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간호사의 직업존중감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Job-Esteem Scale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50 no.3, 2020년, pp.444 - 458  

최현주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  정귀임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Job Esteem Scale for Korean Nurses (JES-KN) and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Preliminary items were based on the attributes and indicators elicited from a concept analysis study on Korean nurses' job-esteem. The final preliminar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한국 간호사의 직업존중감 측정 도구의 활용으로 한국의 문화적 속성과 시대 상의 변화에 따른 간호사의 직업존중감을 확인해 볼 것을 제안한다. 현재 우리나라 병원간호사의 직업과 관련한 자아인식 정도가 어떠한지, 타 직업과는 차별화되는 간호직 특유의 직업적 유능감과 역할의 전문성을 체감하는지,간호사 스스로가 평가하는 간호직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인식과 조직 내에서의 인정과 대우는 어느 수준인지, 간호직의 현재 위치와 미래 전망은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인식하는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그에 따른 차별화 되고 현실적인 간호 인적자원관리 전략과 전술을 계획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국내 병원간호사의 직업존중감 측정을 위한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도구를 개발하여 간호사의 직업 태도에 대한 사정과 중재 및 평가에 활용함으로써 간호연구와 간호실무에 기여하고자하였다. 개발된 도구(JES-KN)는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고 임상 현장의 현실을 반영한 도구로서, 직업존중감 관련 유사 개념을 포괄하면서도 한국 간호사만의 직업적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는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한국 간호사의 직업 존중감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간호사의 직업 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간호사의 직도를 검정한다.
  • 따라서 간호사 스스로의 직업적 인식과 자존감 개선을 위해 간호사 직업존중감의 속성과 정의를 규명하고 새로운 한국형 간호사 직업존중감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은 간호학문적으로 큰 의의가 있으며, 간호실무 영역에서도 우리나라의 의료 현실과 병원간호사의 고유한 직업특성을 반영한 측정 도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현재 근무하고 있는 국내의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직업 존중감의 구성요인을 반영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표준화된 한국 간호사 직업존중감 측정도구(Job-Esteem Scale for Korean Nurses [JES-KN])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한국 간호사 직업존중감 측정도구(JES-KN)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되고 임상 현장의 현실을 반영한 도구로서 병원간호사의 직업존중감 정도를 사정하고 평가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업존중감란 무엇을 말하는가? 본인의 직업에 대한 신념과 가치평가의 한 개념으로 직업 존중감 (Job-esteem)을 들 수 있으며, 직업존중감은 조직에 대한 개인적 평가나 태도 연구 중에서도 직무태도의 한 유형으로 간주할 수 있는 비교적 새로운 개념이다. 직업존중감이란 개인이 자신의 직업에 대 해 믿고 있는 존경과 권위의 수준, 직업과 관련된 신념과 가치[1], 자기의 현재 혹은 장래의 직업에 대하여 나름대로 부여하는 가치 평가 또는 기대의 정도[2]를 말하며, 낮은 직업존중감이 형성되는 경우, 직무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이직과 경력단절로 이어질 수 있다[3].
간호학문적으로 큰 의의가 있으며, 간호사 스스로의 직업적 인식과 자존감 개선을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따라서 간호사 스스로의 직업적 인식과 자존감 개선을 위해 간호사 직업 존중감의 속성과 정의를 규명하고 새로운 한국형 간호사 직업 존중감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은 간호학문적으로 큰 의의가 있으며, 간호실무 영역에서도 우리나라의 의료 현실과 병원간호사의 고 유한 직업특성을 반영한 측정 도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근무하고 있는 국내의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직업 존중감의 구성요인을 반영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표준화된 한 국 간호사 직업 존중감 측정도구(Job-Esteem Scale for Korean Nurses [JES-KN])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간호사의 인력 수급 불균형을 위해 어떤 대안을 내세우고 있는가? 이를 위해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 등 이 동반되어야 하지만, 의료기관의 규모나 지역 별로 외적 환경의 편차가 심하며, 보건의료체계 전반의 시스템 개선 없이 단 시간에 변화하기가 힘든 실정이다[6]. 외적 시스템을 당장 바꾸기 힘들다면 간호 직에 대한 인식 개선이라는 내적 변화부터 접근하는 방법이 있는데 [6], 간호사 스스로가 간호 직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를 알게 하고 직 업적 자부심을 갖게 하여, 직무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하는 방안을 도모하는 것이다[5]. 간호사는 국가 공인 면허증이 있는 대표적인 여성 전문 직종에 속 함에도 불구하고, 이직이 빈번하고 경력단절이 가장 극심한 직업군으로 분류[4]되고 있어, 간호사 직업의 유지는 간호사 개인의 문제만이 아닌, 우수한 간호 인력을 확보하여 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병원 조직과, 인력 수급 불균형이라는 사회문제적인 측면에서 함께 풀어야 할 과제가 되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iller DG. Effect of value-based training on job-esteem and hospitality values of front-line hotel employees [dissertation]. Salt Lake City (UT): University of Utah; 1999. p. 1-136. 

  2. Ko DW, Chun BG. The concept and measurement scale of job-esteem: The case of undergraduates majoring tourism studie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003;26(3):279-297. 

  3. Waryszak R, King B. Managerial attitudes towards work activities in the hospitality and service indus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2001;13(4):197-203. https://doi.org/10.1108/09596110110389566 

  4. Korean Nurses Association.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survey of nurses with disconnected career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reemployment support project. Seoul: Ewha Womans Universty; 2014. p. 1-248. 

  5. Kang JS. A qualitative research on turnover experience among hospital nurse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7;7(4):751-768. https://doi.org/10.35873/ajmahs.2017.7.4.071 

  6. Choi HJ, Jung KI. Concept analysis of hospital nurses' job-estee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9;25(4):302-316. https://doi.org/10.11111/jkana.2019.25.4.302 

  7. Kim S, Park S, Kwon D. Images of nurse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and nurses: A Q-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9;17(4):167-176. https://doi.org/10.14400/JDC.2019.17.4.167 

  8. Miller DG, Madsen SR. Job-esteem: Definition and instrument development. In: Lynham SA, Egan TM, Inbakumar V, editors. Proceedings of AHRD 2003 Conference; 2003 Feb 26-Mar 2; Minneapolis, MN. Bowling Green (OH):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c2003. p. 475-482. 

  9. You JA. The effects of the flight attendants' job-esteem on their prosocial service behavior: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job fit [dissertation]. Seoul: Sejong University; 2017. p. 1-139. 

  10. Yeun EJ, Kwon YM, Ahn OH.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6):1091-1100. https://doi.org/10.4040/jkan.2005.35.6.1091 

  11. Kelly B. The professional self-concepts of nursing undergraduates and their perceptions of influential forc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1992;31(3):121-125. 

  12. Park JH. A comparative study between job esteem and emotional labor of female flight attendants.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014;26(9):103-119. 

  13. Locke EA.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Dunnette MD, editor.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IL): Rand McNally College Pub. Co.; 1976. p. 1297-1350. 

  14. De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4th ed. Los Angeles (CA): Sage Publications Inc.; 2017. p. 73-114. 

  15. Schuman H, Presser S. Questions and answers in attitude surveys: Experiments on question form, wording, and context. Orlando (FL): Academic Press; 1981. p. 351-362. 

  16. Lee EO, Im NY, Park HA, Lee IS, Kim JI, Bae JY,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4th ed. Paju: Soomoonsa; 2009. p. 572-578. 

  17. Polit DF, Beck CT. Nursing research: Generating and assessing evidence for nursing practice. 8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Wolters Kluwer; 2008. p. 458-486. 

  18. Cho MS, Cho YA, Kim KH, Kwon IG, Kim MS, Lee JL. Development of clinical ladder system model for nurses: For tertiary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21(3):277-292. https://doi.org/10.22650/JKCNR.2015.21.3.277 

  19. Hospital Nurses Association. A survey on hospital nursing staffing (2017). Business report for Hospital Nurses Association.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8. p. 90. 

  20. Song JJ. SPSS/AMOS statistical analysis method. 2nd ed. Paju: 21Century; 2015. p. 61-99. 

  21. Woo JP.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MOS 4.0-20.0. Seoul: Hannarae; 2012. p. 150-176. 

  22. Lee BS, Eo YS, Lee MA. Development of Job satisfaction scale for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8;48(1):12-25. https://doi.org/10.4040/jkan.2018.48.1.12 

  23. Park YJ, Yoon JH. The effect of manager's leadership styles on the job esteem,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Comparison between listed and unlisted travel agencies.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2013;22(3):265-282. 

  24. Kim SR, Cho HY.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job-esteem on job satisfaction. Journal of Tourism & Leisure Research. 2012;24(3):361-380. 

  25. Rosenberg M, Schooler C, Schoenbach C, Rosenberg F. Global self-esteem and specific self-esteem: Different concepts, different outcom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995;60(1):141-156. https://doi.org/10.2307/2096350 

  26. Kim JH, Chun BG. Undergraduates' occupation-appraisal: Focus on tourism industry.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007;22(3):105-123. 

  27. Choi W.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hotel's internal customer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ffecting job esteem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hotel classification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5. p. 1-78. 

  28. Choi HJ, Jung KI. A concept analysis of job-esteem of nursing students. Crisisonomy. 2018;14(5):105-118. https://doi.org/10.14251/crisisonomy.2018.14.5.105 

  29. Arthur D.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2;17(6):712-719.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2.tb01969.x 

  30. Ko MS, Min S, Yeom YH, Yoon SH, Lee MA, Lee YJ, et al. Introduction to nursing. 4th ed. Paju: Soomoonsa; 2017. p. 68-75. 

  31. Ko DW, Xu MY, Moon SJ. Influences of job-estee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rvice orientation of hotel employees in China.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015;30(4):93-115. 

  32. Lee MA, Kang S, Hyun HS. Relationship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9;25(4):317-328. https://doi.org/10.11111/jkana.2019.25.4.3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