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판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Self-Efficacy Questionnaire(KSE-12)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5, 2020년, pp.337 - 345  

길초롱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성경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Korean Version of Self-Efficacy Questionnaire (KSE-12)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020년 3원 2일부터 3일 사이에 일개 지역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KSE-12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도구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Varimax 직각회전방식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단일요인의 12문항이 도출되었다. KSE-12는 포괄적 대인관계 의사소통능력(GICC)과 정적상관관계를 보여(p<.001) 준거타당도가 확보되었으며 Conbach's α값이 .98로 나타나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도구를 사용하여 한국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을 평가하고 이들을 위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해 나가길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Self-Efficacy Questionnaire (KSE-12), which is used to examine Communication Self-Efficacys for 155 nursing students. To verify the construction factor of the too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varimax...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Axboe 등[17]이 개발한 의사소통 자기효 능감 측정도구(SE-12)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판 의사 소통 자기효능감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 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Axboe 등[17]이 개발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측정도구를 한국어판으로 검증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한국어판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측정도구는 12문항 10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매우 불확신함(1점)에서 매우 확신함(10점)까지 12~120점의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한국 간호대학생의 의사소 통 자기효능감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 은 도구를 개발하고자 SE-12를 한국의 사회문화적 특성 을 반영하여 수정 및 번안하고 이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 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에는 무엇이 있나? 국내 간호연구에서 사용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로는 Larson 등[13]의 상담자 자기평가 질문지 (Counseling Self-Estimate Inventory, COSE)와 Ayres[14] 의 의사소통능력 척도(Post-training self-efficacy Scale)가 대표적이다. COSE는상담자의의사소통기술에 대한 자기효능 감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로 국내에서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용되었다[15].
자기효능감이란?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들은 캐나다의 심리학 자 Bandura[9]의 자기효능감 이론에 근거하고 있는데 자기효능감이란 주어진 과제를 성취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으로 정의되어 진다. 간호사의 자기효능 감은 간호 활동에 대한 내적 동기를 강화는 요인으로 작 용하여[10] 적극적인 간호업무 수행을 할 수 있도록 이끈 다.
COSE가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측정한다고 보기 어려운 이유는? COSE는상담자의의사소통기술에 대한 자기효능 감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로 국내에서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용되었다[15]. 총 37개의 문항은 구체적 의 사소통기술, 상담과정, 어려운 환자 행동 다루기, 문화적 차이를 다루는 능력, 가치에 대한 자각의 5개 요인으로 분류되는데 상담과정에 필요한 상담자 역량에 대한 평가 문항이 포함되어 있어 임상에서 환자를 대상으로 신중하 게 적용해야 할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측정 한다고 보기 어렵다. 의사소통능력 척도(Post-training self-efficacy Scale)는 의사소통기술 교육 프로그램에 서 학습한 내용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된 자기효 능감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로 국내에서는 간호사, 간호대학생에게 사용되었으며[16] 비교적 간결한 10개 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 S. Song, H. J. An & Y. H. Chung. (2010).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 and Communication in Nursing Students. Korean Academy on communication in Healthcare, 5(1), 40-48. 

  2. E. J. Oh, S. H. Ko, J. Y. Kim & S. R. Kim. (2015). Self-Awareness, Other-Awareness and Communication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4), 426-434. DOI : 10.11111/jkana.2015.21.4.426 

  3. D. H. Kim, H. B. Song & H. K. Son. (2018).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in Clinical Nursing Practicum. Health Communication, 13(2), 195. DOI : 10.15715/kjhcom.2018.13.2.195 

  4.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7). Accreditation assessment standard for education of Korea.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http://www.kabone.or.kr/kabon02/index04.php 

  5. K. A. Shin & E. S. Lee. (2011). The Effects of a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2), 149-158. DOI : 10.5977/JKASNE.2011.17.2.149 

  6. H. Y. Koo & H. S. Im. (2013). Comparison of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Between Associate and Bachel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 311-321. DOI : 10.5392/JKCA.2013.13.01.311 

  7. S. O. Shin. (2018). The Effects of Smoker Nursing Simulation Module Practice Communication Self-Efficacy, Clinical Judg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2(8), 357-363. DOI : 10.21184/jkeia.2018.12.12.8.357 

  8. S. I. Im, J. Park & H. S. Kim. (2012). The Effects of Nurses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3), 274-282. DOI : 10.5807/kjohn.2012.21.3.274 

  9. A. Bandura. (1986).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Scope of Self-efficacy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4(3), 359-373. DOI : 10.1521/jscp.1986.4.3.359 

  10. V. E. O'Halloran, S. E. Pollock, T. Gottlieb & F. Schwartz. (1996). Improving Self-efficacy in Nursing Research. Clinical Nurse Specialist, 10(2), 83-87. 

  11. I. Y. Cho. (2015).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Skill,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Related Educational Need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4), 2593-2601. DOI : 10.5762/KAIS.2015.16.4.2593 

  12. Y. G. Bak & T. K. Bak. (2018).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Using a Standardized Patients for Schizophrenia Nursing Care 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Learning Self-efficacy and Flow Experience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6), 437-447. 

  13. L. M. Larson, L. A. Suzuki, K. N. Gillespie, M. T. Potenza, M. A. Bechtel & A. L. Toulouse. (199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unseling Self-estimate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1), 105. 

  14. H. W. Ayres. (2005). Factors Related to Motivation to Learn and Motivation to Transfer Learning in a Nursing Population. Doctoral dissertation.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USA. 

  15. H. J. Park. (2012). Counseling Self-Efficacy and Empathy Ability of Psychiatric Nurses. Master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Seoul. 

  16. E. J. Bong. (2013). Effect of Interpersonal Relaationships and Communication Curriculum were Utilized Group Activit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among Nursing Studen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0), 394-402. DOI : 10.5392/JKCA.2013.13.10.394 

  17. M. K. Axboe, K. S. Christensen, P. E. Kofoed & J. Ammentorp. (201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Efficacy Questionnaire (SE-12) Measuring the Clinical Communication Skills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BMC medical education, 16(1), 272. 

  18. M. A. Broeckelman-Post, K. M. Hunter, J. N. Westwick, A. Hosek, K. Ruiz-Mesa, J. Hooker & L. B. Anderson. (2020). Measuring Essential Learning Outcomes for Public Speaking. Basic Communication Course Annual, 32(1), 4. 

  19. E. A. Hvidt, J. Ammentorp, J. Sondergaard, C. Timmermann, D. G. Hansen & N. C. Hvidt. (2018). Developing and Evaluating a Course Programme to Enhance Existential Communication with Cancer Patients in General Practice. Scandinavian journal of primary health care, 36(2), 142-151. DOI : 10.1080/02813432.2018.1459235 

  20. F. G. Wood, B. Graves & J. D. Elmore. (2020). Promotion of Evidence-Based Communication Strategies Focused on Health Literacy in the Advanced Nursing Practice Curriculum. Sigma Repository(Online). http://hdl.handle.net/10755/19283 

  21. J. C. Nunnally. (1978).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 McGrow Hill Publishing. 

  22. W. A. Arrindell & J. van der Ende. (1985). An Empirical Test of the Utility of the Observations-to-Variables Ratio in Factor and Components Analysis.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9, 165-178. DOI : 10.1177/014662168500900205 

  23. W. Frerichs, L. Johannsen & C. Bergelt. (2019). Evaluation of a Training Program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Oncology to Enhance the Competencies in Caring for Patients with Minor Children-A Study Protocol for a Randomised Controlled Study. BMJ Open, 9(10), e032778. DOI: 10.1136/bmjopen-2019-032778 

  24. G. O. Noh. (2019). Effects of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and Flow on Competence in Communication of Nursing Students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7(2), 61-70. DOI : 10.17333/JKSSN.2019.7.2.61 

  25. R. B. Rubin, M. M. Martin, S. S. Bruning & D. E. Power. (1991).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Development and Test of a Self-Efficacy Model. The Meeting of the Communication Association. Atlanta : GA. 

  26. G. H. Hur. (2003).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7(6), 380-408. 

  27. C. F. Waltz, O. L. Strickland & E. R. Lenz. (2016). Measurement in nursing and health research, 5th Edition. New York : Springer Publishing. 

  28. L. Wang, X. Fan & V. L. Willson. (1996). Effects of Nonnormal Data on Parameter Estimates and Fit Indices for a Model with Latent and Manifest Variables: An Empirical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3(3), 228-247. DOI : 10.1080/10705519609540042 

  29. C. A. McHorney & A. R. Tarlov. (1995). Individual-Patient Monitoring in Clinical Practice: are Available Health Status Surveys Adequate?. Quality of life research, 4(4), 293-307. 

  30. M. R. Lynn.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31. S. E. Idczak. (2007). I am a Nurse: Nursing Students Learn the Art and Science of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8(2), 66-71. 

  32. E. O. Lee, N. Y. Lim, H. A. Park, I. S. Lee, J. I. Kim, J. Bae, et al.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s. Paju : Soomoonsa Publish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