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공간내삽법을 활용한 PM2.5 분포 특성 분석 - 창원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PM2.5 Distribution Contribution using GIS Spatial Interpolation - Focused on Changwon-si Urban Area -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3 no.2, 2020년, pp.1 - 20  

문한솔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송봉근 (창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원) ,  서경호 (경상남도교육청) ,  김태형 (창원대학교 토목환경화공융합공학부) ,  박경훈 (창원대학교 토목환경화공융합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창원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PM2.5의 시·공간적인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 토지이용특성과의 비교를 통해 PM2.5 발생 요인을 파악하여 저감 방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초 자료로 창원시 내 유치원, 초등학교와 일부 중·고등학교에 측정지점을 두고 있는 Airpro 자료의 2017년 9월부터 2018년 8월까지의 매 1시간 평균값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GIS의 공간내삽법IDW 기법을 활용하여 월별, 시간대별 분포 지도를 구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시·공간적인 PM2.5 분포 특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Airpro 자료의 정확성을 검증하고자 환경부에서 관리하는 AirKorea 자료와의 상관성을 확인하였고, 분석 결과 R2이 0.75~0.86으로 매우 높은 상관성이 나타나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월별 분석에서는 1월이 연중 가장 높았고, 8월이 가장 낮았다. 시간대별 분석 결과 출근시간인 06-09시가 가장 높았고 활동시간인 09-18시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행정구역별로는 상남동, 합포동, 명곡동이 PM2.5 심각 지역으로, 회성동이 가장 낮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행정구역별 토지이용 특성을 분석한 결과 PM2.5 심각 지역 내에 교통지역과 상업지역의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창원시의 PM2.5 분포 특성을 파악할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심각 지역 및 저감 방안수립 방향은 기존보다 더욱 효과적인 정책 마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and temporal PM2.5 in urban areas of Changwon-si, and to identify the causes of PM2.5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d-use,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reduction measures. As the basic data, the every ho...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행정구역별 시간대별 농도분포에 대해 파악하였다. 출근시간인 06~09시에는 가음정동, 합포동, 상남동이 높고 반월동, 중앙동(2), 문화동이 낮으며 퇴근시간인 18~21시에는 합포동, 상남동, 석전동이 높고 반월동, 중앙동(2), 문화동이 낮았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많은 측정지점과 장기적으로 측정된 자료를 활용하여 PM2.5의 시·공간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경상남도 창원시에 설치된 PM2.5 간이측정기인 Airpro 자료를 활용하여 GIS 공간내삽법을 통해 월별, 시간대별 PM2.5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 5가 인접해있는 주거지역으로 확대 피해가 우려된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가진 창원시 도시지역은 본 연구의 대상지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 5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유형별로 PM2.5의 발생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행정구역별 토지이용현황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1년간의 창원시 PM2.5 농도 분포 패턴을 분석하였고, 그 현황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역들을 도출하였고, 창원시 PM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pline이란 무엇인가? 하지만 IDW와는 다르게 단순거리에 관한 함수를 이용하지 않고 측정된 값들 간의 공간적 구조와 공간상관에 근거하는 방법이다(Kim and Jo, 2012). Spline는 관측된 지점의 값을 통과하는 표면 곡률의 총합이 최소가 되게 표면을 형성하여 미관측지점의 값을 예측하는 기법이다(Kim et al., 2014).
Kriging이 IDW와 구별되는 특징은 무엇인가? Kriging은 측정값들간의 자기상관을 포함하는 통계적 모델에 근거하고, IDW와 같이 보간하고자 하는 점 주위의 측정값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예측한다. 하지만 IDW와는 다르게 단순거리에 관한 함수를 이용하지 않고 측정된 값들 간의 공간적 구조와 공간상관에 근거하는 방법이다(Kim and Jo, 2012). Spline는 관측된 지점의 값을 통과하는 표면 곡률의 총합이 최소가 되게 표면을 형성하여 미관측지점의 값을 예측하는 기법이다(Kim et al.
대표적인 공간내삽법에는 어떤 방법들이 있는가? 5 농도의 시·공간적인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공간내삽법은 가지고 있는 특정 지점의 관측값을 이용하여 미관측지점의 값을 예측하는 기법이며, 대표적인 방법으로 IDW, Kriging, Spline이 있다. IDW는 공간적으로 인접한 지점 사이의 값은 공통된 위치요인으로 인하여 유사성을 가지고, 두 지점간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유사성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는 가정에 기초한다(Cho and Jeong, 2006;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ir Visual. 2019. 2018 World air quality report; region & city PM2.5 Ranking. pp. 1-21. 

  2. Brauer, M., C. Lencar, L. Tamburic, M. Koehoorn, P. Demers and C. Karr. 2008. A cohort study of traffic related air pollution impacts on birth outcome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6(5):680-686. 

  3. Chen, W., H. Tang and H. Zhao. 2015. Diurnal, weekly and monthly spatial variations of air pollutants and air quality of Beijing. Atmospheric Environment 119(2015):21-34. 

  4. Cho, H.L. and J.C. Jeong. 2006. A study on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oastal water quality using GIS.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4(2):223-234 

  5. Cho, H.L. and J.C. Jeong. 2009. The distribution analysis of PM10 in Seoul using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8(1):31-39 

  6. Cho, S.H., H.W. Kim, Y.J. Han and W.J. Kim. 2016.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s measured in two different functional areas and identification of factors enhancing their concentra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2(1):100-113 

  7. Crilley, L. R., M. Shaw, R. Pound, L.J. Kramer, R. Price, S. Young, A.C. Lewis and F.D. Pope. 2018 Evaluation of a low-cost optical particle counter (Alphasense OPC-N2) for ambient air monitoring. Atmospheric Measurement Techniques 11:709-720. 

  8. Do, H.S., S.J. Choi, M.S. Park, J.K. Lim, J.D. Kwon, E.K. Kim and H.B. Song. 2014.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ncentration of ambient PM-10 and PM-2.5 in Daegu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6(1):20-28 

  9. Dongnam Regional Statistics Office. 2018. Analysis of Air Environment in Gyeongsangnam-do, 2017 [Fine Dust]. http://kostat.go.kr/regional/dn/dn_ntc/1/1/index.board?bmoderead&bSeq&aSeq371231&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rch&sTargettitle&sTxt%EB%AF%B8%EC%84%B8%EB%A8%BC%EC%A7%80. (Accessed october 26, 2018). 

  10. Han, C.W., S.T. Kim, Y.H. Lim, H.J. Bae and Y.C. Hong. 2018. Spatial and temporal trends of number of deaths attributable to ambient PM2.5 in the Korea. The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33(30):e193. 

  11. Harrison, R.M., D. Laxen, S. Moorcroft and K. Laxen. 2012. Processes affecting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 in the UK atmosphere. Atmosphere Environment 46:115-124. 

  12. Hwang, K.I., B.H. Han, J.I. Kwark and S.C. Park. 2018. A study on decreasing effects of ultra-fine particles(PM2.5) by structures in a roadside buffer green -a buffer freen in Songpa-gu,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4):61-75 

  13. Hwang, S.Y., J.Y. Moon and J.J. Kim. 2019.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fine dust and traffic in Seoul using R.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9(4):139-149 

  14. Jeon, B.I. 2010. Characteristics of spaciotemporal variation for PM10 and PM2.5 concentration in Busan.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9(8):1013-1023 

  15. Jeong, J.C. 2014. A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and time series change of PM10 in Seoul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1):61-69 

  16. Jeong, J.C. and S.H. Lee. 2018. Spatial distribution of particulate matters in comparison with land-use and traffic volume in Seoul,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on 48(1):123-138 

  17. Jha, D.K., M. Sabasan, A. Das, N.V. Vinithkumar and R. Kirubagaran. 2011. Evaluation of interpolation technique for air quality parameters in Port Blair, India. Univers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Technology 1(3):301-310. 

  18. Kang, H.C. 2019. An analysis of the causes of fine dust in Korea considering spatial correlation.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28(3):327-354 

  19. Kim, H.J. and W.K. Jo. 2012. Assessment of PM-10 Monitoring stations in Daegu using gis interpo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0(2):3-13 

  20. Kim, J.H., J.H. Choi, and C.S. Kim. 2010. Comparative evaluation of interpolation accuracy for CO2 emission using GI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9(6):647-656 

  21. Kim, Y.S., K.M. Sim, M.P. Jung and I.T. Choi. 2014. Accuracy comparison of air temperature estimation using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according to application of temperature lapse rate effect.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5(4):323-329 

  22. Lee, J.J. 2019. Research for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the fine particulate matter in the region of Gyeonggi Province. Master Thesis of Ajou University. 1-47pp 

  23. Lee, T.S., B.G. Song, C.B. Han and K.H. Park. 2011. Analysis of the GIS-based water cycle system for effective rainwater management of Gyeongsangnam-do.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2):82-95 

  24. Leem, J.H., B.M. Kaplan, Y.K. Shim, H.R. Pohl, C.A. Gotway, S.M. Bullard, J.F. Rogers, M.M. Smith and C.A. Tylenda. 2006. Exposures to air pollutants during pregnancy and preterm delivery.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4(6):905-910. 

  25. Ministry of Environment AirKorea. 2020. https://www.airkorea.or.kr/web/pastSearch?pMENU_NO123. (Accessed February 3, 2020). 

  26. Park, A.K., J.B. Heo and H. Kim. 2011. Analyses of factors that affect PM10 level of Seoul focusing on meteorological factors and long range transferred carbon monooxide. Korean Association for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7(2):59-68 

  27. Park, C.S. 2017. Variations of PM10 concentration in Seoul during 2015 and relationships to weather condition. The Association of Korean Photo-Geographers 27(2):47-64 

  28. Park, J.C. and M.K. Kim. 2013, Comparison of precipitation distributions in precipitation data sets representing 1km spatial resolution over South Korea produced by PRISM, IDW, and Cokrig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3):147-163 

  29. Park, S.A. and Shin, H.J. 2017.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PM2.5 in Korea : focusing on seasonal factors.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25(1):227-248 

  30. Park, S.H. and Ko, D.W. 2018.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built environment on PM2.5 and PM10: a case study of Seoul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Sustainability 10(12):4552. 

  31. Rattigan, O.V., H.D. Felton, M.S. Bae, J.J. Schwab and K.L. Demerjian. 2010. Multi-year hourly PM2.5 carbon measurements in New York: Diurnal, day of week and seasonal patterns. Atmosphere Environment 44:2043-2053. 

  32. Song, B.K. and K.H. Park. 2013. Air ventilation evaluation at nighttime for the construction of wind corridor in urb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2): 16-29 

  33. Yeo, M.J. and Y.P. Kim. 2019. Trend of the PM10 concentrations and high PM10 concentration ca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5(2):249-2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