재활로 지속적이고 연속된 재활 서비스가 활성화가 요구되어지며, 병원에서 퇴원하는 뇌졸중 환자들의 신체적, 인지적, 정신적 및 사회적 접근의 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가정방문 작업치료서비스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home-visit occupational therapy in stroke patients. Methods : Two patients with stroke who applied for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at a health center in Seoul were enrolled. The home-visit occupational therapy prog...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에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가정방문 작업치료가 시행되고 있으나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필요성과 높은 요구도에도 불구하고 보건소에서 시행하는 방문재활 서비스는 가정방문 간호 또는 물리치료 서비스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An & Kim, 2016; Choi, 2005). 따라서 본 연구는 보건소와 연계된 재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방문 작업치료를 제공한 사례를 통해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보건소와 연계된 재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방문 작업치료를 제공한 사례를 통해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사례 연구였다. 본 연구는 사전 평가 및 사후 평가의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는 사전-사후 검사의 연구로, 서울시 소재 보건지소에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를 신청한 뇌졸중 환자 두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사전 평가 및 사후 평가의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는 사전-사후 검사 설계의 사례 연구이었다. 사례 1은 2018년 9월부터 12월까지 매주 1회 2시간씩 12회기의 가정방문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 본 연구는 보건소와 연계된 재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방문 작업치료를 제공한 사례를 통해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사례 연구였다. 본 연구는 사전 평가 및 사후 평가의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는 사전-사후 검사의 연구로, 서울시 소재 보건지소에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를 신청한 뇌졸중 환자 두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가정방문 작업치료 프로그램은 매주 1회 2시간씩 12회기로 진행되었고, 대상자의 일상생활동작 기능, 작업수행 기능, 인지기능, 정서 기능을 평가하고 클라이언트 중심 접근 (Client-centered approach)을 기반으로 작업치료 목표를 설정하고 중재를 계획하였다.
  • 본 연구는 재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방문 작업치료를 제공한 두 사례를 통해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또한 본 사례에서 인지기능은 K-MMSE의사전 평가 10점에서 사후 평가 13점으로 시간 및 장소 지남력과 언어기능의 쓰기 항목에서 향상을 보였다. 즉, 본 연구는 COPM 평가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일상생활활동 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한 과제 지향적 활동 및 일상생활활동 훈련과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인지 자극 훈련을 시행하여 일상생활활동 및 인지기능의 증진을 나타냈다. 선행 연구에 의하면 뇌졸중 환자의 과제 지향적 활동은 지남력, 시지각, 운동 실행, 주의집중력 등의 인지기능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 으며,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에도 효과적임을 보고함으로써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Bang, 200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방문 작업치료(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가 시작된 배경은 무엇인가? 가정방문 작업치료(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는 미국 지체장애협회 가정관리부에서 환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가정에서 재활을 위한 작업치료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시작되었다(Jackson, 1992). 가정방문 작업치료는 퇴원 후 클라이언트가 속한 환경에 적응하고 재진입하기 위해 일상생활활동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가원하는 활동이 가능하도록 중재한다(Rostami &Malamiri, 2012).
뇌졸중으로 야기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혈관 장애로 인해 갑작스러운 신경학적증상의 발생으로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기능 상실을초래하며, 신체적, 인지적, 또는 정신적 측면의 후유장애로 인해 독립적인 일상생활에 제한이 발생한다(Gillen, 2013). 이러한 뇌졸중 환자들은 의료기관에서급성기 치료를 마친 후 지역사회로 복귀하면서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한다.
뇌졸중 환자들이 복귀 후에 있을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어떠한 훈련 및 과정을 진행하는가? 이러한 뇌졸중 환자들은 의료기관에서급성기 치료를 마친 후 지역사회로 복귀하면서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한다. 따라서 화장실 사용, 식사하기, 옷입기, 이동하기 등 일상생활활동 및 수단적 일상생활활동과 사회 참여를 위한 훈련을 하는 작업치료를 통해독립성을 회복하고, 환자와 보호자가 모두 이전의 역할을 되찾아 가정 및 사회로의 복귀를 촉진시키는 가정방문 작업치료가 요구되어진다(Gillen, 2015; Lee &Sagong,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hn, Y. H., Jang, S. J., & Choi, G. (2006). Outcome assessment of a demonstration project on integration of home visiting health care and social welfare servic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 5-15. 

  2. An, T. G., & Kim, K. U. (2016). Need on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caregiving burden: Busan and South Gyeongsang areas centered around.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7(4), 117-132. doi:10.22143/HSS21.7.4.7 

  3. Bang, Y. S. (2007). The effects of task-oriented activities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5(3), 49-61. 

  4. Carpenter, L., Baker, G. A., & Tyldesley, B. (2001). The use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s an outcome of a pain management program.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1), 16-22. doi:10.1177/000841740106800102 

  5. Choi, H. S. (2005). Need on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for person with strok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3(2), 9-21. 

  6. Creek, J. (1990). The knowledge base of occupational therapy in occupational therapy and mental health.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7. De Coninck, L., Bekkering, G. E., Bouckaert, L., Declercq, A., Graff, M. J., & Aertgeerts, B. (2017). Home-and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improves functioning in frail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65(8), 1863-1869. doi:10.1111/jgs.14889 

  8.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3), 189-198. 

  9. Gilbertson, L., & Langhorne, P. (2000).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Stroke patients'satisfaction with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service provision.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3(10), 464-468. doi:10.1177/030802260006301002 

  10. Gillen, G. (2013). Cerebrovascular accident/Stroke. Pendleton, H. M., & Schultz-Krohn, W.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e-book: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7th ed., pp. 844-880). St. Louis: Mosby. 

  11. Gillen, G. (2015). Stroke rehabilitation: A function-based approach. New York: Elsevier Health Sciences. 

  12. Ham, M. Y., Choi, K. S., & Ryu, E. J. (2000). Analysis of nursing studies about stroke research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3(2), 154-168. 

  13. Horneffer, K. J., & Jamison, P. W. (2002). The emotional effects of writing about stressful experiences: An exploration of moderators. Occupational Therapy in Health Care, 16(2-3), 77-89. doi:10.1080/J003v16n02_06 

  14. Jackson, B. N. (1992).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Then and now.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6(1), 84-85. 

  15. Jang, C., Song, M., Sa, G., & Byeon, S. (2015). A study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ife quality of stroke patients after the cl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periods of its outbrea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3(2), 79-87. doi:10.15268/ksim.2015.3.2.079 

  16. Ju, J. Y., & Kim, H. S. (2015). The effect of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based on wellness on ADL, depressive disorder, quality of life in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9(4), 423-430. doi:10.21184/jkeia.2015.12.9.4.423 

  17. Jung, I. K., Kwak, D. I., Jeo, S. H., & Lee, H. S. (1998). A preliminary study on standardization of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GD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37(2), 340-351. 

  18. Jung, H. Y., Park, B. K., Shin, H. S., Kang, Y. K., Pyun, S. B., Paik, N. J., ... Han, T. R. (2007).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Multi-center study for subjects with strok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31(3), 283-297. 

  19. Kang, Y. W., Na, D. L., & Han, S. H. (1997). A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15(2), 300-308. 

  20. Kim, J. H. (2011). The service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 : A case stud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1(2), 31-43. 

  21. Kim, D. M., Nam, E. S., Bae, S. S., Shin, D. S., & Choi, Y. J. (2016). Effects of peer support home visiting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a rural area. Mental Health & Social Work, 44(4), 35-63. 

  22. Kim, K. S., Seo, H. M., & Kang, J. Y. (2000). The effects of community based self-help management program on the activity of daily life, muscle strength,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post-stroke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3(1), 108-117. 

  23. King, R. B. (1996).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Stroke, 27(9), 1467-1472. doi:10.1161/01.STR.27.9.1467 

  24. Law, M., Polatajko, H., Pollock, N., McColl, M., Carswell, A., & Baptiste, S. (1994). Pilot testing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linical and measurement issue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1(4), 191-197. doi:10.1177/000841749406100403 

  25. Lee, H. Y., & Sagong, B. (2015). The effect of home based rehabilitation program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efficacy, quality of life among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54(3), 275-291. doi:10.15870/jsers.2015.09.54.3.275 

  26. Legg, L., Drummond, A., & Langhorne, P. (2006). Occupational therapy for patients with problem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fter strok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4), 1-36. doi:10.1002/14651858.CD003585.pub2. 

  27. Lincoln, N. B., Walker, M. F., Dixon, A., & Knights, P. (2004). Evaluation of a multiprofessional community stroke tea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18(1), 40-47. 

  28. McGuire, M. J. (1997). Documenting progress in home ca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1(6), 436-445. 

  29.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2012). 2012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health center business plan.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0. Park, E. O. (2019). Current state and the future tasks of home visit nursing care in South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44(1), 28-38. 

  31. Pollock, N. (1993). Client-centered assessmen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7(4), 298-301. 

  32. Rostami, H. R., & Malamiri, R. A. (2012). Effect of treatment environment on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results in children with spastic hemiplegic cerebral pals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4(1), 40-44. doi:10.3109/09638288.2011.585214 

  33. Tombaugh, T. N., & McIntyre, N. J. (1992).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 comprehensive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0(9), 922-935. 

  34. Townsend, E. A., & Polatajko, H. J. (2007). Enabling occupation II: Advancing an occupational therapy vision for health, well-being, & justice through occupation. Ottawa, Ontario: CAOT Publications ACE. 

  35. Yesavage, J. A., Brink, T. L., Rose, T. L., Lum, O., Huang, V., Adey, M., ... Leirer, V. O. (198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1), 37-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