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시 지역 미세먼지의 변동과 화학적 구성 특성

Chemical Mass Composition of Ambient Aerosol over Jeju 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9 no.5, 2020년, pp.495 - 506  

이기호 (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수미 (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기환경과) ,  김길성 (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기환경과) ,  허철구 (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itrate formation process, and mass closure of Particulate Matter (PM) were calculated over the urbanized area of Jeju Island. The data for eight water-soluble inorganic ions and nineteen elements in PM2.5 and PM10 were used. The results show that the nitrate concentr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제주시 도심지역에서 얻어진 미세먼지에 관한 분석 자료를 토대로 그 조성특성을 파악함과 아울러 미세먼지의 화학적 구성비를 재구성 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제주시 도심생활권의 미세먼지의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지역의 실정에 맞는 관리방안을 마련하는데 합리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2017년도에 나쁨 수준 (PM2.5>35 ㎍/m3 )인 초미세먼지 고농도 발생사례는? , 2019), 2017년도에 나쁨 수준 (PM2.5>35 ㎍/m3 )인 초미세먼지 고농도 발생사례가 전국적으로는 60일이었고 전북이 98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충북 93일, 경기 88일, 그리고 제주도는 36일 로 일곱 번째로 많았다고 한다.
도시지역 대기에서의 미세먼지 성분은? 도시지역 대기에서의 미세먼지는 황산염, 질산염 등의 수용성 이온성분, 유기성분, 해염, 미량금속, 지각원소 그리고 수분 등과 같은 성분들의 복잡한 혼합물로 알려져 있다(Calvo et al., 2013).
도시지역 대기에서의 미세먼지 성분의 출처는? , 2013). 이들 이온 성분은 대기에서 이루어지는 광화학반응으로 생성된 2차 오염물질이고 유기성분의 상당 부분도 2차 오염물질이므로 대기에서 반응하여 미세입자를 생성하는 전구물질의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지역에서의 연구를 보면(Han and Kim, 2015), 기체상 NOx 농도 감소 추이와 NO3- 농도 증가 추이가 서로 상반되게 나타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alvo, A. I., Alves, C., Castro, A., Pont, V., Vicente, A. M., Fraile, R., 2013, Research on aerosol sources and chemical composition: Past, current and emerging issues, Atmos. Res., 120-121, 1-28. 

  2. Chow, J. C., Lowenthal, D. H., Antony Chen, L. W., Wang, X., Watson, J. G., 2015, Mass reconstruction methods for $PM_{2.5}$ : a review, Air Qual. Atmos. Health., 8, 243-263. 

  3. Feng, J., Yang, W., 2012, Effects of particulate air pollution on cardiovascular health: a population health risk assessment, PLOS ONE, 7(3), e33385. 

  4. Han, S. H., Kim, Y. P., 2015, Long-term trends of the concentrations of mass and chemical composition in $PM_{2.5}$ over Seoul, J. of Korean Soc. for Atmos. Environ., 31, 143-156. 

  5. Jeon, B., Hwang, Y. S., 2014, Characteristics of metallic and ionic concentrations in $PM_{10}\;and\;PM_{2.5}$ in Busan, J. Environ. Sci. Int., 23, 819-827. 

  6. Kim, S. M., 2020, Characteristics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source identification for airborne particulate matter in Jeju City, Ph.D.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7. Kim, S. M., Kim, K. S., Hyun, S. S., Kim, J. H., Kim, M. C., Kim, B. J., Lee, K. H., 2018, Chemical composition and source apportionment of $PM_{2.5}$ in Jeju City in 2017, J. of Korean Soc. for Environ. Analy., 21, 61-70. 

  8. Kumar, R., Elizabeth, A., Gawane, A. G., 2006, Air quality profile of inorganic ionic composition of fine aerosols at two sites in Mumbai City, Aerosol Sci. Technol., 40, 477-489. 

  9. Landis, M. S., Norris, G. A., Williams, R. W., Weinstein, J. P., 2001, Personal exposures to $PM_{2.5}$ mass and trace elements in Baltimore, MD, USA, Atmos. Environ., 35, 6511-6524. 

  10. Liu, Y. J., Zhang, T. T., Liu, Q. Y., Zhang, R. J., Sun, Z. Q., Zhang, M. G., 2014, Seasonal variation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n TSP, $PM_{10}\;and\;PM_{2.5}$ at a roadside site in Beijing and their influence on atmospheric visibility, Aerosol Air Qual. Res., 14: 954-969. 

  11. Marcazzan, G. M., Vaccaro, S., Valli, G., Vecchi, R., 2001, Characterisation of $PM_{10}\;and\;PM_{2.5}$ particulate matter in the ambient air of Milan (Italy), Atmos. Environ., 35, 4639-4650. 

  12. McGuinn, L. A., Ward-Caviness, C., Neas, L. M., Schneider, A., Di, Q., Chudnovsky, A., Schwartz, J., Koutrakis, P., Russell, A. G., Garcia, V., Kraus, W. E., Hauser, E. R., Cascio, W., Diaz-Sanchez, D, Devlin, R. B., 2017, Fine particulate matt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Comparison of assessment methods for long-term exposure, Environ. Res., 159, 16-23. 

  13. Pakkanen, T. A., 1996, Study of formation of coarse particle nitrate aerosol, Atmos. Environ., 30, 2475-2482. 

  14. Park, J. S., Kim, C. H., Lee, J. J., Kim, J. H., Hwang, U. H., Kim, S. D., 2010, A Study on the chemical mass composition of particle matter in Seoul, J. of Korean Soc. of Urban Environ., 10, 293-303. 

  15. Park, J. Y., Lim, H. J., 2006, Characteristics of water soluble ions in fine particles during the winter and spring in Daegu, J. of Korean Soc. for Atmos. Environ., 22, 627-641. 

  16. Pathak, R. K., Chan, C. K., 2005, Inter-particle and gas-particle interactions in sampling artifacts of $PM_{2.5}$ in filter-based samplers, Atmos. Environ., 39, 1597-1607. 

  17. Pathak, R. K., Wu, W. S., Wang, T., 2009, Summertime $PM_{2.5}$ ionic species in four major cities of China: nitrate formation in an ammonia-deficient atmosphere, Atmos. Chem. Phys., 9, 1711-1722. 

  18. Rogula-Kozlowska, W., Klejnowski, K., Rogula-Kopiec, P., Mathews, B., Szopa, S., 2012, A Study on the seasonal mass closure of ambient fine and coarse dusts in Zabrze, Poland, Bull. Environ. Contam. Toxicol., 88, 722-729. 

  19. Ryoo, J. Y., Kwon, T. H., Kang, I. S., Lee, K. S., Jo, C. W., Kim, J. S., Kim, H. H., Jang, W., Park, J. J., Yoo, T. S., 2019, A Study for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ulate matter and atmospheric stagnation considering elevation and backward trajectory, J. of Korean Soc. for Atmos. Environ., 35, 701-712. 

  20. Song, S., Kim, J. E., Lim, E., Cha, J. W., Kim, J., 2015, Physical, chem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an Asian dust and haze episodes observed at Seoul in 2010, J. of Korean Soc. for Atmos. Environ., 31, 131-142. 

  21. Yan, P., Zhang, R., Huan, N., Zhou, X., Zhang, Y., Zhou, H., Zhang, L., 2012, Characteristics of aerosols and mass closure study at two WMO GAW regional background stations in eastern China, Atmos. Environ., 60, 121-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