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화 <12인의 성난 사람들>에 나타난 편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judice in The Movie <12 Angry Me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5, 2020년, pp.243 - 250  

이강석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화 <12인의 성난 사람들>은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에 의거한, '합리적인 토론' 혹은 '긍정적인 비판적 합리성'을 명목으로 한 각 배심원들의 편견어린 시선이 끊임없이 등장한다. 편견은 그 자체로는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없는 개념이지만, 현 사회적 및 시대적 분위기로서 판단건대 의사소통과 공론의 과정 속에서 지양해야 할 의사소통의 방해물이며 종종 사회적 문제점을 야기하곤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영화 속에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을 투영하여 그 편견들에 대해 들여다보고, 배심원들의 토론을 통해 편견 즉, 갈등이 해소되는 과정을 통해 편견이 해소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편견이라는 개념에 대해 현실세계 속에서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지에 대해 영화라는 매개체를 통한 현실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영화 속에서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에 따른 '공동체를 위한 합의'와 '보편적 이성성' 에 대한 하버마스의 이상적인 공론에 대해 나타났으나 부분적으로는 영화 속 '현실의 벽'에 의해 완전한 편견으로부터의 해방은 어렵다는 점을 도출해 냈으며 편견은 상호 이해와 공공성 확보라는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한 필요악이라는 점을 밝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movie , the prejudiced gaze of each jury with the title of "reasonable discussion" or "positive critical rationality" based on the theory of public opinion of Habermas constantly appears. Prejudice is a concept that cannot be judged right or wrong in itself, but as a current social and histor...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에 본고에서는 영화 을 통해 그 속에 나타나는 편견에 대해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을 투영하여 편견에 대해 해석하고 이를 풀어나갈 수 있는 현실적 갈등해결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그에, 편견이 형성되는 커뮤니티 맥락 속에서 그를 조심스레 접근할 필요성이 있으며 본고에서는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에 빗대어 이런 편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이런 편견을 다루는데 있어 본고에서는 영화 에서 나타나는 장면에 주목하여 이를 하머바스의 공론장 이론에 비추어 해석하고, 영화 속 편견의 해결 과정을 논하며 현실 속 산재각처한 편견들에 대한 해결의 열쇠를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견은 무엇이 기인하는가? 최근 페미니즘에 관련된 이슈와 코로나 바이러스 19로 인한 인종주의와 관련된 편견에 관련된 이슈들이 자주 등장하고 있다. 편견은 다름에 기인하는데, 그 의미론적으로 부정적 측면에서 다른 내용에서 주로 언급이 된다. 성소수자, 매춘부, 범법자, 노숙자, 정신질환자 등에 대한 편견은 공동체 사회가 형성된 이래로 지속적으로 발생해 왔고, 사회적 문제가 됨은 물론 많은 이들이 논하는 문제적 단어라 할 수 있다.
편견은? 영화 <12인의 성난 사람들>은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에 의거한, '합리적인 토론' 혹은 '긍정적인 비판적 합리성'을 명목으로 한 각 배심원들의 편견어린 시선이 끊임없이 등장한다. 편견은 그 자체로는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없는 개념이지만, 현 사회적 및 시대적 분위기로서 판단건대 의사소통과 공론의 과정 속에서 지양해야 할 의사소통의 방해물이며 종종 사회적 문제점을 야기하곤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영화 속에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을 투영하여 그 편견들에 대해 들여다보고, 배심원들의 토론을 통해 편견 즉, 갈등이 해소되는 과정을 통해 편견이 해소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편견이라는 개념에 대해 현실세계 속에서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지에 대해 영화라는 매개체를 통한 현실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12인의 성난 사람들>의 영화에서 이끌어낸 본 연구의 결과는? 이에, 본고에서는 영화 속에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을 투영하여 그 편견들에 대해 들여다보고, 배심원들의 토론을 통해 편견 즉, 갈등이 해소되는 과정을 통해 편견이 해소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편견이라는 개념에 대해 현실세계 속에서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지에 대해 영화라는 매개체를 통한 현실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영화 속에서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에 따른 '공동체를 위한 합의'와 '보편적 이성성' 에 대한 하버마스의 이상적인 공론에 대해 나타났으나 부분적으로는 영화 속 '현실의 벽'에 의해 완전한 편견으로부터의 해방은 어렵다는 점을 도출해 냈으며 편견은 상호 이해와 공공성 확보라는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한 필요악이라는 점을 밝혀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M. Sherif, O. Harvey, B. White, W. Hood, and C. Sherif, Intergroup Conflict and Cooperation: The Robbers Cave Experiment, Norman, OK: The University Book Exchange, 1961. 

  2. J. Eberhardt, P. Davies, V. Purdie-Vaughns, and S. Johnson, "Looking deathworthy: Perceived streotypicality of black defendants predicts capital-sentencing outcomes," Psychological Science, Vol.12, No.5, pp.383-386, 2006. 

  3. L. Huddy and S. Feldman, "On Assesing the political effects of racial prejudice,"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Vol.12, pp.423-447, 2009. 

  4. A. Brief, E. Umphress J. Dietz, R. Butz, J. Burrows, and L. Schoelten, "Community matters: Realistic group conflict theory and the impact of divers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8, No.5, pp.830-844, 2005. 

  5. S. Asch, "Opinions and social pressure," Scientific American, Vol.193, No.5, pp.31-35, 1955. 

  6. G. Allport, The Nature of Prejudice, Reading, MA: Addison-Wesley, 1954. 

  7. 윤정안, "사라진 원귀: 영화 장화, 홍련의 서사 전략과 편견의 전복," 씨네포럼, 제33호, pp.149-180, 2019. 

  8. 이명자, "[남북 영화 대 영화] (2004)와 (2001) - 코미디영화의 고전적 수법 오해와 착각, 사회적 편견과 선입견 깨는 웃음," 민족21, pp.142-145, 2006. 

  9. 류찬열, "혐오와 공포의 재현을 넘어 공감과 연대의 재현으로 - 영화 청년경찰과 범죄도시를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제27권, pp.127-147, 2018. 

  10. 이경배, "선입견과 편견 - 유교문화의 철학적 해석학," 한국문화융합학회 전국학술대회 논문집, pp.97-117, 2019. 

  11. G. Gadamer, M. Wahrheit, and G. Hermeneutik, Wahrheit und Method : Erganzungen, Register, Tubingen, 1986. 

  12. 마이클 샌델 저, 이재석 편, 편견이란 무엇인가, 와이즈베리, 2016. 

  13. 이희용, "편견에 대한 해석학적 성찰," 철학연구회 학술발표논문집, pp.3-20, 2018. 

  14. 허영식, "다문화사회에서 편견.차별의 문제와 해결방안," 다문화와 인간, 제4권, 제2호, pp.3-32, 2015. 

  15. H. Nicklas, B. Muller, H. Kordes, M. Pretceille, and C. Camilleri, Interkulturell denken und handeln. Theoretische Grundlagen und gesellschaftliche Praxis, Frankfurt/M.: Campus, pp.109-116, 2016. 

  16. 허영식, 다문화사회와 간문화성, 서울: 강현출판사, 2010. 

  17. A. Thomas, Grundriss der Sozialpsychologie, Goettingen: Verlag fuer Psychologie, 1992. 

  18. 정호근, 하버마스의 담론이론, 철학과 현실, pp.144-160, 1994. 

  19. 이준웅, "디지털 뉴스 시대의 언론 윤리 - 하버마스담론 윤리의 적용 -,"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13권, 제3호, pp.86-128, 2017. 

  20. 한기철, 하버마스와 교육, 학지사, 2008. 

  21. 안관수, 이은영, "융복합 사회에서 대학구조개혁정책에 관한 연구: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 관점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8호, pp.439-447, 2015. 

  22. 이현아, "우리는 토론을 통해 이성적 상호성에 도달할 수 있는가 - 하버마스의 심의민주주의론에 관한 일고찰 -," 한국정치학회보, 제41권, 제4호, pp.69-90, 200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