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학도서관 사서의 SR 지원에 관한 연구
Medical Librarians' Contribution to SR Searching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4 no.2, 2020년, pp.179 - 195  

신은자 (세종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외 의학 Systematic Review(SR) 연구 현황을 살피고, 국내 사서가 공저자로 참여한 SR 연구논문을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SR 참여 사서와의 인터뷰를 통해 참여 사서의 활동, 역할, 애로사항을 파악하였고, SR 연구 참여 활성화 방안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외 SR 연구건수는 최근 증가세이고, SR 연구에 참여한 사서를 공저자로 등재하거나 사사표기함으로써 사서의 기여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사례도 더불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의학도서관의 SR 참여 사서는 탐색 전문가, 자료 수집가, 참고문헌 작성자, 뿐만 아니라 탐색전략 설계, 완전한 SR 탐색 기록, 일대일 DB탐색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었다. 인터뷰 참여 사서는 SR 참여 활성화 정책으로 사서 인력 충원, 재교육, 문헌정보학 교과목 개편 등을 제시하였다. 날이 갈수록 이용자의 정보요구 수준은 높아지고, 사서에 대한 기대 또한 커지고 있음을 감안할 때, 의학도서관 SR 참여 사서의 활동과 기여는 사서의 서비스를 심화하고 확장하려는 타도서관에게도 좋은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earched for the status of medical Systematic Review(SR) publications in Korea and elsewhere for last 10 years, closely analyzing SR research papers by co-authors of Korean librarians. Through interviews with Korean librarians participating in SR, the activities, roles, and difficulties o...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한국의 보건․의학 분야(이하 의학으로 통일함) SR 논문이 얼마나 출판되고 있는지, 그리고 이들 SR 논문 출판에 의학도서관 사서가 얼마나 참여하고 있으며, SR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등을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현재 이들 사서가 SR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고, 어떤 준비나 훈련을 하고 있으며, 애로사항은 무엇인지 등을 조사하여 사서의 SR 지원 활성화 정책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단순히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으로 이와 같은 목표를 온전히 달성하기는 어려울 것이고, SR 경험이 있는 사서와 심층인터뷰를 통해 SR 지원 활성화를 모색하는 노력도 해야 할 것으로 이 연구는 판단하였다.
  • 이 연구는 국내 의학도서관 사서의 SR 지원 현황을 분석하는 데 연구의 관심을 두었다. 이에 국내외 SR 연구의 출판 현황을 파악한 후, 의학도서관 사서의 SR 지원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국내 의학도서관의 SR 지원 실제 상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SR 논문 출판 경험이 있는 사서 일부와 인터뷰하였다( 참조).
  • 이 연구는 현재 국내 의학도서관 사서의 SR 활동을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통해 그들의 역할을 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이며,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사서의 전문서비스를 심화하고 확장하고자 하는 대학도서관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시대 흐름에 발맞추어 교과 과정을 개편하려는 문헌정보학과 및 연구의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중심대학에도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R의 장점은 무엇인가? 심지어 새로운 연구를 시작하는 것 보다 SR 연구를 하는 것이 비용도 덜 들고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주장까지 나오는 상황이다(신우종 2015). 방대한 양의 정보를 다룰 수 있는 크기로 줄여 결과를 종합하는 SR의 장점이 이러한 주장까지 가능하게 한 것이다. SR은 질병의 진단, 예후, 발생률, 뿐만 아니라 질적 연구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지만, 특히 질병의 치료효과를 연구할 때 매우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리뷰논문이란? SR은 넓은 의미에서는 리뷰논문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리뷰논문은 기존 문헌에 수록된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고찰하는 것을 의미하며,여기에는 서술적 리뷰(narrative review)와 체계적 리뷰(systematic review)가 있다. 이 연구에서 관심을 갖고 있는 체계적 리뷰, 즉 SR은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기존 문헌과 자료를 수집하고, 특정 영역으로 좁혀진 주제에 대하여 엄격한 절차로 종합하는 것이다.
팀티칭을 교수와 사서가 할 때, 어떠한 예시를 들 수 있는가? 이에 교수와 사서가 팀으로 교육하는 팀티칭을 한 가지 대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를테면 주 3회 수업의 경우 1회는 실무 경험이 풍부한 사서에게 탐색 기술을 포함하여 현장에서 터득한 산지식을 가르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용적인 교과과정 개편과 운영을 통해 이론과 기술을 고루 갖춘 전문사서를 꾸준히 육성한다면, 아직 이렇다할 성과가 나오지 않고 있는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사서제 도입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hin, Woo Jong. 2015. "An Introduction of th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anyang Medical Reviews, 35(1): 9-17. 

  2. Ahn, Hyeong Sik and Kim, Hyun Jung. 2014. "An Introduction to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7(1): 49-59. 

  3. Bedi, S. and Walde, C. 2017. "Transforming Roles: Canadian Academic Librarians Embedded in Faculty Research Projects." College & Research Libraries, 78(3): 314-327. 

  4. Brandenburg, M. D. Cordell, S. A., Joque, J., MacEachern, M. P. and Song, J. 2017.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Librarian Involvement in Grant Projects." College & Research Libraries, 78(3): 272-282. https://doi.org/10.5860/crl.78.3.272. 

  5. Bullers, K., Howard, A. M., Hanson, A., Kearns, W. D., Orriola, J. J., Polo, R. L. and Sakmar, K. A. 2018. "It Takes Longer than You Think: Librarian Time Spent on Systematic Review Tasks."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106(2): 198-207. 

  6. Cooper, I. D. and Crum, J. A. 2013. "New Activities and Changing Roles of Health Sciences Librarians: a Systematic Review." 1990-2012.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101(4): 268-277. 

  7. Desmeules, R., Campbell, S. and Dorgan, M. 2016. "Acknowledging Librarians' Contributions to Systematic Review Searching." Journal of the Canadian Health Libraries Association, 37(2): 44-52. 

  8. Folb, B. L., Klem, M. L., Youk, A. O., Dahm, J. J., He, M., Ketchum, A. M., ... and Hartman, L. M. 2020. "Continuing Education for Systematic Reviews: a Prospective Longitudinal Assessment of a Workshop for Librarians."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108(1): 36-46. 

  9. Foutch, L. J. 2016. "A New Partner in the Process: The Role of a Librarian on a Faculty Research Team." Collaborative Librarianship, 8(2): 680-683. 

  10. Gore, G. C. and Jones, J. 2015. "Systematic Reviews and Librarians: a Primer for Managers." Partnership: The Canadian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e and Research, 10(1): 1-15. 

  11. Koffel, J. B. 2015. "Use of Recommended Search Strategies in Systematic Reviews and the Impact of Librarian Involvement: a Cross-Sectional Survey of Recent Authors." PloS one, 10(5): 1-13. 

  12. McKeown, S. and Ross-White, A. 2019. "Building Capacity for Librarian Support and Addressing Collaboration Challenges by Formalizing Library Systematic Review Services."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107(3): 411-419. 

  13. Meert, D., Torabi, N. and Costella, J. 2016. "Impact of Librarians on Reporting of the Literature Searching Component of Pediatric Systematic Reviews."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104(4): 267-277. 

  14. Murphy, S. A. and Boden, C. 2015. "Benchmarking Participation of Canadian University Health Sciences Librarians in Systematic Reviews."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103(2): 73-78. 

  15. Nicholson, J., McCrillis, A. and Williams, J. D. 2017. "Collaboration Challenges in Systematic Reviews: a Survey of Health Sciences Librarians."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105(4): 385-393. 

  16. Rethlefsen, M. L., Farrell, A. M., Trzasko, L. C. O. and Brigham, T. J. 2015. "Librarian Co-authors Correlated with Higher Quality Reported Search Strategies in General Internal Medicine Systematic Review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68(6): 617-626. 

  17. Saleh, A.A., Ratajeski, M.A. and Bertolet, M. 2014. "Grey Literature Searching for Health Sciences Systematic Reviews: a Prospective Study of Time Spent, and Resources Utilized." Evidence Based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e, 9(3): 28-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