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초등·중등 학생의 성교육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f Korean Journals on Sex Education for Young Children·Elementary School Students·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6, 2020년, pp.128 - 139  

백유미 (중부대학교 원격대학원 교육상담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초·중등 학생의 성교육 연구 동향을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성교육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연구 전망 및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19년 사이에 유·초·중등 학생 대상 성교육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 30편을 추출하여 성교육의 일반적 동향(연구시기별, 학술분야별), 연구주제별, 연구 대상별, 연구 방법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시기는 2000년 중반에 접어들면서 증가하였고, 24개 학술지에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주제 측면에서는 '성교육 인식 및 실태'를 파악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성개념 발달' 및 '프로그램 개발 및 교수방법 전략'을 주제도 증가하였다. 셋째, 연구대상 측면에서는 유아 대상 논문은 9개, 초등 학생 대상 논문은 6개, 중학생 대상 논문은 14개, 고등학생은 2개, 교사 및 부모와 관련된 논문은 9개였다. 넷째, 연구 방법은 양적연구인 '질문지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다음은 '문헌연구', '면담' 순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논의를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observe research trends of sex education for young children·elementary school students·middle school students, provide base material for research on sex education, and present research prospects and tasks for the future. For this...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초등•중등 학생 대상 성교육 연구의 내용과 방법을 분석하여 향후 성교육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그러나 사회 전체적으로 거의 발전 없이 멈춰있는 성인지 수준과 코로나 19로 인해 학교 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국가의 상황까지 더해지면서 학교에서의 성교육만으로는 부모들이 만족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성교육에 대한 요구와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시작하게 되었다.
  • 따라서 성교육 연구가 활발하기 시작한 2000년부터 지금까지의 성교육 분야를 대상별•연도별로 분석하여 그 경향성을 살펴볼 시점이다.
  • 본 연구는 ‘유아•초등•중등 학생을 위한 성교육 관련 국내문헌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유•초•중등학생 성교육과 관련 학술지 논문의 일반적 연구동향, 연구주제별, 연구대상별, 연구 방법별 연구동향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성교육의 향후 방향과 다양하고 균형 있는 연구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번방이란 무엇인가? 최근 '박사방', 'n번방' 등 미성년자를 포함한 여성들을 협박해 성(性) 착취 영상물을 만들고 모바일 메신저 프로그램 등으로 유포하는 디지털 성범죄 실태가 수면 위로 드러나자 자녀를 둔 부모들은 성교육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
성폭력 상담 피해 중 가장 비율이 높은 연령기는 무엇인가? 특히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성범죄가 전체 성폭력 상담 피해 중 33.3%로 가장 높아[3] 유아기에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심어주는 성교육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 이다[4]. Freud에 의하면 인간은 연령이 변화함에 따라 성적발달도 변화한다고 하였고, Erickson에 의하면 만 3~6세에는 성적 관심이 크게 증가한다고 하였다.
가장 많은 국내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의 연령대는 무엇인가? 경찰청 디지털 성범죄 특별수사본부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지난 4월까지 경찰이 검거한 디지털 성범죄 피의자 309명 중 94명이 10대로 밝혀졌다. 피해자 중에서도 10대가 많다. 신원이 특정된 피해자 118명 중 절반에 가까운 58명이 10대였다[2]. 이러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성범죄 사건에 대해 근본적인 대책과 성교육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Ministry of Education. (2016). Kindergarten sex education progra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 K. I. Park. (2020). Robotnews. The Self-School 'Small Group Sex Education', 'Real Sex Education for Individual Level',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584 

  3. Korea Sexual Violence Counseling Office. (2019). 2019' Korea Sexual Violence Counseling Office Consulting statistics. 

  4. M. J. Woo. (2010). A Study in Kindergarten Teacher's Variation of Awareness and Teaching Practice about Sex Educa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14(3), 129-147. 

  5. G. H. Jeong, S. J. Kim & S. O. Yang. (200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exu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unmarried mother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0(3), 252-260. 

  6. S. J. Kim, J .E. Lee, S. H. Kim & K. A. Kang. (2012). The Effect of Sexual Education on Sex Knowledge & Attitud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89-403. 

  7. K. Y. Song, J. J. Kim & B. I. Yu. (2003). Basic Research on Sexuality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Student life research, 28, 117-173. 

  8. H. J. Lee. (2006). The Development of a Model of a Discussion Class for the Education at Middle School,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4(3), 145-162. 

  9.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1). Youth harmful environment contact comprehensive survey press release. 

  10. H. S. Kim & H. A. Seo. (2010). Teachers' Recognition and Current Condition of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1-29. 

  11. J. Y. Kim. (2004). Current Status of Sex Education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in the Northern Part of Yeongdong Area,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55-179. 

  12. K. S. Do. (2014). Sexualitat von Kinder und die Sexualerziehung in deutschen Kindergarten, Koreanische Zeitschrift fur deutschunterricht, 62, 387-408. 

  13. M. J. Woo. (2011). A Study of the Difficulties in Sex Education and the Need for Sex Education Content of Kindergarten Teachers, Transform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5(1), 33-149. 

  14. E. K. Lee & Y. B. Kim. (2017). The Development and Effects Analysis of a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Journal of Women's Studies, 27(1), 143-182. 

  15. K. S. Kim & S. J. Kim. (2010). Needs on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for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6(2), 93-101. 

  16. I. K. Yoon, S. K. Jeon & J. Y. Park. (2008).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Sex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2(1), 73-92. 

  17. G. Y. Lee. (2015). Sexual Education, Sexual Knowledge, Sexual Education Demand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3), 353-375. 

  18. S. J. Kang & B. E. Cho. (2013). The effects of storytelling techniques in the sex education on sound sexual value of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ed on the contents of the unit of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in Technology.Home Economic Textbook in Middle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5(1), 15-36. 

  19. H. J. Lee. (2006). The Development of a Model of a Discussion Class for the Sex Education at Middle School,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4(3), 145-162. 

  20. S. O. Yang &, S. J. Kim. (2004).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Tool for Middle School Student Sex Educatio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0(3), 332-339. 

  21. H. S. Lee, B. H. Jeong, Y. H. Lee, W. S. Sung, G. W. Ha, G. Y. Lee, M. K. Lee & S. H. Song (2015).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Sexual Allowa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 culture, 21(3), 231-252. 

  22. Y. R. Lee. (2006).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xual Education Program in High School,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13(2), 191-265. 

  23. M. J. Woo. (2011).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1(3), 83-99. 

  24. W. Y. Jeong & H. Y. Kim. (2018).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Children's Media, 17(1), 107-131. 

  25. Y. S. Sung & K. C. Kim. (2017). An Analysis on Activities Related to Anti-bias Education in Teacher's Guidebook of Nuri Curriculum for Five Years Old,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4(4), 1-24. 

  26. M. R. Kim. (2015).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 in Teacher-for-Early-Childhood Music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9(3), 387-415. 

  27. K. E. Kim, S. Y. Kwon & J. H. Jeong. (2016).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f action research in the ar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11(2), 133-156. 

  28. T. J. Sung. (2005).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Methodology Research. Seoul: HAKJISA 

  29. D. Golombok, J. Rust, K. Zervoulis, T. Croudace, J. Golding & M. Hines. (2008).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Sex-Typed Behavior in Boys and Girls : A Longitudinal General Population Study of Children Aged 2.5-8 Years. Child Development, 79(5), 1583-1593. 

  30. N. H. Cha & M. J. Wang (2006). Actual State of Recognition and Experience of Love, Sex Knowledge and Self-esteem in Girl'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Women Health Nurs, 12(3), 249-256. 

  31. S. H. Guem, M. H. Kim & I. S. Kang. (2004). Research on Sex Education of Young Children's Mothers, Society of Parent-Child Healtth, 8(1), 49-63. 

  32. J. Y. Lee, S. Y. Park, M. J. Je & H. O. Ju. (2018). Effects and Development of an Experience-based Sex Education Program for Adjustment to Puberty in Upper Elementary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4(4), 454-464. 

  33. K. W. Nam, S. Y. Lee & Y. L. Kong. (2016). Analysis of Picture Books for Sex Education in Young Children - with the 15 General Standard for Kindergarten Sexual Education - ,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17(4), 245-268. 

  34. H. M. Park & M. Y. Lim. (2005).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Using Multimedia Program on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Sex of Middle School Boy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9(2), 173-179. 

  35. G. H. Jeong, S. O. Yang & S. H. Baek. (2000). Status of Use and Evaluation of Materials of Sexual Education for Child and Adolescent in Schools, Korea,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8(3), 313-321. 

  36. S. W. Kim, S. W. Kim & H. R. Han. (2005). An analysis on the Practice of Middle School Sexual education and the Demand of Sexual Education by Sex,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6(1), 125-141. 

  37. E. J. Kim. (2003). The Changes in Gender-Egalitarianism after Sexuality Educ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4(4), 717-725. 

  38. E. J. Kim. (2008). Factors Influencing Sexual Attitude Change through Sex Educ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Psychiatric Nursing, 17(4), 403-410. 

  39. S. Y. Park & S. H. Kim. (2018). The Composition and Application Effect of a Music Drama Progra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Using Sexual Education Picture Books,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19(3), 261-290. 

  40. C. H. Park & G. J. Paek. (2002). Need for Sex Educ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Women Health Nurs, 8(1), 124-137. 

  41. E. J. Kim, Y. H. Lim, B. K. Cha, S. W. Joe & G. E. Lee. (2003). Sexual Attitude Changes after Sex Education according to Family Environmental Factors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2(3), 362-373. 

  42. H. J. Yoo & M. S. Kim. (2017). A Comparative Study on the Awareness of Teacher and Parents" Sex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e Factors on the Necessity, and the Differences in Demanded Education Timing, The Research Institute for Social Science Keimyung University, 36(1), 71-108. 

  43. E. M. Lee & Y. J. Oh. (2016).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and Parent Efficacy among Parents of Preschool Child,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6), 141-150. 

  44. J. H. Lm & H. Y. Lee. (2007). The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Sex Educational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ch, 13(2), 118-12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