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튬이온 전지용 바이오매스 기반 음극재 개발
Development of Biomass-Derived An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y 원문보기

청정기술 = Clean technology, v.26 no.2, 2020년, pp.131 - 136  

정재윤 (경상대학교 화학공학과) ,  이동준 (경상대학교 화학공학과) ,  허정원 (경상대학교 화학공학과) ,  임두현 (경상대학교 화학공학과) ,  서양곤 (경상대학교 화학공학과) ,  안주현 (경상대학교 화학공학과) ,  최창호 (경상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의 석유계부산물 기반 음극재의 대체물질을 개발하고자, 친환경적이며 가격이 저렴한 대나무 기반 1차 탄화숯을 저온 흑연화 공정을 통해 흑연으로 전환 후 음극재로 활용하였다. 저온 흑연화 공정을 위해 탄화철을 촉매로 사용하였으며, 첨가된 탄화철의 양에 따라 흑연화 정도를 X선 회절기(x-ray diffraction, XRD), 라만 분광기(raman spectroscopy),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을 사용하여 분석 한 후 탄화철의 최적 양을 결정하였다. 가스흡착법(brunauer-emmett-teller, BET)를 사용하여 흑연화 숯의 기공특성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촉매 표면을 중심으로 비정질의 탄소가 흑연으로 전환되었으며, 흑연화 공정 후 촉매를 제거하기 위해 산 처리를 하는 동안 기존의 1차 탄화숯보다 크기가 큰 기공이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표면적이 줄어들었다. 최적 양의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흑연화 숯을 음극재로 활용하여 전지성능을 분석한 결과 1차 탄화숯과 비교하여 방전용량과 충방전 효율이 증가하였다. 이는 흑연화 공정으로 비정질의 탄소가 흑연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전지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탄화철 촉매의 크기를 최대한 작게 조절하고, 흑연화 숯의 입자크기를 균일화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omass bamboo charcoal is utilized as anode for lithium-ion battery in an effort to find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resources such as cokes and petroleum pitches. The amorphous phase of the bamboo charcoal is partially converted to graphite through a low temperature graphitization process with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나무를(맹종죽) 활성탄으로 만드는 과정 중에 생산되는 1차 탄화숯을 저온 촉매-흑연화공정을 거쳐 음극재로 사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1차 탄화숯의 비결정 카본에 촉매양을 달리하여 흑연화 정도를 분석하였고 이를 전지의 음극재로 사용하여 충・방전 실험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튬 이차전지의 장점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를 생성해야 할뿐 아니라 생성된 재생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데, 대표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들 수 있다. 리튬 이차전지의 4대 요소 중 하나인 음극재를 개발하기 위해 초기에는 리튬 금속이 사용됐는데, 리튬 금속은 높은 용량을 재현할 수 있으나 계속되는 충・방전 과정에서 리튬 금속표면에 덴드라이트 현상으로 인해 전지가 단락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됐다.
흑연화 공정을 거친 인조 흑연의 장점은 무엇인가? 천연 흑연은 가격이 저렴하며 높은 저장용량을 자랑하지만 구조상 가장자리 면이 노출되면서 전해질의 침투나 분해반응으로 인한 구조의 붕괴로 비가역 반응이 크게 나타난다는 단점이 있다[9,10]. 이에 반해 고온에서 흑연화 공정을 거쳐 만든 인조 흑연은 천연 흑연보다 구조가 안정적이며 결정구조의 변화가 작아 상대적으로 수명이 길다[11,12]. 하지만 현재 석유계 부산물을 주된 원료 공급재로 활용하고 있어 환경적으로 문제가 되며 고온에서 복잡한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천연 흑연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도 안고 있어 이를 해결할 방안이 필요하다[11-14].
덴드라이트 현상의 해결책은 무엇이었는가? 리튬 이차전지의 4대 요소 중 하나인 음극재를 개발하기 위해 초기에는 리튬 금속이 사용됐는데, 리튬 금속은 높은 용량을 재현할 수 있으나 계속되는 충・방전 과정에서 리튬 금속표면에 덴드라이트 현상으로 인해 전지가 단락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탄소재료를 음극활물질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탄소재료 내부로 리튬이온이 삽입될 수 있으며 탄소재료의 반응전위가 리튬 금속에 매우 가까울 뿐 아니라, 반복되는 충・방전 과정에서 결정구조 변화가 작아 안정한 상태에서 지속적인 산화환원 반응이 가능하여 탄소재료가 지배적인 음극활물질로 자리매김 하였다[3-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im, C. M., Kim, S. K., Chang, H. K., Kil, D. S., and Jang, H. D., "Synthesis of Si-CNT-C Composites and Their Application to Lithium Ion Battery," Korean Chem. Eng. Res., 56(1), 42-48 (2018). 

  2. Scrosati, B., and Garche, J., "Lithium Batteries: Status, Prospects and Future," J. Power Sources, 195, 2419-2430 (2010). 

  3. Scrosati, B., "History of Lithium Batteries," J. Solid State Electrochem., 15, 1623-1630 (2011). 

  4. Courtel, M. F., Niketic, S., Duguay, D., Abu-Lebdeh, Y., and Davidson, J. I., "Water-Soluble Binders for MCMB Carbon An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196, 2128-2134 (2011). 

  5. Kaskhedikar, N. A., and Maier, J., "Lithium Storage in Carbon Nanostructures," Adv. Mater., 21, 2664-2680 (2009). 

  6. Brandt, K., "Historical Development of Secondary Lithium Batteries," Solid State Ionics, 69, 173-183 (1994). 

  7. Wu, Y. P., Rahm, E., and Holze, R., "Carbon An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114, 228-236 (2003). 

  8. Robertsa, A. D., Li, X., and Zhang, H., "Porous Carbon Spheres and Monoliths: Morphology Controlling, Pore Size Tuning and Their Applications as Li-Ion Battery Anode Materials," Chem. Soc. Rev., 43, 4341-4356 (2014). 

  9. Fu, L. J., Endo, K., Sekine, K., Takamura, T., Wu, Y. P., and Wu, H. Q., "Studies on Capacity Fading Mechanism of Graphite Anode for Li-Ion Battery," J. Power Sources, 162, 663-666 (2006). 

  10. Wu, Y., Jiang, C., Wan, C., and Tsuchida, E., "Effects of Catalytic Oxidation on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Common Natural Graphite as an An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Electrochem. Commun., 2, 272-275 (2000). 

  11. Wissler, M., "Graphite and Carbon Powders for Electrochemical Applications," J. Power Sources, 156, 142-150 (2006). 

  12. Fan, C.-L., and Chen, H., "Preparation, Structure,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Anodes from Artificial Graphite Scrap for Lithium Ion Batteries," J. Mater. Sci., 46, 2140-2147 (2011). 

  13. Ma, C., Zhao, Y., Li, J., Song, Y., Shi, J., Guo, Q., and Liu, L.,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Artificial Graphite as an Anode for High-Performance Lithium-Ion Batteries," Carbon, 64, 537-556 (2013). 

  14. Kim, J. G., Kim, J. H., Song, B.-J., Lee, C. W., and Im, J. S., "Synthesis and Its Characterization of Pitch from Pyrolyzed Fuel Oil (PFO)," J. Ind. Eng. Chem., 36(25), 293-297 (2016). 

  15. Thompson, E., Danks, A. E., Bourgeois, L., and Schnepp, Z., "Iron-Catalyzed Graphitization of Biomass," Green Chem., 17, 551-556 (2015). 

  16. Sevilla, M., and Fuertes, A. B., "Catalytic Graphitiation of Templated Mesoporous Carbons," Carbon, 44(3), 468-474 (2006). 

  17. Cho, E., Kim, S., Chae, H. J., Kim, D. C., and In, M.-J., "Storage-Life Extension of Maengjong-Juk (Phyllostachys pubescens) Sap Using Heat Treatments," J. Appl. Biol. Chem., 56(2), 79-81 (2013). 

  18. Demir, M., Kahveci, Z., Aksoy, B., Palapati, N. K. R., Subramanian, A., Cullinan, H. T., El-Kaderi, H. M., Harris, C. T., and Gupta, R. B., "Graphitic Biocarbon from Metal-Catalyzed Hydrothermal Carbonization of Lignin," Ind. Eng. Chem. Res., 54(43), 10731-10739 (2015). 

  19. Jerng, S. K., Yu, D. S., Lee, J. H., Kim, C., Yoon, S., and Chun, S.-H., "Graphitic Carbon Growth on Crystalline and Amorphous Oxide Substrates Using Molecular Beam Epitaxy," Nanoscale Res. Lett., 6(1), 565 (2011). 

  20. Lotfabad, E. M., Ding, J., Cui, K., Kohandehghan, A., Kalisvaart, W. P., Hazelton, M., and Mitlin, D., "High-Density Sodium and Lithium Ion Battery Anodes from Banana Peels", ACS Nano, 8, 7115-7129 (2014). 

  21. Xu, K., Li, Y., Xiong, J., Ou, X., Su, W., Zhong, G., and Yang, C., "Activated Amorphous Carbon With High-Porosity Derived From Camellia Pollen Grains as Anode Materials for Lithium/Sodium Ion Batteries," Front Chem., 6, 366 (2018). 

  22. Wang, H., Yu, W., Mao, N., Shi, J., and Liu, W., "Effect of Surface Modification on High-Surface-Area Carbon Nanosheets Anode in Sodium Ion Battery," Micropor. Mesopor. Mater., 227, 1-8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