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노인 합창단원의 합창단 유형에 따른 청지각적 음성평가(GRBAS) 및 음성관련 삶의 질(K-VRQOL) 비교
A comparison of the perceptual-auditory voice quality evaluation (GRBAS) and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K-VRQOL) according to choir type of elderly women choir member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2 no.2, 2020년, pp.51 - 61  

이현정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치료학과) ,  강빈나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치료학과) ,  김수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음성의 청지각적 평가도구(GRBAS)와 음성관련 삶의 질(K-VRQOL) 척도를 통해 합창활동에 참여하는 여성 노인의 음성 특성과 음성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부산 소재의 합창단에서 활동 중인 만 60세 이상의 여성 노인으로 총 77명이었다. 합창단은 참여 유형에 따라 합창단(Regular choir)과 찬양단(Church choir) 두 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청지각적 음성평가는 /a/ 모음을 발성하는 음성을 듣고 전문가가 청지각적 평가(GRBAS) 척도를 사용하여 평정하였다. 연구 결과, 합창활동 참여 유형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비교했을 때 찬양단에서 활동하는 여성 노인에 비해 합창단에서 활동하는 여성 노인의 경우 주관적 음성 인식 수준에서 대화 시 음성 사용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성관련 삶의 질(K-VRQOL) 척도의 신체 기능 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합창활동이 노년기 음성기능의 개선뿐 아니라 음성사용의 주관적 인식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노인 음성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음악 중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voice characteristics and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K-VRQOL) of the elderly female choir members using perceptual-auditory voice quality evaluation (GRBAS) and K-VRQOL scales. The participants were 77 women over 60 years old who were actively engaged i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성별,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와 같은 개인 특성과 합창단 참여 기간, 빈도, 공연 및 대회 참여 정도와 같은 합창활동 경험의 수준, 과거 합창 활동 경험과 주관적 음석인식, 음성관련 삶의 질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합창 경험 수준에 따른 음성특성 및 음성 관련 삶의 질 수준 차이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속력(engagement) 수준에서 노년기 합창 유형을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하였다.
  • 본 연구는 합창활동에 참여하는 여성 노인의 음성 특성 및 음성관련 삶의 질을 알아보고, 이를 합창활동 참여 유형에 따라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합창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여성 합창단원을 대상으로 합창 경험과 관련한 설문조사와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음성인식, K-VRQOL, GRBAS를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는 합창활동에 참여하는 여성 노인의 음성 특성 및 음성관련 삶의 질을 알아보고, 이를 합창활동 참여 유형에 따라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합창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여성 합창단원을 대상으로 합창 경험과 관련한 설문조사와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음성인식, K-VRQOL, GRBAS를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77명 노인의 개인적 특성을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알아보았고, 합창관련 변인 및 응답자의 주관적 평가 변인(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음성인식, K-VRQOL), 언어치료사가 평가한 GRBAS를 통해 합창활동 참여 유형에 따라 합창단과 찬양단으로 분류하여 t 검정을 실시하고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성별,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와 같은 개인 특성과 합창단 참여 기간, 빈도, 공연 및 대회 참여 정도와 같은 합창활동 경험의 수준, 과거 합창 활동 경험과 주관적 음석인식, 음성관련 삶의 질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합창 경험 수준에 따른 음성특성 및 음성 관련 삶의 질 수준 차이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합창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 노인의 그룹별 합창단 특성 및 개별 합창 경력을 살펴본 결과, 합창단원이 찬양단원에 비해 합창활동 참여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계적이며 공식적으로 운영되는 단체 활동으로써 합창단에 소속되어 성공적으로 경연 또는 공연에 참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창 활동에 참여할 때 활동 참여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노년기 여가활동으로써 성취감 또는 긍정적인 성공경험을 통해 활동 참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노래 부르기 그룹 음악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성 음성의 정의는 무엇인가? 노인성 음성이란 노화로 인해 전반적인 신체기능이 저하되면서 호흡 관련 기관 근육이 약화되어 나타나는 음성산출과 관련된 기능적 변화를 뜻한다(Kendall, 2007). 인간의 목소리는 약 65세 이후에 정상적인 생리적 노화와 관련된 변화를 겪는다(Tay et al.
70대에 기본주파수가 급격히 낮아지면서 음성의 변화가 발생하는 원인은? , 2015), 20대, 50대와 비교하여 70대에 기본주파수가 급격히 낮아지면서 음성의 변화가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다(Lee, 2006). 이는 폐경기 이후 내분비계의 변화로 인해 성대 비대 증상이 나타나고 성대조직이 두꺼워지는 등 성대의 두께 및 질량의 증가로 인해 음고가 낮아지기 때문이다(Boone et al., 2010).
고령자의 음악활동 참여의 장점은? 고령자의 음악활동 참여는 퇴직이나 사별, 거주지 이동 등의 경험으로 고립된 사회적 관계를 다시 이어주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Park & Youn, 2019). 선행연구에 따르면 노인을 대상으로 한 노래 부르기 활동은 음성 개선 및심리·정서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Han, 2017; Kim, 2018; Lee,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Bailey, B. A., & Davidson, J. W. (2003). Amateur group singing as a therapeutic instrument.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12(1), 18-32. 

  2. Bartolome, S. J. (2012). It’s like a whole bunch of me!: The perceived values and benefits of the Seattle girls’ choir experience.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60(4), 395-418. 

  3. Boone, D. R., McFarlance, S. C., Von Berg, S. L., & Zraick, R. I. (2010). The voice and voice therapy (8th ed). Boston, MA: Allyn & Bacon. 

  4. Cassol, M., & Bos, A. J. G. (2014). Vocal and depressive benefits of choral singing. PAJAR - Pan American Journal of Aging Research, 2(2), 40-43. 

  5. Chang, P. J., Wray, L., & Lin, Y. (2014). Social relationships, leisure activity, and health in older adults. Health Psychology, 33(6), 516-523. 

  6. Choi, J. S. (2019).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vocal cords for aging choir members (Master's thesis). Gwangju University, Gwangju, Korea. 

  7. Chong, H. J., Kim, J. H., & Kim, S. J. (2014). The concept of arts-character education in arts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5(1), 53-72. 

  8. Chung, Y. M. (2016). Effects of choral singing on improvement of vocal function and satisfaction among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9. D'haeseleer, E., Claeys, S., Bettens, K., Leemans, L., Van Calster, AS., Van Damme, N., Thijs, Z., … Van Lierde, K. (2017). The impact of a teaching or singing career on the female vocal quality at the mean age of 67 years: A pilot study. Journal of Voice, 31(4), 516.e19-516.e26. 

  10. Elefant, C., Baker, F. A., Lotan, M., Lagessen, S. K., & Skeie, G. O. (2012).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on mood, speech, and singing in individuals with Parkinson's disease-a feasibility study. Journal of Music Therapy, 49(3), 278-302. 

  11. Etter, N. M., Hapner, E. R., Barkmeier-Kraemer, J. M., Gartner-Schmidt, J. L., Dressler, E. V., & Stemple, J. C. (2019). Aging voice index (AVI):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voice quality of life scale for older adults. Journal of Voice, 33(5), 807e7-807e12. 

  12. Gregory, N. D., Chandran, S., Lurie, D., & Sataloff, R. T. (2012). Voice disorders in the elderly. Journal of Voice, 26(2), 254-258. 

  13. Gu, M. K., & Sok, S. R. (2018). Influenc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between genders among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44(11), 51-58. 

  14. Hamdan, A. L., Sataloff, R. T., & Hawksaw, M. J. (2019). Impact of aging on the voice. Laryngeal Manifestations of Systemic Diseases (pp. 49-52). San Diego, CA: Plural. 

  15. Han, E. Y. (2015). Use of the structured singing activities to improve of the vocal quality and alleviate of the depression symptoms for cl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Case studie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6. Han, S. J.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ived benefits from singing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aged over 75 years.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4(1), 63-84. 

  17. Hirano, M. (1981). Clinical examination of voice (pp. 81-84). New York, NY: Springer Verlag. 

  18. Hong, H. J., & Kim, S. J. (2016). Vocal range of older adults in comparison with young adult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pitch cu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4), 377-386. 

  19. Johnson, J. K., Stewart, A. L., Acree, M., Napoles, A. M., Flatt, J. D., Max, W. B., & Gregorich, S. E. (2018). A community choir intervention to promote well-being among diverse older adults: Result from the community of voice trial.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75(3), 549-559. 

  20. Jun, H. U., & Kim, S. J. (2011). Effects of respiration and oral motor training based on musical elements and singing on voice of healthy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0), 380-387. 

  21. Kang, H. N., Kim, S. H., Yoo, J. Y. Kan, H., Ki, S., & Yoo, J. (2018). Voice hygiene habi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Voice- Related Quality of Life (K-VRQOL) among classical singer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0(3), 49-59. 

  22. Kendall, K. (2007). Presbyphonia: A review. Current Opinion in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15(1), 137-140. 

  23. Kim, E. H. (2019). Mixed study on the effects of intramural chorus competition on music attitude and flow experience of students in high school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4. Kim, J. H. (2019). Therapeutic rationale for music therapy interventions with older adults: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6(2), 53-77. 

  25. Kim, J. O., Lim, S. E., Park, S. Y., Choi, S. H., Choi, J. N., & Choi, H. S. (2007).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handicap index and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Speech Science, 14(3), 111-125. 

  26. Kim, S. J.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choral education on youth's emotion and character building (Master'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okpo, Korea. 

  27. Kim, S. T. (2010). The effects of voice therapy in age-related dysphonia.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2(2), 117-121. 

  28. Kim, S. Y. (2019). The pitch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during singing: Centered on Arirang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9. Kim, Y. J. (2018). Singing to alleviate of the depression symptoms in the oldest-old women living at home: Case studie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0.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lderly 2014. Sejong,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1. Lamont, A. (2012). Emotion, engagement and meaning in strong experiences of music performance. Psychology of Music, 40(5), 574-594. 

  32. Lamont, A., Murray, M., Hale, R., & Wright-Bevans, K. (2017). Singing in later life: The anatomy of a community choir. Psychology of Music, 46(3), 424-439. 

  33. Lee, E. A. (2014). The study on the actual utilization of music for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people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4. Lee, H. J. (2006). Age and sex difference in acoustic parameters of middle age and elderly adult voice (Master's thesis). Korea Nazarene University, Cheonan, Korea. 

  35. Lee, S. J., Cho, Y. H., Song, J. Y., Lee, D. H., Kim, Y. J., & Kim, H. H. (2015). Aging effect on Korean female voice: Acoustic and perceptual examinations of breathiness.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67(6), 300-307. 

  36. Lee, S. Y. (2010).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successful aging between women and men. Gender and Culture, 3(1), 99-130. 

  37. Lortie, C. L., Rivard, J., Thibeault, M., & Tremblay, P. (2017). The moderating effect of frequent singing on voice aging. Journal of Voice, 31(1), 112.e1-12. 

  38. Moon, S. Y., Park, J. W., & Yang, S. A. (2019). The effects of AOS (Alexander technique-oral motor and respiratory exercise-song psychotherapy) music intervention on the vocal hygien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4(3), 65-91. 

  39. Na, H. J. (2004). A study on the role of leisure of the elderly for upgrading of the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4(1), 53-70. 

  40. Park, S. Y., & Youn, G. H. (2019). A brief review of reminiscence Music Therapy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in old age.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28(2), 95-108. 

  41. Prakup, B. (2012). Acoustic measures of the voices of older singers and nonsingers. Journal of Voice, 26(3), 341-350. 

  42. Rosa, M., & Behlau, M. (2017). Mapping of vocal risk in amateur choir. Journal of Voice, 31(1), 118.e1-11. 

  43. Ruud, E. (1997). Music and the quality of life.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6(2), 86-97. 

  44. Sobolewska, A., Claros, P., Pujol, C., Claros-Pujol, A., & Claros, A. (2019). Aspects of ageing on professional opera singer's voice - preliminary findings. Otolaryngologia Polska, 73(4), 29-34. 

  45. Song, Y. K. (2012). Prevalence of voice disorder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voice handicap index in the elderly.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4(3), 151-159. 

  46. Song, Y. K., Jin, S. M., Sim, H. S., Kwon, K. H., Lee, K. C., & Lee, Y. B. (2000). The effect of voice disorders on quality of life (QOL) in the Korea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11(1), 51-63. 

  47. Tay, E. Y. L., Phyland, D. J., & Oates, J. (2012). The effect of vocal function exercises on the voices of aging community choral singers. Journal of Voice, 26(5), 672.e.19-672.e27. 

  48. Unwin, M. M., Kenny, D. T., & Davis, P. J. (2002). The effect of group singing on mood. Psychology of Music, 30(2), 175-185. 

  49. Verdonck-de Leeuw, I. M., & Mahiue, H. F. (2004). Vocal aging and the impact on daily life: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Voice, 18(2), 193-202. 

  50. Yang, H. J. (2019). The benefits of choir singing recognized by the middle-aged and older male choir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51. Yim, A. R., Kim, H. H., Kim, S. R., & Yoo, H. J. (2013). Review on age-related voice changes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7(1), 259-276. 

  52. Yoon, H. J. (2015). A systematic review of the research on older adults leisure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Tourism & Leisure Research, 27(7), 169-18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