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경험: 현상학적 접근

Lived experiences toward moral distress among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6 no.2, 2020년, pp.167 - 175  

이소영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김정아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moral distress among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was used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ly, 2019 using open-ended questions during in-depth intervie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국내 요양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를 위한 연구로 도덕적 고뇌 영향요인(Kim, Yu & Lim, 2019)과 도덕적 민감성 (Kim & Kang, 2018)으로 단순한 관계 파악을 위한 양적연구가 전부이며 요양병원 간호사의 실제 근무 시 경험하는 도덕적 고뇌 본질 파악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경험을 심도 있게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Colaizzi (1978)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를 통한 구체적인 속성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이해와 고찰을 바탕으로 요양병원 간호사의 전문직으로서의 도덕적 고뇌의 가치와 의미를 찾으며 자신의 직무에 대한 자부심을 위한 대책 마련을 위한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 참여자의 요양병원 근무 시 가지게 되는 도덕적 고뇌에 대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총체적이고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의 엄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Sandelowski (1986)가 제시한 질적 연구의 신뢰성(credibility), 적합성(fittingness), 감사가능성(auditability), 그리고 확인가능성(confirmability)을 평가기준으로 삼았다. 신뢰성(credibility)을 높이기 위해 연구대상자와 개방형 질문과 면담으로 도출된 자료를 그대로 필사하여 분석에 이용하여 도출된 주제들이 연구 결과로서 적합한지 확인하도록 하였다. 적합성(fittingness)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자료가 나올 때까지 연구대상자와 면담을 수행하였고 연구 결과를 요양병원 입원대 상자를 돌본 경험이 있는 간호사 박사 2인에게 검토하도록 하여 연구결과가 있을 수 있는 내용임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양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경험 중 '돌봄 의미에 대한 혼란과 고뇌'에 대한 조사결과 및 함의는 무엇인가? 요양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에 대한 첫 번째는 ‘돌봄 의미에 대한 혼란과 고뇌’로 자신이 알고 있던 돌봄에 대한 고민과 요양 병원에 대한 자신의 지식이 부족함에 대해 답답함을 호소하고 있었다. 요양병원 환자들은 일반병원 환자들의 입원과는 다르게 죽음을 마지막으로 생각하며 입원하고, 자신의 주변인을 통한 죽음을 경험하며 자신의 죽음을 준비함과 동시에 걱정하고 불안해하 고 있다(Kim, 2011). 또한, 가족이 없는 낯선 환경 속에서 외로움과 자신이 살아온 삶에 대한 허무함도 동시에 경험하고 있었다 (Kim, 2011). 과거 죽음 준비에는 가족이 함께였지만, 현재는 요 양병원 간호사가 그 자리를 함께 하는 사회문화적인 변화가 이루 어지고 있음에도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 교육은 낮게 나타나고 있다(Park, 2007). 이런 준비되지 않은 죽음 앞에 어찌할 수 없는 간호사는 자신의 도덕적 판단의 혼란을 느끼며 고뇌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는 죽음이 가까운 암병 동, 중환자실, 호스피스 병동, 요양 시설과 요양병원에서 무의미한 돌봄을 수행하며 도덕적 고뇌를 경험하고 있었고(Chae et al., 2016; Chae, Yu, Lee & Park, 2017; Kim, Yu & Lim., 2019; Rye & Bang, 2016) 이는 기관 규모, 근무부서와 환자 양상에 따라간 호사들의 도덕적 고뇌 의미와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 이를 비교하여 각각에 적합한 도덕적 고뇌 완화 프로그램을 시행할 필요성이 있다(Natalie et al., 2016). 자신이 요양병원에 관하여 잘 모르는 상황에 관해 답답함을 느끼는 것은 자신이 충분하게 알지 못하는 간호 실무에서 돌봄의 연속성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음을 답답해하는 것이다(Chae et al., 2016). 이는 요양병원 간호사들에게 우리나라 실정을 반영한 요양병원 노인간호 교육과 병원 실무교육의 시행으로 일반병원과 다른 환자 케어법을 알려줌으로 간호사들이 느끼는 답답함과 불안함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Lee & Lee, 2015). 요양병원 간호사들은 간호 전문직으로 자신이 수행해야 하는 것을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음에도 자신이 요양병원이라는 특수한 조직에 의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어 이를 조율할 수 있는 조직적인 관심이 필요하다(Kim & Kang, 2018; Kim & Kim, 2017).
도덕적 고뇌는 무엇인가? 도덕적 고뇌(moral distress)는 간호사 스스로가 어떻게 하는 것이 옳은지 알고 의사결정을 내리지만, 시간 부족, 관리자의 반대, 기관 정책, 법적인 사항 등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느끼게 되 는 심리적 불균형 상태를 의미한다(Corley, Minick, Elswick, & Jacobs, 2005; Jameton, 1993). 이러한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에 대한 국외연구로 Huffman과 Rittenmeyer (2012)는 제도적 제약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할 필요성을 느끼는 경우, 무의미한 치료로 환자에게 고통과 괴로움을 주는 경우, 불필요한 계층구조와 간호사에게 나타나는 생물학적, 심리적 스트레스 반응을 들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는 장기요양 서비스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게 되는가? 3%를 넘으며, 초고령사회 진입을 예상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9). 노인 인구 증가는 장기요양 의료서비스 요구로 나타나 요양병원 수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게 될 것이다. 요양병원 입원환자 대부분은 인지기능과 신체기능 저하로 전문적인 간호서비스에 일상적인 요양업무수행까지 요구하여, 요양병원 간호사는 고강도의 간호업무 수행을 하고 있다(Kang & Sung,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Valle, R. S., & King, M. (Ed),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pp. 48-71).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 Corley, M. C., Minick, P., Elswick, R. K., & Jacobs, M. (2005). Nurse moral distress and ethical work environment. Nursing ethics, 12(4), 381-390 

  3. Chae, Y., Yu, S. J., Lee, E. J., Kang, K. J., Park, M. S., & Yu, M. (2016).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oral distress scale-revised for Korea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2), 228-239.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2.228 

  4. Chae, Y., Yu, S. J., Lee, E. J., & Park, E. H. (2017). The relation among moral distress, physical symptoms and burnout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3(4), 430-440. https://doi.org/10.5977/jkasne.2017. 23.4.430 

  5. Copanitsanou, P., Fotos, N., & Brokalaki, H. (2017). Effects of work environment on patient and nurse outcomes. British Journal of Nursing, 26(3), 172-176. https://doi.org/10.12968/bjon. 2017.26.3.172 

  6. Dukes, S. (1984).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n the human sciences.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23(3),197-203. https://doi.org/10.1007/bf00990785 

  7. Eun, Y. Song, K. A., Ko, S. H., Park, M. H., Kim, J. S., Ki, Y. S., et al.(2010). General studies gerontology nurse practitioner (2nd ed). Seoul: Hyunmonsa. 

  8. Huffman, D. M., & Rittenmeyer, L. (2012). How professional nurses working in hospital environments experience moral distress: a systematic review. Critical Car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24(1), 91-100. 

  9. Hwang, J. W., & Bae, J. G. (2017). Influence of mental health nurses’ moral di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Journal Korean Academy Psychiatr and Mental Health Nursing, 26(4), 325-332. https://doi.org/10.12934/jkpmhn.2017.26.4.325 

  10.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9). Current status of hospital nurses 2018.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11. Jameton, A. (1993). Dilemmas of moral distress: moral responsibility and nursing pratice. AWHONN’s Clinical Issues in Perinatal & Women’s Health Nursing, 4(4), 542-551. 

  12. Jeon, K. B., & Park, M. H. (2019). Relationship of ICU nurses difficulties in end-of-life care to moral di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5(1), 42-51. https://doi.org/10.11111/jkana.2019.25.1.42. 

  13. Kim, M. B. (2011).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The Legislative Policy Study, 5(2), 33-67. 

  14. Kwon, K. J., Park, T. J., & Lee, S. Y. A survey on elderly human rights of geriatric hospitals. Research Service (2014).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NHRCK Publication No. 11-1620000-000571-01). Seoul. 

  15. Kang, H. S., & Sung, K. W. (2015).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geriatric nursing practi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7(1), 29-37. https://doi.org/10.17079/jkgn.2015.17.1.29 

  16. Kim, H.. J., & Kim, H. Y. (2017).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9(3), 290-301. https://doi.org/10.7475/kjan.2017.29.3.290 

  17. Kim, J. A., & Kang, Y. S. (2018). Moral distress and moral sensitivity of nurses working in long 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6), 240-251. https://doi.org/10.5762/KAIS.2018.19.6.240 

  18. Kim, H. S., Yu, S. J., & Lim, K. C. (2019). Influencing factors on moral distress in long-term care hospital and facility nurs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4(5), 121-130. https://doi.org/10.9708/jksci.2019.24.05.121 

  19. Kim, S. B., & Park, Y. G. (2019). Factors associated with person-centered care for elderly in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Korea Journal of Adult Nursing, 31(6), 618-627. https://doi.org/110.7475/kjan.2019.31.6.618 

  20. Kang, M. J. (2019). Concept snalysis of burnout in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Nursing and Health Issues, 24(2), 116-123. https://doi.org/10.33527/nhi2019.24.2.116 

  21. Park, G. S. (2007). The education and achievement on the present condition of hospice nursing of the nurses who work in the geriatric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2. Park, E. M., & Park, J. H. (2018). Influence of moral sensitivity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in person-centered care in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2), 109-118. https://doi.org/10.17079/jkgn.2018.20.2.109 

  23. Prompahakul, C., & Epstein, E. G. (2019). Moral distress experienced by non-Western nurses: An integrative review. Nursing Ethics, 1-18. https://doi.org/10.1177/0969733019880241 

  24. Park, B. H., & Oh, Y. J. (2016). Moral distress experienced by nurses in South Korea: An Integrated review.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19(3), 312-327. 

  25. Park, S. E., & Yeom. E. Y. (2016). Experience of the role conflict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7), 368-381.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368 

  26. Lee, M. J., & Lee, J. S. (2015). Nurses experiences of the death of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s. Journal Korean Academy Nursing, 45(4), 513-522. https://doi.org/10.4040/jkan.2016.45.4.513 

  27. Moss, M., Good, V. S., Gozal, D., Kleinpell, R., & Sessler, C. N. (2016). A critical care societies collaborative statement: Burnout syndrome in critical care health-care professionals.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19(1),106-113. https://doi.org/10.1164/rccm.201604-0708ST 

  28. Noh, D. B., Kim, S. A., & Kim, S. H. (2013). Moral distress, moral sensitivity and ethical climate of nurses working in psychiatric wards. Journal Korean Academy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2(4), 307-319. https://doi.org/10.12934/jkpmhn.2013.22.4.307 

  29. Natalie, J., Peter, M., Lynn, A., Sean, P., Steven, R., & Patricia, R. (2016). Causes of moral distress in the intensive care unit;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Critical Care, 35, 57-62. https://doi.org/10.1016/j.jcrc.2016.04.033 

  30. Oh, I. S., Kim, K., Darnold, T. C., Hwang, J. O., Yoo, T. Y., Park, Y. A., et al. (2007). Relationships amo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A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with Korean samples.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15(4), 43-86. 

  31. Oh, Y., & Gastmans, C. (2015). Moral distress experienced by nurses: A quantitative literature review. Nursing Ethics, 22(1), 15-31. https://doi.org/10.1177/0969733013502803. 

  32. Rye, H. R., & Bang, K. S. (2016).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jefferson empathy scale for health professionals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2), 207-214. https://doi.org/10.4040/jkan.2016.46.2.207 

  33.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 in Nursing Science, 8(3), 27-37. 

  34. Sim, M. R., & Kim, K. H. (2010). Job satisfaction, self-esteem, and nursing task performance among registered nurses and nurse assista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4), 446-454. 

  35. Statistics Korea. 2019 statistics on the aged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9 Mar 28 [updated 2019 Mar 28; cited 2020 Feb 24]. Available from: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_nw/2/6/1/index.board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