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 대학생의 실습 전, 후 임상실습 스트레스, 수면의 질 및 주간 졸림증의 차이

Differences in Clinical Practice Stress, Sleep Quality, and Daytime Sleepiness before and after Nursing Students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5, 2020년, pp.121 - 130  

안미영 (가천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초록

간호 대학생의 실습 전, 후 임상실습 스트레스, 수면의 질, 주간 졸림증 차이와 관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간호학과 3학년 학생 130명이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자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총점 5점 만점 중 평균점수 3.15점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외부조정 요인 중 과제물에 대한 점수가 3.64로 가장 높았고, 성별(t=-3.88, p<.001), 주관적 건강상태(F=5.78, p=.004), 거주형태(F=3.20, p=.026)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은 수면의 질이 낮고(실습 전 80.0%, 실습 후 70.0%), 주간 졸림증이 있는 대상이(실습 전 26.9%, 실습 후 42.3%) 일반 대학생에 비해 많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임상실습 전, 후 수면의 질은(χ2=4.06, p=.004), 주간 졸림증은(χ2=6.08, p=.009)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주간 졸림증과 수면의 질은 음의 상관관계(r=-.259,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 대학생들의 신체적 건강 및 정신적 건강을 위하여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줄이고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전략 개발이 필요하며, 변화하는 간호 교육현장에서 임상실습 적응에 도움이 되도록 하여 추후 간호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d the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sleep quality, and daytime sleep disorder before and after clinical practice of college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130 students in the third year of nursing sc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넷째,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 주간 졸림증의 상관관계에 대해 확인한다.
  • 둘째, 간호 대학생의 실습 전, 후의 수면의 질과 주간 졸림증에 대해 확인한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과 주간 졸림증,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차이에 대해 확인한다.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 및 수면의 질, 주간 졸림증 정도를 확인 하고자 시도 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 주간 졸림증의 정도를 파악하고, 임상실습 전과 후의 수면의 질, 주간 졸림증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 주간 졸림증의 정도 및 실습 전, 후의 차이와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 주간 졸림증의 정도와 임상실습 전, 후 차이와 관계에 대해 알아보아 임상실습 적응에 도움이 되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수면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략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간호 대학생들의 신체적 건강 및 정신적 건강을 위한 차별화된 전략수립을 도모하고자 한다.
  • 첫째, 간호 대학생의 실습 후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대해 확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 K. Lee, H. S. You, I. H. Park. "Affecting Factors o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21. No.2, pp.154-163, 2015. DOI :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2.154 

  2. N. Y. Yang, S. Y. Moon.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17. No.2, pp.216-225, 2011 

  3. Y. H. Kang, M. J. Hong. "Influencing Factors of Learning Styl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5, pp.2841-2853, 2014. 

  4. S. J. Whang.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 - Efficacy, and Self - 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2. No.2, pp.205-213, 2006. DOI : https://doi.org/10.7586/jkbns.2014.16.2.98 

  5. E. J. Lee, W. H. Jun. "Sense of Coherence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9. No.2, pp.163-171, 2013. DOI :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2.163 

  6. H. J. Park, I, S. Jang. "Stress, Depression, Coping Styl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6. No.1, pp.14-23, 2010. DOI :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14 

  7. M. S. Kim. "Development and Effects of Assertiveness Training applying Dongsasub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6. No.4, pp.490-500, 2016. DOI : https://doi.org/10.4040/jkan.2016.46.4.490 

  8. G. S. Jeong.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Ego-resiliency and the Stress on Clinical Practices",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Vol.10, pp.165-183, 2013. 

  9. E. H.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Fatigu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40. No.1, pp.24-36, 2015. 

  10. S. J. Park, J. Y. Choi. "Factors affecting Clinical Practice-related Fatigue among Nursing Studen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16. No.2, pp.456-466, 2016. DOI :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456 

  11. H. S. Cho. "Relationship of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Tendencies in Nursing Students",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Vol.12. No.1, pp.3-14, 2009. 

  12. M. A. Park. "Self-leadership, Stress on Clinical Practice and Stress Coping Style in Nursing Students", A master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9. [2] 

  13. E. J. Jo, J. M. Kang, K. M. Lim. "Influence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Stress coping type on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 No.3, pp.94-104, 2017. DOI : https://doi.org/10.5762/KAIS.2017.18.3.94 

  14. J. G. Kim, J. M. Kim, M. K. Chol. "A Study on the Stress and Dietary Life of Office Workers in Seoul",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ol.19. No.4, pp.413-422, 2003. 

  15. M. Adam, J. V. Retey, R. Khatami, H. P. Landolt. "Age-related changes in the time course of vigilant attention during 40 hours without sleep in men", Sleep, Vol.29. No.1, pp.55-57, 2006. DOI : https://doi.org/10.1093/sleep/29.1.55 

  16. J. P. Nilsson, M. Soderstrom , A. U. Karlsson , et al. "Less effective executive functioning after one night's sleep deprivation", Journal of sleep research, Vol.14. No.1, pp.1-6, 2005. DOI : https://doi.org/10.1111/j.1365-2869.2005.00442.x 

  17. J. Taillard, P. Philip, O. Coste, P. Sagaspe, B. Bioulac. "The circadian and homeostatic modulation of sleep pressure during wakefulness differs between morning and evening chronotypes", Journal of Sleep Research, Vol.12, pp.275-282, 2003. DOI : https://doi.org/10.1046/j.0962-1105.2003.00369.x 

  18. Y. R. Chae, D. H. Choi, S. J. Yu. "Predictors of Poor Sleep Quality among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6. No.2, pp.98-104, 2014. DOI : http://dx.doi.org/10.7586/jkbns.2014.16.2.98 

  19. E. C. A. Pereira, A. C. B. Schmitt, M. R. A. Cardoso, W. M. P. Pereira, G. Lorenzi-Filho, J. E. Blumel, J. M. Aldriqhi. "Prevalence of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nd associated factors in women aged 35-49 years from the Pindamonhangaba health porject". Revista da Associacao Medica Brasileira, Vol.58, pp.447-452, 2012. DOI : https://doi.org/10.1016/S2255-4823(12)70227-8 

  20. C. F. Huang, L. Y. Yang, L. M. Wu, Y. Liu, H. M. Chen. "Determinants of daytime sleepiness in first-year nursing students: a questionnaire survey", Nurse Educ Today, Vol.34. No.6, pp.1048-1053, 2014.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13.11.005 

  21. Owens, J. F., & Matthews, K. A.. "Sleep disturbance in healthy middle-aged women", Maturitas, Vol.30, pp.41-50, 1998. DOI : https://doi.org/10.1016/S0378-5122(98)00039-5 

  22. M. J. Sung, K. J. Chang. "Correlations among Life Stress, Sleep,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36. No.7, pp.840-848, 2007. DOI : https://doi.org/10.3746/jkfn.2007.36.7.840 

  23. G. H. Kim, H. S. Yoon.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in Nursing Students and no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 Psych Mental Health Nurs, Vol.22. No.4, pp.320-329, 2013. DOI : https://doi.org/10.12934/jkpmhn.2013.22.4.320 

  24. S. J. Whang. Development and Tool Verification of clinical practice stress Measurement Tool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Margaret Pritchard College of Nursing, Vol.14. No.1, pp.35-54, 2002. 

  25. A. C. Parrott. I. Hindmarch, "The Leeds Sleep Evaluation Questionnaire in psychopharmacological investigations", Psychopharmacology, Vol.71, pp.173-179, 1980. 

  26. I. J. Kim, H. J. Choi, B. J. Kim. "Psychometric Properties of Lorean Version of Modified Leeds Sleep Evaluation Questionnaire(KMLSEQ)", Korean J Rehabil Nurs, Vol.17. No.1, pp.10-17, 2014. DOI : https://doi.org/10.7587/kjrehn.2014.10 

  27. M. W. Johns, "A new method for measuring daytime sleepiness :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Vol.14. No.6, pp.540-545, 1991. 

  28. Y. W. Cho, J. H. Lee, H. K. Son, S. H. Lee, C, Shin, M. W. Johns. "The reliability and val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Breath, Vol.15, pp.377-384, 2011. DOI : https://doi.org/10.1007/s11325-010-0343-6 

  29. H. J. Lee. "Convergence Study on Nursing Students'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7. No.4, pp.75-83, 2016. DOI : https://doi.org/10.15207/JKCS.2016.7.4.075 

  30. J. H. Yoon. Affecting Factors o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2016. [21]. 

  31. M. K. Jeong, M. S. Kim.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 No.1, pp.40-48, 2017. DOI : https://doi.org/10.5762/KAIS.2017.18.1.40 

  32. M. Y. Kim, H. J. Choi. "Factors Influencing Sleep Patterns during Clinical Practice Weeks among Nursing Students : Based on Spielman's Model",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8. No.4, pp.203-212, 2016. DOI : https://doi.org/10.7586/jkbns.2016.18.3.203 

  33. W. J. Lee, H. J. Choi. "Sleep behavior and sleep disorder characteristic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InJe University, Vol.26. No.1 pp.289-306, 2011. 

  34. H. R. Yi, M. K. Shin, J. S. Won. "Sleep Pattern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n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Acad Fundam Nurs, Vol.19. No.4, pp.425-433, 2012. DOI : https://doi.org/10.7739/jkafn.2012.19.4.425 

  35. Y. K. Choi, H. J. Lee, K. Y. Suh, L. Kim. "Relationship between Sleep Insufficiency and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ol.10. No.2, pp.93-99, 2003. 

  36. M. H. Won, S. H. Shin, "Influence of Interpersonal Problems on Sleep Quality in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Role of Mental Health and Moderated Mediating Role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10, No. 12, pp. 525-534, 2019. 

  37. S. J. Han, J. Y. Chun, " A Convergence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n the Sleep of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the Dependence of Smartphon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10. No. 12, pp. 465-476, 2019. DOI : https://doi.org/10.15207/JKCS.2019.10.12.465 

  38. E. H. Hwang, H. B. Lee, "Effects of Job Stress, Depression and Fatigue on Sleep Quality of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33. No.2, pp. 163-174, 2019. DOI : https://doi.org/10.5932/JKPHN.2019.33.2.163 

  39. N. H. Jo, J. H. Le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9. No. 11, pp. 202-211, 2019. DOI : https://doi.org/10.22156/CS4SMB.2019.9.11.2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