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판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측정도구(S-EBPQ)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Student Evidence-Based Practice Questionnairs(S-EBPQ)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8 no.1, 2020년, pp.35 - 43  

김선경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Upton, Scurlock-Evans 와 Upton 이 개발한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측정도구(S-EBPQ)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학습 경험과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 209명의 자료를 데이터 분석에 활용하였다. 구성타당도를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기존의 도구와 동일한 4 요인, 21 문항이 확인되었다. 도구의 설명력은 67% 였고 도구 전체의 신뢰도는 .927 이였다. 한국어판 S-EBPQ는 우리나라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역량을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것이다. 또한 도구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간호대학의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이 효과를 평가하는데 활용 될 수 있을것이며 이는 간호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Student Evidence-Based Practice Questionnaire (S-EBPQ) which developed by Upton, Scurlock-Evans, and Upton. Data were collected from 209 nursing students with previous experience of education in evidence-based practic...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Upton, Scurlock-Evans 와 Upton(2016)[7]에 의해 개발된 Student Evidence-based PracticeQuestionaire(S-EBPQ)을 우리나라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를 측정하기에 적합하도록 한국어로 번역한 후 이의 타당도과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향후 간호사로서 활동한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능력의 측정을 위해 개발된 학생용 근거기반실무평가도구(S-EBPQ)[8]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어버전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9명의 근거기반간호 관련 수업을 들은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도구의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 신뢰도가 검증되어 최종 21개 문항과 4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측정도구로 구성되었다.
  • S-EBPQ도구의 한국어 번안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근거기반실무를 세부 영역으로측정함으로서 현재 학부생을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다양한 근거기반 간호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 보완이 필요한 영역을 알아보기 위한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평가도구 S-EBPQ의 우리나라 간호대학생의 근거 기반실무능력에 대한 평가에 적합한 도구인지 평가하고 도구의 문화적 적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거기반실무란 무엇인가? 근거기반실무(Evidence-based Practice, EBP)란 의료인이 의료행위에 대한 의사결정시, 잘 설계된 연구로부터 도출된 근거, 임상경험과 판단, 대상자의 선호,주변의 활용가능한 자원에 대한 총체적인 고려를 의미한다[1]. 간호에서 근거기반실무는 개개인의 환자를 위해 명확하고, 판단력있게 최선의 근거를 활용하여 간호행위에 대한 의사결정을 의미한다[2].
근거기반간호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근거기반간호에서는 임상 실무에서 환자중심적 사고와 주어진 임상환경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바탕으로 임상적 근거를 수집, 분석, 종합하여 환자의 건강 관련 의사결정에 활용하도록 격려하고 있다[7]. 근거기반간호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최상의 근거가 되는지식을 찾고 정확하게 해석하는 것으로서 간호사들은 자료를 검색하고 실무에 적용하는 능력과 이를 확산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8].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임상에서는 가장 최신 근거가 사용되고 이의 광범위한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검증하려 하는 근거 기반측정도구는 무엇인가? 최근 Upton, Scurlock-Evans 와 Upton[8]에 의해 개발된 Student Evidence-based PracticeQuestionaire(S-EBPQ)는 기존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되고 그 타당도가 검증된 Evidence-based Practice Questionaire(EBPQ)[16]를 학생용으로 개정한 측정도구이다. 기존의 EBPQ는 간호사의 근거기반 실무능력을 평가하고자하는 목적으로 개발된 도구로서 근거기반실무를 4가지영역(지식, 태도, 기술, 사용 빈도)으로 측정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 H. Park. (2006).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evidence based nursing. 2nd ed. Seoul: Koonja. 

  2. G. L. Ingersoll, (2000). Evidence-based nursing: what it is and what it isn't. Nursing outlook, 48(4), 151-152. DOI: 10.1067/mno.2001.118057 

  3. B. M. Melnyk, E. Fineout­Overholt, C. Stetler, & J. Allan. (2005). Outcome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from the first US evidence­based practice leadership summit.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2(3), 113-121. DOI: 10.1111/j.1741-6787.2005.00022.x 

  4. B. M. Melnyk, & E. Fineout-Overholt, (2011). Evidence-based practice in nursing & healthcare: A guide to best practice.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 D. A. Park. (2018). Evidence Based Healthcare and the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NECA). Evidence and Nursing, 6(1), 7-10. DOI: 10.5124/jkma.2013.56.2.111 

  6. M. O. Gu, Y. A., Jo, Y. Eun, I. S. Jung, S. H. Lee, & H. J. Seo. (2016). Introduction to evidence-based nursing. Seoul: Fornurse. 

  7. H. Park, & K. S. Jang. (2016). Structural model of evidence-based practice implementa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5), 697-709. DOI:10.4040/jkan.2016.46.5.697 

  8. P. Upton, L. Scurlock-Evans, & D. Upton. (2016). Development of the student evidence-based practice questionnaire (S-EBPQ). Nurse education today, 37, 38-44. DOI:10.1016/j.nedt.2015.11.010 

  9. M. H. Park. (2011). Effects of evidence based practice integrated critical care clinical practicu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346-354. DOI:10.5977/JKASNE.2011.17.3.346 

  10. K. S. Jang, E. A. Kim, & H. Y. Park. (2015). The effects of an evidence-based nursing course using action learning o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1), 119-128. DOI:10.5977/jkasne.2015.21.1.119 

  11. M. H. Park. (2013). Implementation of evidence based nursing education into nursing management clinical practicum: outcome evaluation and diffusion strateg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1), 39-47. DOI:10.11111/jkana.2013.19.1.39 

  12. M. Choe, K. S. Bang, Y. H. Park, Y. & H. J. Kang. (2011).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for futur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nursing in Korea.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8(2), 129-138. 

  13. Korean Nurse Association. (2016). Resources: Educational institution status. Retrieved from http://www.koreanurse.or.kr/resources/nurse_edu.php 

  14. M. P. McEvoy, M. T. Williams, & T. S. Olds. (2010).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a trans-professional evidence-based practice profile questionnaire. Medical teacher, 32(9), e373-80. DOI:10.3109/0142159X.2010.494741 

  15. M. Ruzafa-Martinez, L. Lopez-Iborra, T. Moreno-Casbas, & M. Madrigal-Torres.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mpetence in evidence based practice questionnaire (EBP-COQ) among nursing students. BMC medical education, 13(1), 19. DOI:10.1186/1472-6920-13-19 

  16. D. Upton, & P. Upton. (2006). Development of an evidence-based practice questionnaire for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3(4), 454-458. DOI:10.1111/j.1365-2648.2006.03739.x 

  17. E. O. Lee, N. Y. Im, H. A. Park, L. S. Lee, J. I. Kim, J. I. Bae, J. I., et al. (2009). Nursing/medical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Soomoonsa. 

  18. J. S. Kim. (2014).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9. M. H. Choi, Y. H. Kim, & H. M. Son. (2016). Factors influencing evidence-based practice attitude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ciety Nursing Education, 22(3), 274. DOI:10.5977/jkasne.2016.22.2.274 

  20. Y. H. Ha, M. Lee, & Y. J. Chae. (2016).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on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ies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1), 347-356. DOI:10.14400/JDC.2016.14.11.347 

  21. A. B. Costello, & J. W. Osborne. (2005).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10(7), 1-9. 

  22. E. Ferguson, T. Cox (1993)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Users' Guide. International Journal of Select Assess, 1, 84-94. DOI:10.1111/j.1468-2389.1993.tb00092.x 

  23. R. Luyt, (2012). A framework for mixing methods in quantitative measurement development, validation, and revision: A case study. Journal of Mixed Methods Research, 6(4), 294-316. DOI:10.1177/1558689811427912 

  24. O. Friborg, M. Martinussen, & J. H. Rosenvinge. (2006). Likert-based vs. semantic differential-based scorings of positive psychological constructs: A psychometric comparison of two versions of a scale measuring resilie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0(5), 873-884. DOI:10.1016/j.paid.2005.08.015 

  25. Y. Kang, & I. S. Yang. (2016).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and its correlates among Korean nurses. Applied Nursing Research, 31, 46-51. DOI:10.1016/j.apnr.2015.11.016 

  26. A. R. Nam, E. H. Lee, J. O. Park, E. J. Ki, S. M. Nam, & M. M. Park. (2017). Effects of an evidence-based practice (EBP) education program on EBP practice readiness and EBP decision making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3(3), 239-248. DOI:10.11111/jkana.2017.23.3.2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