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한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유형화와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Types and Affecting Factors of Older People'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Latent Class Analysi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1 no.2, 2020년, pp.212 - 221  

장선희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염동문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e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QoL) based on the EuroQoL 5 Dimensions among community older people and predict the factors affecting these types.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16 Korea Health Panel Survey, whose participants included 3,8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인 건강 취약 집단인 노인들을 대상으로 건강 관련 삶의 질이 어떠한 하위 유형으로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선행연구를 토대로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요인으로 확인된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행태, 건강상태, 심리적 변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각 잠재계층 유형을 구분 짓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동일특성을 가진 하나의 모집단이 아니라 여러 계층의 이질적인 집단으로 규명된다면, 노인의 건강한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적절한 실천방향을 제시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2016년 한국의료패널 조사자료를 토대로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잠재유형을 구분하고, 도출된 유형별 특성을 근거로 계층을 명명하며, 선행연구에서 영향요인으로 확인된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상태, 건강행태, 심리적 변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어떤 요인이 각 잠재유형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유형을 탐색하고, 잠재계층에 나타난 집단별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분석 프로그램은 Mplus 8.
  • 이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최근 관상동맥질환을 진단받은 대상자의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4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유형별 특성에 맞는 중재방안이 모색되고 있다[7].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전반적인 건강 관련 삶의 질(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유럽 국가들의 조직인 Euroqol group이 1990년에 개발한 건강 관련 삶의 질(EuroQol-5dimensions, EQ-5D)를 사용하여 노인의 잠재계층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16년 한국의료패널 조사 자료를 토대로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잠재계층별 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한 후 예측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잠재계층별 중재를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에게 있어 삶의 질 개선이 다각도로 요청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삶의 질은 개인이 신체적, 심리적, 영적 및 사회경제적 영역에서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감으로 정의되며[4], 주관적 안녕(well-being), 복지, 만족감 및 행복감 등이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5]. 노인에게 있어 삶의 질 개선이 다각도로 요청되는 이유는 2008년에서 2017년까지 지속적인 인구 집단별 삶의 만족도 조사에서 노인집단이 가장 낮았고, 50세 이상 인구를 기준으로 OECD 국가별 비교에서도 하위권에 속해 있으며, 노인자살률 1위는 우리나라 노인의 삶의 단면을 잘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인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각적인 면에서 요인을 확인하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실무적, 정책적 방안이 요청되고 있다.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된 선행연구가 가지는 한계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개별 변수 중심으로 접근하여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 건강 관련 삶의 질의 분포를 하나의 변인으로 합산하거나 개별적 하위행위로 살펴봄으로써 건강 관련 삶의 질의 다차원적인 상호 관련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건강 관련 삶의 질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국내에서도 건강 관련 삶의 질 패턴을 찾기 위한 시도들이 일부 수행되어왔고, 유형화 연구를 통해 건강증진 개입 및 정책 수립에 주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가 확장되고 있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연구에서 미비점은 무엇인가? 이에 건강 관련 삶의 질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국내에서도 건강 관련 삶의 질 패턴을 찾기 위한 시도들이 일부 수행되어왔고, 유형화 연구를 통해 건강증진 개입 및 정책 수립에 주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가 확장되고 있다. 하지만,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한 기존 유형화 연구의 대부분은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노년기를 대상으로 한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유형화 연구는 충분히 축적되지 않았다. 더욱이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실천적인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노년기 이질적 속성의 다차원적인 유형 구분이 필요함에도 선행연구에서는 이를 반영하기에 방법론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JI.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3;24(1):99-109.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1.99 

  2. Statistics Korea.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9 March 28]. Available from: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PA003&vw_cdMT_ZTITLE&list_idA41_10&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3.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Household poverty is deepening, and the reason is aging and the elderly poverty rate [Internet]. Seoul: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019 [cited 2019 February 13]. Available from:http://www.keri.org/web/www/news_02?p_p_idEXT_BBS&p_p_lifecycle0&p_p_statenormal&p_p_modeview&p_p_col_idcolumn-1&p_p_col_count1&_EXT_BBS_struts_action%2Fext%2Fbbs%2Fview_message&_EXT_BBS_sCategory&_EXT_BBS_sKeyType&_EXT_BBS_sKeyword&_EXT_BBS_curPage1&_EXT_BBS_optKeyType1&_EXT_BBS_optKeyType2&_EXT_BBS_optKeyword1&_EXT_BBS_optKeyword2&_EXT_BBS_sLayoutId0&_EXT_BBS_messageId355432 

  4. Ro YJ, Kim CG. Comparisons of physical fitness, self efficacy,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between institutionalized and noninstitutionalized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5;25(2):259-278. 

  5. Evans RW, Manninen DL, Garrison LP Jr, Hart LG, Blagg CR, Gutman RA, et al.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85;312 (9):553-559. https://doi.org/10.1056/NEJM198502283120905 

  6. Goodman LA. Exploratory latent structure analysis using both identifiable and unidentifiable models. Biometrika. 1974;61(2):215-231. https://doi.org/10.2307/2334349 

  7. Ju ES, Choi JS. Identifying latent classes of risk factors for coronary artery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47(6):817-827. https://doi.org/10.4040/jkan.2017.47.6.817 

  8. Kin TH. Validity and reliability evaluation for EQ-5D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dissertation]. [Ulsan]: University of Ulsan; 2012. 69 p. 

  9. Kim KS. Effects of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their families: Using data from the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7;28(1):78-87. https://doi.org/10.12799/jkachn.2017.28.1.78 

  10. Shin SI, Kim YH. A meta-analysis on related variables of elders'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3;14(6):3673-3690. https://doi.org/10.15703/kjc.14.6.201312.3673 

  11. Kang SY, Park IH. Construction of a model of quality of life in longevity region dwelling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3;24(3):302-313.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3.302 

  12. Kim YB, Lee SH. Effects of the elderly's health statuses, health behavior, and social relations on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cusing on family typ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8;29(3):310-321. https://doi.org/10.12799/jkachn.2018.29.3.310 

  13. Hyun HJ, Chang AK, Yu SJ, Park YH. Comparison of comprehensive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institutionalized older adults and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2;23(1):40-50. https://doi.org/10.12799/jkachn.2012.23.1.40 

  14. Kim SY, Kim MI, Chang SJ, Moon KJ. Identification and prediction of pattern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the elderl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7;37(2):251-286. https://doi.org/10.15709/hswr.2017.37.2.251 

  15. Park MJ. Effect of latent class typologies of social activities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Comparison between poverty and non-poverty group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Institute. 2017;72(2):191-214. 

  16. Jung BD. A study on the latent class analysis of types of elderly people's leisure activitie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017;33(4):163-180. https://doi.org/10.18859/ssrr.2017.11.33.4.163 

  17. EuroQoL Group. A new facility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Policy. 1990;16(3):199-208. https://doi.org/10.1016/0168-8510(90)90421-9 

  18. Iwamoto DK, Corbin W, Fromme K. Trajectory classes of heavy episodic drinking among Asian American college students. Society for the Study of Addiction. 2010;105(11):1912-1920. https://doi.org/10.1111/j.1360-0443.2010.03019.x 

  19. Christian G. Data analysis with Mplus. 1st ed. Kim JS, Han JN, translator.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2012. 

  20. Jung T, Wickrama KAS. An introduction to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2008;2(1):302-307. https://doi.org/10.1111/j.1751-9004.2007.00054.x 

  21. Hill KG, White HR, Chung IJ, Hawkins JD, Catalano RF. Early adult outcomes of adolescent binge drinking: person and variable centered analyses of binge drinking trajectories.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2000;24(6):892-901. 

  22. Park MJ, Choi SE. The effects of health behavior and health status on hea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people: Gender analysis by using the 2012 Korea health panel dat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7;28(2):118-128. https://doi.org/10.12799/jkachn.2017.28.2.118 

  23. Cho YS, Yeum DM. Latent class analysis f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middle-aged male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8;49(1):104-112. https://doi.org/10.4040/jkan.2019.49.1.104 

  24. Shin SJ. Pattern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risks among Korean adults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194 p. 

  25. Joe SY, Lee IS, Park BH.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young adults and elderly with multimorbiditiy:A secondary analysis of the 2013 Korea health panel dat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6;27(4):358-369.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4.358 

  26. Kim HG, Lee HJ, Park SM.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10;30(2):279-292. 

  27. Park YR, Son YJ.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across the lifespa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16(3):353-361. 

  28. Sul MS, Choi HJ. A study on policies to promote aging society and the elderly health.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16;25(1):99-108. 

  29. Sun WD. Policy issues in elderly health and long-term care policy.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6;239:34-4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