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시 노인의 정신건강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ntal Health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Busan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5, 2020년, pp.269 - 277  

김미진 (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  송갑선 (대동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연구에 활용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016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 만 65세 이상 노인 34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적 통계,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및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 우울, 스트레스, 교육수준, 기초생활수급, 수면시간, BMI, 결혼상태, 고혈압이었고 건강관련 삶의 질을 28.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in Busan. Then this study would like to present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research into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in Busan. The subjects of this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6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인구비율이 높은 부산지역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지역노인의 건강한 삶을 위한 관리방안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건강조사 설문지를 이용한 단면조사로 표본의 대표성은 있지만 횡단적 연구로써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에 한계가 있다.
  • 본 연구는 부산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및 정신건강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지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부산지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구학적 특성(성별, 기초생활수급여부, 가구소득, 결혼여부,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 수면시간, 비만정도, 고혈압 유무, 당뇨병 유무)과 정신건강(스트레스, 우울)을 중심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근거로 부산지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부산지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구학적 특성(성별, 기초생활수급여부, 가구소득, 결혼여부,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 수면시간, 비만정도, 고혈압 유무, 당뇨병 유무)과 정신건강(스트레스, 우울)을 중심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근거로 부산지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9). Korean Statistical Database. http://www.kosis.kr 

  2. E. K. Kim(2017). Age Difference in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5), 2807-2823. 

  3. M. J. Park, S. E. Choi. (2017). The Effects of Health Behavior and Health Status on Hea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People: Gender Analysis by using the 2012 Korea Health Panel Data.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8(2), 118-128. DOI:10.12799/jkachn. 2017.28.2.118 

  4. S. J. Yu, C. L. Gang, Y. L. Kim. ( 2015). Correlation of Quality of Life in the Health Condition of Korean Elderly: Perceived, Physical, Mental Health Statu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9(2), 47-56. DOI:10.12811/kshsm 2015.9.2.047 

  5. G. S. Seo. (2009). The effect of anxiety of death of the elderly on mental health. Yonsei University, Seoul. 

  6. J. Y. Kim, Y. S. Choi. (2015).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Older People in Local Small Citi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1), 208-219. DOI:10.5392/JKCA.2015.15.04.208 

  7. EuroQoL Group. (1990). A new facility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policy, 16(3), 199-208. DOI:10.1016/0168-8510(90)90421-9 

  8. J. I. Kim.. (2013).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4, (1), 99-109. DOI:10.12799/jkachn.2013.24.1.99 

  9. J. J. Lee, M. H. Lee. (2013). Developing Social Service Designed for Living Alone Older Citizens in Busan. The Journal of Busan Studies, 1(1), 41-72. 

  10. Y. S. Cho, M. H. Kim, W, S, Uhm, S. H. Kim, S. I. Oh, S. C. Bae. (2005).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the EQ-5D in Patients with Rheumatic Diseases. The Journal of the Korean Rheumatism Association, 12(3). DOI:10.1007/s11136-004-5681-z 

  11.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Community Health Statistics at a glance 2008-2016. cheongiu: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2. Jayasinghe, UW., Harris, MF., Taggart, J., Christl, B., & Black, DA. (2013). Gender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Australian chronically-ill adults: Patient and physician characteristics do matter.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11, Np. 102, DOI:10.1186/1477-7525-11-102 

  13. S. M. Moon. (2017).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socioeconomic, health-related,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6), 59-271. DOI: 10.14400/JDC.2017.15.6.259 

  14. B. G. Kwag, J. C. Park, W. J. Lee, S. H. Chang & D. H. Chun.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 Using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8(2), 236-243. DOI:10.21215/kjfp.2018.8.2.236 

  15. J. M. Park, J. S. Kim, M. W. Kim. (2016). A Path Analysis on Factors - Depression, Level of Health status, Physical Function, and Regular Exercise - Influenc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ex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2), 337-348. DOI: 10.5932/JKPHN.2016.30.2.337 

  16. Suen, LJ., & Tusaie, K. (2004) Is somatization a significant depressive symptom in older Taiwanese.Americans. Geriatric Nursing, 25(3). 157-163. DOI: 10.1016/j.gerinurse.2004.04.005 

  17. Farley, T., Galves, A., Dickinson, L. M., & Perez, M. (2005). Stress, coping and health: a comparison of Mexican immigrants, Mexican-Americans, and non-Hispanic whites. Journal of Immigrant Health, 7(3), 213-220. DOI:10.1007/s10903-005-3678-5 

  18. H. S. Kim, B. S. Kim. (2007). A Path Analysis on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9(3), 801-818. 

  19. K. Y. Park. (2013).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Gender among Elderly Beneficiarie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 Using the Community Health Survey,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6), 3219-3233. 

  20. K. M. Park, E. K. Ha. (2004). Ability of Self Care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for Vulnerable Elderly in Urban Community.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es, 30(1), 96-103. 

  21. Statistics Korea. (2019). Elderly Statistics 2018.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70779 

  22. E. Y. Shin. (2016).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Status, Physical Activity Leve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Sleep Duration in the Elderly.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2,(3), 53-65. 

  23. Zhu, Y., Wang, Q., Pang, G., Lin, L., Origasa, H., Wang, Y., Di, J., Shi, M., Fan, C., & Shi, H. (2015).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Obesity Paradox" in 21,218 adults of the Chinese general population. Public Library of Science One, 10(6), e0130613. DOI: 10.1371/journal.pone.0130613 

  24. J. I. Kim, Y. M. Kim, M. R. Nam, J. Y. Choi, G. Y. Son.. (2018). Disease and Health Behavior of Low-Weight Elderly Living Alone : Focusing on the Community Health Survey 2014.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3), 479-488. DOI:10.5762/KAIS.2018.19.3.479 

  25. Chang, HT., Hsu NW., Chen, HC., Tsao, HM., Lo, SS., & Chou.,P. (2018). Associations between Body Mass Index and Subjective Health Outcomes among Older Adults: Findings from the Yilan Study,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5(12). e2645. DOI:10.3390/ijerph15122645 

  26. J. I. Kim,. (2017). The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Urban Working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 385-394. DOI: 10.14400/JDC.2017.15.11.385 

  27. S. B. Shin, J. Y. Park,. (2015).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Journal of Asian Women, 54(2), 7-46. 

  28. J. Y. Kim. (2014). Factors affect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aged. Inje University. Busan. 

  29. Bardage, C., & Isacson, D. G. (2001). Hyperten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 Epidemiological Study in Swede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V 54(2), 172-181. DOI: 10.1016/s0895-4356(00)00293-6 

  30. Cankurtaran, M., Halil, M., Yavuz, B. B., Dagli, N., Cankurtaran, E. S., & Ariogul, S. (2005). Depression and concomitant diseases in a Turkish geriatric out patient setting.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0(3), 307-315. DOI:10.1016/j.archger.2004.10.0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