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teaching)역량 프레임 제안
Teaching Competencies of University Professors in Future Societ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6, 2020년, pp.349 - 357  

백종남 (우석대학교 특수교육과) ,  백유진 (우석대학교 정보보안학과) ,  김세연 (우석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최숙영 (우석대학교 정보보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이론적 근거 탐색을 문헌분석과 연구자 협의를 통해 수행하였다. 미래 사회 변화 및 교수역량과 관련하여 이미 활발한 주장 및 논의들이 진행되어,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고찰하고 미래 사회의 변화를 탐색하여 교수역량 프레임을 제시하였다. 먼저,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주는 함의를 먼저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대학 교원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이론적 논거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하위요소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으로서 변화대응역량 2개 능력, 혁신추진역량 2개 능력, 수업역량 4개 능력 등 3개 영역 8개 능력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함양 계획을 세워 4차 산업 혁명 시대 불확실한 미래가 갖는 불안정성에 대비하고, 각 대학의 혁신과 변화 전략을 수립하며, 학생의 필요와 시대적 요구에 맞는 수업 혁신 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teaching competency of university professors in the future society represent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the researcher's council.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derived the implications for cultivating of teac...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함양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대학 교원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각 개념별 하위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함양에 주는 함의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대학 교원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변화를 요구하는 요인으로, 불확실성의 시대에 따른 변화 요구, 생존경쟁 시대 대학의 변화 요구, 수업의 변화와 혁신 요구 등을 근거로 들었다.
  • 다음으로, 이러한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대학 교원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각 개념별 하위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먼저,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함양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대학 교원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하는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해 문헌분석과 연구자협의회를 통 해 이론적 근거를 탐색하였다.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비하고 미래 사회 인재양성을 위해 대학 교원이 이러한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변화 요구에 따라 내부 조직 및 개인적 변화 추구라는 논리를 들어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이 갖추어야 할 교수역량의 이론적 근거를 검토하였다.
  •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설정을 위한 이론적 근거는 연구자 및 연구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법과 연구자협의회를 통해 다음과 같이 논리적 근거를 도출하여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프레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런 의미에서 급격한 대내․외 환경 변화 요구에 따라 교수역량의 개념들을 도출하고 이를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을 탐색하고 미래 사회 교수역량 프레임을 새로 제안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함양에 주는 함의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대학 교원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 Schwab. (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urrency. 

  2. W. G. Lim, B. K. Kim, Y. N. Hong & S. Y. Kim. (2018). Analysis of perception and needs on teaching competencies of faculty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Innocation Research, 28(2), 45-72. 

  3. I. H. Jeong & E. J. Lee. (2012). Educational needs analysis depending on professors' position for teaching competency reinforcement. Journal of Competency Development and Learning, 7(1), 1-22. 

  4. K. Kang. (2019).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teaching capacity of professor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ocused on the paradigm of lifelong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and Culture, 25(1), 49-82. 

  5. J. Baek & S. Kim. (202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uture teacher competency diagnostic scale for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2), 2233-4890. 

  6. K. Kang & S. H. Park. (201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competency tool of university teacher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7(9), 88-98. 

  7.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2000). Terminology of Educational Psychology. Seoul: Hakjisa. 

  8. J. Y. Lee. (2013). 21st century learners' core competencies and challenges for Korean education. Physics and High Technology April, 13-16.(DOI: 10.3938/PhiT.22.014). 

  9. Korean Societ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2010). HRD Terminology Dictionary. Seoul: Joongang Economy. 

  10. D. C. McClelland.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11. D. D. Dubois. (1993).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HRD Press, Inc., 22 Amherst Road, Amherst, MA 01002. 

  12. L. Spencer & S. Spencer. (1993). Competency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Y: John Wiley and Sons, Inc. 

  13. J. D. Klein, J. M. Spector, B. L. Grabowski & I. de la Teja. (2004). Instructor competencies: Standards for face to face, online, and blended settings. IAP. 

  14. D. E. Tigelaar, D. H. Dolmans, I. H. Wolfhagen, & C. P. Van der Vleuten. (2004).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ramework for teaching competencies in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48(2), 253-268. 

  15. H. Heo & K. Y. Lim. (2011). 21st century learner and teacher competencies modeling.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R 2011-2). 

  16. H. L. Roh & M. N. Choi. (2004).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competency model for HRD.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7(2), 1-28. 

  17. E. H. Yang & J. Chung. (2010). Needs analysis for improving teaching competenc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6(2), 25-52. 

  18. E. Oh. (2009). An investigation of teaching competencies for the student-centered instruction, The Korean Journal of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5(2), 107-134. 

  19. M. S. Choi & H. Y. Jo. (2019). A study on teacher competency difference perceived by teachers and learners: Focusing on S univers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 1353-1373. 

  20. E. G. Lim, Y. N. Hong, S. Y. Kim & B. K. Kim. (2019).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eaching competency scale in a university environment,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50(1), 1-23. 

  21. K. T. Seo, Y. G. Cho, S. P. Jang & M. K. Sung. (2019).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rofessor's self-competency diagnostic tool.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3), 149-158. 

  22. O. Ha. (2017).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y factor derivation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and analysis of difference in lecture level.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5(1), 1-26. 

  23. H. Hong & J. Lee. (2016). Identifying teaching competencies blended learning in universit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2(2), 391-425. 

  24. M. R. Eom. (2012). A suggestion on teaching support program through the competencies analysis of university faculties' 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TPACK).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7(3), 21-45. 

  25. S. K. Baek, S. Y. Kim, Y. I. Kim & R. Baek. (2016).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university innovation, Institute Ministry of Education (TRKO201900000560). 

  26. W. J. Lee. (2018).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hanges in management and marketing. Korea Business Review, 22(1), 177-194. 

  27. W. Y. Eom, M. K. Sung & S. A. Lee. (2015). A case study on identifying faculty competency of private universit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1(4), 869-907. 

  28. P. Mishra & M. J. Koehler. (2006).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framework for teacher knowledge. Teachers College Record, 108(6), 1017-1054. 

  29. H. Lee, Y. S. Kim & H. Heo. (2012). The development of a inventory for teaching competency in colleges of engineer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39-469. 

  30. W. Lim. (2007). The study of the core teaching competency model for the professor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31. L. S. Patricia & J. R. Tillman. (1999). Instruction design. John Wiley & Sons. Inc. 

  32. K. J. Kang. (2005). Model of e-learning teaching-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for self-directed learning: On the basic of specialized subjects in vocational high school. The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37(4), 103-1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