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측망 밀도 변화가 기상변수의 공간분포에 미치는 영향: 2019 강원영동 입체적 공동관측 캠페인
Effects of Observation Network Density Change on Spatial Distribution of Meteorological Variables: Three-Dimensional Meteorological Observation Project in the Yeongdong Region in 2019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30 no.2, 2020년, pp.169 - 181  

김해민 (국립기상과학원 재해기상연구부) ,  정종혁 (국립기상과학원 재해기상연구부) ,  김현욱 (국립기상과학원 재해기상연구부) ,  박창근 (국립기상과학원 인공지능예보연구팀) ,  김백조 (국립기상과학원 재해기상연구부) ,  김승범 (국립기상과학원 재해기상연구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onducted a study on the impact of observation station density; this was done in order to enable the accurate estimation of spatial meteorological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operate an efficient observation network by examining distributions of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복잡한 산악지형에서 기상현상의 공간분포 특성에 대해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고밀도의 관측망이 요구되나 경제성을 고려할 경우 관측망 밀도의 상향에도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관측망 밀도의 상향에 따른 공간 재현 성능을 비교해 기상 현상분포를 잘 표현하며 경제성있는 관측망 밀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 우리나라는 지형이 복잡하고 몬순의 영향을 받아 기상요소의 공간 변동성이 커서 지상기상변수의 공간 분포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국지 기상현상의 수평분포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는 관측망 밀도 적정성을 검토하였고 나아가 효율적인 관측망의 운용에 도움을 주고자 특이지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캠페인 대상영 역인 영동지역의 지상 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생산한 격자자료를 통해 적정 관측소 밀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네트워크에 대한 평가를 통해 관측망의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운용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이 논문의 2장에서는 2019년 강원영동 입체적 공동관측 캠페인에 대하여 설명하고, 사례 선정, 그리고 분석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그러나 최근 2019 강원 영동지역 공동관측 캠페인의 수행으로 관측 밀도가 증가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캠페인 대상영 역인 영동지역의 지상 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생산한 격자자료를 통해 적정 관측소 밀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네트워크에 대한 평가를 통해 관측망의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운용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주변의 내삽값으로 추정하기 어려워 관측이 필요한 특이지점으로 선정된 지점과 같이 적재적 소에서 관측하고,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와 같이 특이 지점 구분을 통해 효과적인 관측망의 운용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악 지역과 평지 지역에서 기상특성은 무엇인가? Won (2015)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기상현상은 산악 지역과 평지 지역에서 다른 특성을 보이는데 강수량은 산악지역이 2배 더 많았으며 풍속은 산악지역에서 3배 더 강하게 부는 것을 밝혔다. 우리나라는 산지의 면적 비율이 크고 특히, 강원도의 경우 중간 산야지대(500~1,000 m)가 43.
기상청의 관측망의 설치 형태는 어떠한가? 이런 큰 공간 변동성으로 인해 지상기상변수의 공간분포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 기상청의 관측망은 평균거리 12km 정도이며, 기상관측장비들이 대부분 인구가 밀집된 도시를 중심으로 설치되어 있다(Yoon et al., 2016).
상기상변수의 공간분포를 파악하는데 어려운 이유는? 우리나라는 지형이 복잡하고 몬순의 영향을 받아 기상요소의 시·공간적 변동성이 크게 나타난다(Hong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ung, K.-B., J.-Y. Kim, and T.-Y. Kwon, 2004: Characteristics of lower-tropospheric wind related with winter precipitation in the Yeongdong region. J. Korean Meteor. Soc., 40, 369-3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Goovaerts, P., 1997: Geostatistics for natural resources evalu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483 pp. 

  3. Hwang, S. H., and D. H. Ham, 2013: Study on the optimal grid-size and station-density for water resources applications. J. Korean Soc. Hazard Mitig., 13, 137-1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ong, K.-O., M.-S. Suh, D.-K. Rha, D.-H. Chang, C. Kim, and M.-K. Kim, 2007: Estimation of high resolution gridded temperature using GIS and PRISM. Atmosphere, 17, 255-2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Isaaks, E. H., and R. M. Srivastava, 1989: An introduction to applied geostat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561 pp. 

  6. Jang, H., N. Kang, H. Noh, D. R. Lee, C. Choi, and H. S. Kim, 2015: Applicability of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for the estimation of rainfall field. J. Wetlands Res., 17, 370-379, doi:10.17663/JWR.2015.17.4.3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Jiang, Y., Y. Luo, Z. Zhao, and S. Tao, 2010: Changes in wind speed over China during 1956-2004. Theor. Appl. Climatol., 99, 421-430, doi:10.1007/s00704-009-0152-7. 

  8. Kang, M., M.-S. Park, J.-H. Chae, J.-S. Min, B. Y. Chung, and S. E. Han, 2019: Effects of network density on gridded horizontal distribution of meteorological variabl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tmosphere, 29, 183-196, doi:10.14191/Atmos.2019.29.2.1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H.-U., J.-H. Jeong, J.-K. Shim, and B.-C. Choi, 2018: Tendency analysis of heavy snowfall damage in Korea. Proc. 2018 Annual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74 (in Korean). 

  10. Kim, S. B., H. J. Shin, R. Ha, and S. J. Kim, 2012: Spatiotemporal analysis of snowfall for 5 heavy snowfall areas in South Korea. J. Korean Soc. Civil Engineers, 32, 103-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S., W. T. Oh, and S. Lee, 2013: Analysis on the density of the weather station over South Korea.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7, 47-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J. G., 1999: Synoptic structure causing the difference in observed snowfall amount at Taegwallyong and Kangnung: Case study. J. Korean Meteor. Soc., 35, 319-3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K.-W., 2001: Analysis of hydrological surface characteristics using ArcView/spatial analyst GIS extension. J. Korean Earth Sci. Soc., 22, 491-4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S., I. Heo, K. Lee, and W.-T. Kwon, 2005: Classification of local climatic regions in Korea. J. Korean Meteor. Soc., 41, 983-9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Oliver, M. A., and R. Webster, 1990: Kriging: a method of interpolation for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Int. J. Geogr. Inf. Syst., 4, 313-332. 

  16. Peterson, E. W., and J. P. Hennessey, 1978: On the use of power laws for estimates of wind power potential. J. Appl. Meteor. Climatol., 17, 390-394. 

  17. Pryor, S. C., J. T. Schoof, and R. J. Barthelmie, 2005: Empirical downscaling of wind speed probability distributions. J. Geophys. Res. Atmos., 110, D19109. 

  18. Sinnott, R. W., 1984: Virtues of the haversine. Sky Telesc., 68, 159. 

  19. Tak, H.-M., S.-H. Kim, and I. Son, 2013: A study on distributions and spatial properties of geomorphological mountain area. J. Korean Geograph. Soc., 48, 1-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Wan, H., X. L. Wang, and V. R. Swail, 2010: Homogenization and trend analysis of Canadian near-surface wind speeds. J. Climate, 23, 1209-1225, doi:10.1175/2009JCLI3200.1. 

  21. Weisser, D., and T. J. Foxon, 2003: Implications of seasonal and diurnal variations of wind velocity for power output estimation of a turbine: a case study of Grenada. Int. J. Energy Res., 27, 1165-1179. 

  22. Won, M. S., 2015: Automatic mountain meteorology observation system and strategies of activating information sharing. Proc. Symposium on Sharing Mountain Weather Information, Seoul,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3-19. 

  23. Yoon, S., M. Won, and K. Jang, 2016: A study on optimal site selection for automatic mountain meteorology observation system (AMOS): The Case of Honam and Jeju Area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8, 208-2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Yoon, S.-S., B. Lee, and Y. Choi, 2015: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using high density rain gauge network in Seoul area. Atmosphere, 25, 283-294, doi:10.14191/Atmos.2015.25.2.2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