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양만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의 서식처 이동에 의한 먹이원 변동 파악을 위한 안정동위원소 분석기법 적용
Isotopic Evidence for Ontogenetic Shift in Food Resource Utilization during the Migration of the Slipmouth Leiognathus nuchalis in Gwangyang Bay,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32 no.2, 2020년, pp.84 - 90  

최보형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조현빈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박기연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곽인실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섬진강 하구와 광양만에 서식하는 주둥치의 서식처 및 섭식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둥치의 탄소안정동위원소비(δ13C) 값은 염분이 30 psu보다 낮은 섬진강 하구에서 채집된 개체에서 광양만에 비해 낮은 값이 나타났으며, 이는 섬진강 하구에서 채집된 주둥치가 해당 정점에서 섭식활동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채집된 주둥치의 질소안정동위원소비 (δ15N) 값은 정점 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이들이 각 서식처에서 유사한 영양위치를 점유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주둥치는 만 전체에 널리 분포하고 있어 광염성 어류의 특성을 잘 대변하는 것을 보였는데, 상대적으로 소형개체들이 하구역에서 채집되는 반면 대형 개체들이 광양만에 분포하여 크기에 따른 서식처 분리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둥치의 δ13C 값의 서식처 간 차이와 δ15N 값의 일관성은 섬진강 하구에서 유어기에 주로 동물플랑크톤을 섭이하는 반면, 광양만에서 성어기에 저서무척추동물을 섭이하는 육식성 섭식 특성과 함께 이동 중 서식환경에 따른 먹이자원의 이용에서의 변이를 잘 나타내어 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또한 광염성 어류의 서식처 특성과 먹이 이용 패턴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에 안정동위원소 분석기법의 유용성을 잘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carbon and nitrogen isotope ratios (δ13C and δ15N) of the slipmouth Leiognathus nuchalis to reveal the effects of body size, feeding strategy and spatial distribution on the food resource utilization during the migration in the Seomjin estuary and Gwangyang Bay. The &#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섬진강 하구를 포함한 광양만에서 채집된 주둥치의 서식처별 먹이원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넓은 염분 분포에서 이동하는 주둥치의 서식처 간 먹이원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주연성 및 회유성 어류의 먹이원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aputi, S.S., G. Careddu. E. Calizza, F. Fiorentino, D. Maccapan, L. Rossi and M.L. Costantini. 2020. Changing isotopic food webs of two economically important fish in Mediterranean coastal lakes with different trophic status. Appl. Sci., 12: 2756. https://doi.org/10.3390/app10082756. 

  2. Cha, S.S. and K.J. Park. 2001. Food organisms and feeding selectivity of postlarvae of slimy (Leiognathus nuchalis) in Kwangyang Bay, Korea. J. Korean Fish. Soc., 34: 666-671. 

  3. Choi, B. and K.H. Shin. 2018. Applications and prospects of stable isotope in aquatic ecology and environmental study. Korean J. Ecol. Environ., 51: 96-104. https://doi.org/10.11614/KSL.2018.51.1.096. 

  4. Choi, B., S.Y. Ha, J.S. Lee, Y. Chikaraishi, N. Ohkouchi and K.H. Shin. 2017. Trophic interaction among organisms in a seagrass meadow ecosystem as revearled by bulk ${\delta}^{13}C$ and amino acid ${\delta}^{15}N$ analyses. Limnol. Oceanogr., 62: 1426-1435. https://doi.org/10.1002/lno.10508. 

  5. Herzka, S.Z. 2005. Assessing connectivity of estuarine fishes based on stable isotope ratio analysis. Estuar. Coast. Shelf Sci., 64: 58-69. https://doi.org/10.1016/j.ecss.2005.02.006. 

  6. Huh, S.H. and S.N. Kwak. 1997. Feeding habits of Leiognathus nuchalis in eelgrass(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Korean J. Ichthyol., 9: 221-227. 

  7. Jeong, J.M., J.M. Park, S.H. Huh, H.J. Kim and G.W. Baeck. 2015. Diet composition of spot nape ponyfish, Leiognathus nuchalis in the coastal waters of Gadeok-do. Korean J. Ichthyol., 27: 33-38. 

  8. Jones, J.I. and S. Waldron. 2003. Combined stable isotope and gut contents analysis of food webs in plant-dominated, shallow lakes. Freshw. Biol., 48: 1396-1407. https://doi.org/10.1046/j.1365-2427.2003.01095.x. 

  9. Kang, S., B. Choi, Y. Han and K.H. Shin. 2016. Ecological importance of benthic microalgae in the intertidal mud flat of Yeongheung Island; Application of stable isotope analysis (SIA). Korean J. Ecol. Environ., 49: 80-88. https://doi.org/10.11614/KSL.2016.49.2.080. 

  10. Kang, S., J.H. Kim, J.S. Ryu and K.H. Shin. 2020. Dual carbon isotope ( ${\delta}^{13}C$ and ${\Delta}^{14}C$ ) characterization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 in the Geum and Seomjin estuaries, South Korea. Mar. Pollut. Bull., 150: 110719.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19.110719. 

  11. Kim, D.K., H. Jo, I. Han and I.S. Kwaw. 2019. Explicit characterization of spatial heterogeneity based on water quality, sediment contamination, and ichthyofauna in a riverine-to-coastal zone. https://doi.org/10.3390/ijerph16030409. 

  12. Kim, H., S. Kumar and K.H. Shin. 2015. Applicability of stable C and N isotope analysis in inferring the geographical origin and authentication of commercial fish (Mackerel, Yellow Croaker and Pollock). Food Chem., 172: 523-527. https://doi.org/10.1016/j.foodchem.2014.09.058. 

  13. Kwak, S.N., S.H. Huh and H.W. Kim. 2012. Change in fish assemblage inhabiting around Dae Island in Gwangyang Bay, Korea. J. Korean Soc. Mar. Environ. Saf., 18: 175-184. https://doi.org/10.7837/kosomes.2012.18.3.175. 

  14. Lugendo, B.R., I. Nagelkerken, G. Vander Velde and Y.D. Mgaya. 2006. The importance of mangroves, mud and sand flats, and seagrass beds as feeding areas for juvenile fishes in Chwaka Bay, Zanzibar: gut content and stable isotope analyses. J. Fish. Biol., 69: 1639-1661. https://doi.org/10.1111/j.1095-8649.2006.01231.x. 

  15. Meng, J., Z. Yu, Q. Yao, T.S. Bianchi, A. Paytan, B. Zhao, H. Pan and P. Yao. 2015. Distribution, mixing behavior, and transformation of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and suspended particulate phosphorus along a salinity gradient in the Changjiang Estuary. Mar. Chem., 168: 124-134. https://doi.org/10.1016/j.marchem.2014.09.016. 

  16. Suzuki, K.W., A. Kasai, T. Isoda, K. Nakayama and M. Tanaka. 2008. Distinctive stable isotope ratios in important zooplankton species in relation to estuarine salinity gradients: Potential tracer of fish migration. Estuar. Coast. Shelf Sci., 78: 541-550. https://doi.org/10.1016/j.ecss.2008.01.014. 

  17. Vander zanden, M.J. and J.B. Rasmussen. 1999. Primary consumer ${\delta}^{13}C$ and ${\delta}^{15}N$ and the trophic position of aquatic consumers. Ecology, 80: 1395-1404. 

  18. Yoon, J.D., J.H. Kim, S.H. Park, E. Kim and M.H. Jang. 2017. Impact of estuary barrage construction on fish assemblages in the lower part of a river and the role of fishways as a passage. Ocean Sci. J., 52: 147-164. https://doi.org/10.1007/s12601-017-001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