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악극 창작활동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 자기표현력,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Group Music Therapy Involving Creation of a Musical Play to Improve Self-Esteem, Self-Expression, and Social Skills in Children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7 no.1, 2020년, pp.51 - 70  

배성진 (뮤직N예술융합센터) ,  김경숙 (한세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음악치료 기반 음악극 창작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 자기표현력,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연구프로그램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28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저학년 14명, 고학년 14명으로 구성되었다. 학년별 집단은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배치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총 12회기의 음악극 창작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음악극 창작활동 프로그램은 탐색-창작-실행의 총 3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각 단계는 아동들이 기존 음악극을 체험하고, 자신들의 음악극을 창작하여 음악극 발표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참여자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자아존중감 척도, 자기표현능력 척도, 사회성기술평가척도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해 음악극 창작활동 프로그램에 참여 후 자아존중감, 자기표현력, 사회성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단계적으로 구성된 집단음악치료 기반 음악극 창작활동에서 제공되는 음악경험의 수준과 완성도가 발달기 아동의 개인적 사회적 역량강화에 긍정적 경험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music therapy involving the creation of a musical play on the self-esteem, self-expression,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14 first through third graders and 14 fourth through sixth graders from a children's center.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집단음악치료를 기반으로 한 음악극 창작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 자기표현력,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이었다. 지역아동센터 아동 중 저학년, 고학년 각 14명씩, 총 28명을 표집하여 각각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무선배치하였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 1회씩 총 12회기의 음악극 창작활동 프로그램을 실시 하였다.
  • 이는 통제집단의 활동으로 인한 결과이지만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음악극 창작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 하는 저소득층 아동에게는 더 효과가 크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은 음악극 만들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반면에 통제집단은 특정한 개입이 없는 자유시간을 갖도록 하였는데, 이는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외변인의 간섭을 차단함과 더불어 지역아동 센터 아동들의 평상시 환경과 최대한 유사한 조건을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이를 통해 음악극 만들기 프로그램의 개입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는데, 후속 연구를 통한 음악을 사용하는 다른 기법의 프로그램이나 음악이 아닌 다른 매체를 활용한 프로그램 등과의 비교 분석도 필요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아동들을 위한 지역아동센터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음악극 창작 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였으며 측정도구를 활용한 사전ㆍ사후 비교를 통해 음악치료에 기반을 둔 음악극 창작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의 아동의 자아존중감, 자기표현력,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대상 아동 중 저학년(1-3학년) 14명, 고학년(4-6학년) 14명, 총 28명을 표집하였고, 연령과 성별을 고려해 각각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배치하였다. 저학년과 고학년별 음악극 프로그램의 목표는 같으나 아동기별 발달적 수준을 고려하여 동화책 내용을 검토하였고, 각기 다른 동화책을 선택해 차별화하고자 했다.

가설 설정

  • 1. 음악치료에 기반을 둔 음악극 창작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자아존 중감, 자기표현력 및 사회성 사후 점수에 차이가 있는가?
  • 2. 음악극 창작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저학년 아동과 고학년 아동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자아존중감, 자기표현력 및 사회성 사후 점수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악극 창작활동 프로그램의 구성 단계는? 학년별 집단은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배치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총 12회기의 음악극 창작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음악극 창작활동 프로그램은 탐색-창작-실행의 총 3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각 단계는 아동들이 기존 음악극을 체험하고, 자신들의 음악극을 창작하여 음악극 발표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참여자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자아존중감 척도, 자기표현능력 척도, 사회성기술평가척도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다.
저소득층 아동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필요한 이유는? 일반 가정의 아동에 비해 저소득층 아동은 자신의 경제적 상황에 대해 결핍되었다고 인식하기도 하며 이로 인해 자아존중감과 자아개념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기도 한다(Hong, Jang, & Choi, 2014). 또한, 불안정한 경제 상황으로 인해 심리적, 정서적 발달을 위한 충분한 양육이 제공되기 어려울 수 있고, 불안감, 분노 등의 부적 정서를 경험하는 경우에 자신의 정서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될 수 있다(Aunola, Stattin, & Nurmi, 2000). 이처럼 저소득층 아동들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내적 발달을 위한 사회적 지지가 필요하며(Jo, 2014), 돌봄 정책의 일환으로 각 지역마다 지역아동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음악치료적 창작음악극의 특징? 본 연구에서의 음악극은 임상적 역할에 목적을 둔 음악치료적 창작음악극을 의미한다. 창작 음악극이란 이야기와 음악의 결합이라는 점에서 음악극과 동일하지만 일반적인 음악극의 체계적 구조와 음악공연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음악극을 창작하는 과정에서의 치료적 경험에 큰 목표를 두고 있어 아동이 친숙한 상황과 주제를 선택하며 아동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가 강조된다(McCaslin, 2000). 이러한 자발적 참여경험을 통해 아동들은 자신이 경험한 세계를 주도적으로 인식하게 되고, 이야기를 구성하고 대사를 만들어 분석하고 익히며 음악과 함께 경험되는 비음악적 요소들은 그룹 안에서의 협동작업을 통하여 인지적, 언어적, 사회적 발달을 통합적으로 도모하게 된다(Nichol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reason, C. L. (2002). An eclectic approach to the analysis of improvisation in music therapy session. Music Therapy Perspectives, 20(1), 4-12. 

  2. Aunola, K., Stattin, H., & Nurmi, J. E. (2000). Adolescents' achievement strategies, school adjustment, and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9(3), 289-306. 

  3. Baker, F. A. (2015). What about the music? Music therapists' perspectives on the role of music in the therapeutic songwriting process. Psychology of Music, 43(1), 122-139. 

  4. Byun, C. J., & Kim, S. H. (1980).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Journal of Student Guidance, 13(1), 51-85. 

  5. Choi, I. S., & Park, J. Y. (2012). The effects of the creative music drama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social skills.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41, 369-390. 

  6. Chong, H. J. (2015). Music therapy: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2nd ed.).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7. Clements-Cortes, A., & Chow, S. (2018). Enhancing self-esteem in the music classroom. The Canadian Music Educator, 59(2), 23-26. 

  8.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H. Freeman and Company. 

  9. Fairchild, R., & McFerran, K. S. (2019). "Music is everything": Using collaborative group songwriting as an arts-based method with children experiencing homelessness and family violence.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28(2), 88-107. 

  10. Gresham, F. M., & Elliott, S. N. (1990). Social skills rating system: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11. Hallam, S. (2010). The power of music: Its impact on the intellectual, social and personal development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International Journal of Music Education, 28(3), 269-289. 

  12. Hong, Y. R., Jang, G. J., & Choi, C. S. (2014).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children from low-income class: Testing mediation model of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1), 179-189. 

  13. Hur, H. J. (2010). A study of creative musical play program for increasing peer relational skill of children in commun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4. Jo, E. J. (2014).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happiness of the children and young people: Focused on children and young people from low-income families. Forum for Youth Culture, 37, 103-126. 

  15. Jun, K. H. (1999). The effects of self-concept enhancement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elf-esteem and learning attitude (Unpublished m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16. Jung, S. Y., & Lee, M. G. (2011). A trend analysis on the bibliotherapy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2003-2010,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3), 317-333. 

  17. Kim, C. Y. (2009). A study of teaching drawing learning plan for self expression in elementary school fine ar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18. Kim, H. J. (2018). Teaching-learning methods of making a music drama for improving self-esteem to multicultura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19. Kim, J. A. (2014). A case study of creative musical play program for improving self-expression skill of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20. Kim, J. E. (2016).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program using a creative music drama on self-regulation and self-expression of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care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1. Kim, S. J. (2013). The effect of making musical play experience to the multicultural children's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22. Kim, S. J., & Kim, G. S. (2015). Analysis on the effect of group music activities to enhance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Focusing on children's use of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29(2), 209-225. 

  23. Lee, I. W., & Choi, K. Y. (2006). The effect of peer cooperative musical activity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1(3), 77-99. 

  24. McCaslin, N. (2000). Creative drama in the classroom and beyond (7th ed.). New York: Longman. 

  25. Miller, S. D. (1984). Opera made elementary. Music Educators Journal, 71(2), 52-54. 

  26. Min, S. J. (2010). Effectiveness of bibliotherapy program for adjustment of divorced-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3(3), 89-105. 

  27. Moon, S. W., & Han, J. C. (1998).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social skill rating system (K-SSRS). Proceedings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Conference, 1998(1), 63-68. 

  28. Nicholson, J. M., Berthelsen, D., Abad, V., Williams, K., & Bradley, J. (2008). Impact of music therapy to promote positive parenting and child development.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3(2), 226-238. 

  29. Park, J. Y., & Choi, I. S. (2012). The effects of the creative music drama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social skills.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41(2), 369-390. 

  30.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31. Rakos, R. F., & Schroeder, H. E. (1979). Development and empirical evaluation of a self-administered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5), 991-993. 

  32. Sears, W. W. (1996). Processes in music therapy.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5(1), 33-42. 

  33. Sloboda, J. A. (1993). The musical mind: The cognitive psychology of music (W. S. Seo, Trans.). Seoul: Simsuldang. (Original work published 1985) 

  34. Sung, H. N. (2016). The effects of musical play creation activities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5. Yoon, S. J. (2008). The effect of music activity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36. Wheeler, B. L. (2015). Music therapy handbook.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