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항복 종가 기증 운보문단 보자기 무늬의 특징과 연대추정
Wrapping Cloth with Cloud and Treasures Pattern Donated by the Head House of the Descendants of Lee Hangbok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Dating and Analysis of the Cloud and Treasures Pattern 원문보기

박물관보존과학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v.23, 2020년, pp.49 - 60  

황진영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초록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운보문단 보자기(증9393) 유물의 전시와 안전한 보호를 위한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후 보존 처리한 직물 무늬의 시대를 추정하기 위하여 함께 기증 된 이항복(1556-1618)의 17세기 활동시기와 후모본(後模本) 초상화의 제작시기인 18세기의 유물과 비교하여 운보문단 보자기 무늬의 구성과 연대를 추정하였다. 운보문단의 시대 추정을 위해 시대가 확실한 유물과 비교한 내용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항복의 생몰년(1556-1618)을 기준으로 유사한 시기의 출토복식과 의궤의 표지의 무늬와 비교하였으나 운두와 꼬리크기의 비율에서 확연히 차이가 보여 이항복의 생몰년 대에 제작한 직물로는 추정되지 않다고 판단되었다. 둘째, 이항복의 호성공신과 위성공신 초상 후모본의 제작시기인 18세기 운보문단 직물 무늬와 비교한 결과 가장 유사한 1702년 『숙종인원왕후가례도감의궤』 표지의 운보문단이 확인 되었으며, 이외 1730년대까지의 의궤표지와 출토직물에서 배열, 크기, 비율 등 유사한 구성양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보자기의 정확한 용도는 확인 할 수 없었지만 함께 기증 된 후모본 초상화와 유사한 18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rapping cloth with Cloud and Treasures Pattern donated by the head house of the descendants of Lee Hangbok (1556-1618)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underwent conservation treatment for its protection and display. It was then compared with other ancient fabric objects for dating and analysis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보존처리를 의뢰 받을 당시 운보문단 보자기의 사용흔적은 남아있었지만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정확한 용도는 확인할 수 없었다. 기증 후 국립중앙박물관 유물등록번호 증9393 운문단 보자기의 명칭으로 등록하였으나, 처리 후 운보문단으로 확인되어 본 연구에서는 운보문단으로 명명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 대상유물인 운보문단 보자기의 무늬 특징과 같은 시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이항복의 생몰년(1556-1618)대에 확인 가능한 운보문 직물유물의 구성과 크기 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제작시기가 확실한 외규장각 의궤표지(표1)에 나타난 운보문의 특징을 살펴보면, 대부분 사합여의 운두형에 사선형의 꼬리가 연결되는 양식으로 『효종국장도감의궤(상)』(1659)의 운보문은 좌상향 일방향으로 2조 보문형, 『현종숭릉산릉도감의궤(하)』(1674)의 운보문은 우상향 일방향의 2조 보문형,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1690)의 운보문은 좌상향 양방향으로 보문의 순서는 약간 다르지만 8개의 보문이 배치되어 있다.
  •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항복 종가 기증 운보문단 보자기를 대상으로 보존처리를 통해 조사 된 운보문단 보자기 무늬의 특징을 파악하여 연도를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항복 종가 기증 운보문단 보자기의 전시와 안전한 보호를 위해 유물의 형태복원 및 운보문단 보자기 무늬의 특징을 파악하여 연대를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 운문단 보자기를 두 점의 초상화와 초상화 함에 사용하였는지는 정확히 확인 할 수 없었으나 후모본 초상과 제작시기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외규장각 의궤표지와 출토복식에 나타난 18세기 운보문 무늬와 비교해보고자 한다. 먼저, 18세기 의궤표지에서는 사합여의 운두형에 사선형의 꼬리가 연결되는 양식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황진영, 황소정, 박승원, 유경종(柳慶宗1565년-1623년)묘 출토복식 고찰, 박물관보존과학 제15집, p44, (2014). 

  2. 이은주, 외규장각 의궤 책의 문양을 통한 운보문 편년 설정 방법, 문화재 Vol. 52 No. 4, p18-37, (2019). 

  3. 국립중앙박물관편, 외규장각 의궤의 장황,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p88-115, (2014). 

  4.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편, 조선시대 피륙의 무늬, 석주선기념박물관, 서울, (2002). 

  5.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우리나라전통무늬1-직물, 눌와, 서울, p374, (2006). 

  6. 이은주, 김미경, 선조대(宣祖代) 공신초상(功臣肖像)의 복식 고찰, 문화재 Vol. 52 No. 1, p120-147, (2019). 

  7. 김민정, 朝鮮時代 出土服飾에 나타난 雲 .雲寶紋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47, (2002). 

  8. 경기도박물관편,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 경기도박물관, 용인, p177, (2001). 

  9. 박성실, 서울 상암동 출토 전주이씨 밀창군 복식 고찰, 한국복식 22호 , p134, (200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