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삶의 질,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stress caused by the epidemic of COVID-19, quality of lif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6, 2020년, pp.423 - 431  

김송이 (동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COVID-19 유행으로 인해 발생한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성인 180명이며, 자료는 2020년 4월 9일부터 4월 15일까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COVID-19 유행으로 인해 발생한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며 긍정심리자본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COVID-19 유행으로 인해 발생한 스트레스로 인해 낮아진 삶의 질을 중재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tress caused by the COVID-19 epidemic on quality of lif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study subjects were 180 adult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9 to April 15, 2020.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COVID-19 유행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본 연구에서 증명하였으며, COVID-19 유행으로 힘든 시기에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COVID-19 유행으로 인해 증가되고 있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측정하고 스트레스로 인해 감소되어 가는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초자료가 되기 위해 시행하였으며 특히 긍정심리자본이라는 조절변수를 사용하여 삶의 질을 증가시키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성인이 느끼는 COVID-19 유행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COVID-19 유행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VID-19 유행으로 인해 발생한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COVID-19 유행으로 인해 발생한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여 COVID-19 유행으로 인해 감소된 삶의 질을 증가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20년 4월 21일을 기준으로 세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의 현황은 어떠한가? 2020년 4월 21일 현재 세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이하 COVID-19)의 현황은 미국의 확진자가 792,913명, 사망자 42,517명이며, 스페인이 확진자가 200,210명,사망자 20,852명, 이탈리아의 확진자가 181,228명, 사망자가 24,114명, 독일이 그 다음으로 확진자 147,065명, 사망자 4,862명으로 이 중 스페인, 이탈리아는 사망률이 10% 이상이다[1]. 이 외에도 영국,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등 많은 나라들이 사망률이 10%를 웃돌고 있다[1].
COVID-19 유행으로 인해 발생한 스트레스는 어떤 영향과 효과를 나타내는 가? 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COVID-19 유행으로 인해 발생한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며 긍정심리자본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COVID-19 유행으로 인해 발생한 스트레스로 인해 낮아진 삶의 질을 중재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빠른 속도로 퍼져가는 COVID-19로 인해 정부가 실시한 사회적 거리두기두기 현상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빠른 속도로 퍼져가는 COVID-19로 인해 정부에서는2020년 3월 23일부터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두기를 실시하며 전 국민에게 적극 참여를 당부하였다[5]. 전국 학교 개강이 계속해서 미뤄졌으며 회사근무도 가능한 한 재택근무형식으로 할 수 있도록 권장되었다[6,7]. 종교시설 및 실내 체육시설 및 유흥시설 등 일부 업종도 운영제한 조치가 내려지며 국민들의 사회생활은 제한되었고 사회적 격리 기간이 계속해서 연장됨에 따라 국민들은 우울감 및 불안, 스트레스를 호소하게 되었다[5,8]. 현재 정부에서는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발생하는 국민들의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9,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orona 19 (COVID-19) real-time situation board. (2020). https://coronaboard.kr/ 

  2. Central Accident Remediation Headquarters. Central Defense Response Headquarters.(2020). http://ncov.mohw.go.kr 

  3. Central Accident Remediation Headquarters. Central Defense Response Headquarters.(2020). http://ncov.mohw.go.kr/tcmBoardView.do?brdId3&brdGubun31&dataGubun&ncvContSeq583&contSeq583&board_id311&gubunALL 

  4. Central Accident Remediation Headquarters. Central Defense Response Headquarters.(2020). http://ncov.mohw.go.kr/tcmBoardView.do?brdId3&brdGubun31&dataGubun&ncvContSeq1241&contSeq1241&board_id311&gubunALL 

  5. Central Accident Remediation Headquarters. Central Defense Response Headquarters.(2020). http://ncov.mohw.go.kr/tcmBoardView.do?brdId&brdGubun&dataGubun&ncvContSeq353682&contSeq353682&board_id&gubunALL 

  6. Ministry of Education. (2020). https://www.moe.go.kr/sub/info.do?m020102&smoe 

  7.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0). http://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0754 

  8. National Trauma Center. (2020). https://nct.go.kr/serviceCenter/pressDetail.do?currentPageNo2&refnceSeq339&searchKeyword1 

  9. Central Accident Remediation Headquarters. Central Defense Response Headquarters.(2020). http://ncov.mohw.go.kr/tcmBoardView.do?brdId&brdGubun&dataGubun&ncvContSeq353502&contSeq353502&board_id&gubunALL 

  10. National Trauma Center. (2020). https://nct.go.kr/serviceCenter/noticeList.do 

  11. IT chosun. (2020).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3/17/2020031702949.html 

  12. Luthans, F., Avolio, B. J., Avey, J. B., & Norman, S. M. (2007).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Personnel Psychology, 60(3), 541-572. doi:10.1111/ j.1744-6570.2007.00083.x 

  13. Y. K. Kim, S. H. Kwon & H. G. Son. (2018). The Influence of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Quality of Lif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3), 1579-1593. 

  14. Luthans, F., Vogelgesang, R. & Lester, P. B. (2006). Developing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Resiliency.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SAGE journal, 5(1), 25-44. https://doi.org/10.1177/1534484305285335 

  15. Y. R. Lee, S. J. Han & C. M. Cho. (2016). Disaster Experience, Perception and Perceived Stress of Nursing Students. The Korean Society Stress Medicine, 24(4), 237-242. 

  16. Luthans, B. C., Luthans, K. W. & Jensen, S. M. (2012). The impact of business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capital of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 for Business, 87, 253-259. 

  17. J. S. Kim. (2013).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Andragogy Today :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6(4), 31-59. 

  18. J. H. Kim. (2017).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nhancement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Ph.D.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sangnamdo, jinju. 

  19. G. Y. Lee. (2017).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Death Attitude. Ph.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20.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3). WHOQOL Study Protocol. WHO(MNH/PSF/93.9).WHO, Geneva. 

  21. S. G. Min, C. I. Lee, G. I. Kim, S. Y. Seo & D. G. Kim. (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WHOQOL-BREF) Psychiatry investigation, 39(3), 571-57 

  22. U. H. Jang. (2016). Disaster and Gender: Focusing on Vulnerabilities and Competencies. Gender Review. Korea Institute for Women's Policy Institute. Kyobo mungo. 16-23. 

  23. Birkmann, J. et al. (2013). Scenarios for vulnerability: opportunities and constraints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and disaster risk. Climatic Change, 1-16. 

  24. Viswanath, B. et al. (2013). Gender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impact of tsunami.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59(2), 130-136. 

  25. M. H. Jang, H. K. Kim, H. J. Song, G. P. Park, J. Y. Jeong & J. H. Lee. (2014). Recovery and Support Plans for Women Affected by Disaster. The research report of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6. Fothergill, A.. Gender. (1996). Risk, and Disaster.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and Disasters, 14(1), 33-56. 

  27. North, C. S., Oliver, J. & Pandya, A. (2012). Examining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Systematically Studied Survivors of 10 Disasters. American Journal Public health. 102(10), 40-48. 

  28. J. H. Jang & W. I. Lee. (2020). Factor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Among Female Disaster Victim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0(4), 263-275. 

  29. A. K Goenjian, Alan Steinberg, Louis Marshall Najarian, Lynn A Fairbanks, M Tashjian & Robert Pynoos. (2000). Prospective Study of Posttraumatic Stress, Anxiety, and Depressive Reactions After Earthquake and Political Violenc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7(6), 911-916. 

  30. S. Y. Choi. (2019).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quality of life of adults who experienced natural disaster : focused on Kyeongju and Pohang earthquakes in South Korea. Ph.D. dissertation, Yeonsei University, Seoul. 

  31. Siqveland, J., Nygaard, E., Hussain, A., Tedeschi, R. G. & Heir, T. G. (2015). Posttraumatic growth,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in relation to quality of life in tsunami survivors: A longitudinal study.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13(1), 18. https://doi.org/10.1186/s12955-014-0202-4 

  32. S. Y. Sim, Y. W. Son, S. H. Park & J. W. Yoon. (2016). Disaster Victims' Post - trauma Risk, Posttraumatic Growth and Subjective Well - being -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and Income as a Moderator.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31(6), 105-112. https://doi.org/10.14346/JKOSOS.2016.31.6.105 

  33. S. J. Jung. (2015). Effects of Serious Leisure Experience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Quality of Life.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34. Li Liu, Ying Chang, Jialiang Fu, Jiana Wang & Lie Wang. (2012).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hinese physicians: a cross-sectional study. BMC Public Health 12(219). 

  35. H. Y. Kim. (2016). (An) empirical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conflicts, quality of lif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with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mong executive agency employees.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36. S. W. Jung, Y. M. Lee & D. Y. Im. (2013). The Structural Modeling on the Percep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ers'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Gyeonggi Research Institutel, 15(1), 35-5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