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거이론접근법에 기반한 농식품분야 창업교육현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n the Phenomena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Food and Agriculture Sector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5 no.3, 2020년, pp.33 - 46  

설병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창업대학원 창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농식품분야 창업환경을 보면 국내외 시장상황과 소비자 트렌드의 변화가 심화되는 추세이다. 창업자는 농산물 재배, 가공과 판매, 농식품 제조 전 과정에 걸쳐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며, 높은 수준의 기업가정신이 절실한 상황이다. 창업자는 창업준비부터 매출확대까지 시장과 고객요구에 대응할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 교육을 통한 역량강화의 기회들이 필요하다. 이런 환경은 창업자의 교육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농식품분야에서 창업교육의 양적 증가현상도 보인다. 그러나 교육기회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한편으로 농업전문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온 전통적 농업교육에서의 창업교육은 생산중심의 기술교육에 치중되어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창업교육에서 기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농업창업인의 소득증대를 위해서는 고객관점의 상품개발과 판매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농창업인의 입장에서 농식품 창업교육 현상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여 이 분야에서 창업자가 필요로 하는 교육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농창업분야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교육수요자인 농창업자의 입장에서 분석한다. 분석은 농업기술원, 농업기술센터, 대학 등의 창업교육기관에서 농식품분야의 창업교육을 경험한 예비 및 기창업자를 대상으로 하며, 교육생의 교육동기, 교육내용, 강사, 교육방법, 사후관리 등의 현상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분석은 질적연구를 위하여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진행한다. 분석을 위한 개방코딩은 질적 데이터 분석툴인 QSR사(社)의 NVIVO 12 프로그램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농식품분야 창업교육의 중심현상으로 교육정보증가 현상, 초기관리역량교육, 사업화교육이 도출되었다. 농창업교육에서 교육정보 획득노력과 교육기관의 교육정보 제공노력이 증가하여 교육정보측면에서 개선현상이 보인다. 초기관리역량교육은 스마트워킹, 기본역량, 관련 제도 교육을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초기관리 관련 교육이 역량 강화로 연계되는 현상이 보인다. 이와 함께 사업화 성공에 필요한 실무 역량인 비즈니스모델, 고객, 재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생의 협업강화, 관계구축, 학습지향, 적극적 태도가 중심현상과 작용하여 매출증대, 경쟁력 강화 등의 교육성과로 이어진다고 교육생들이 인식하고 있다. 농창업자의 경쟁력 강화와 매출강화를 위하여 전문인력양성, 기업가정신 강화, 상품기획역량, 시장확대역량 분야의 교육 강화요구 현상이 분석에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식품분야 창업교육을 수요자 관점에서 분석하여 교육 설계에서 운영방식, 교육내용, 교육행정에 관한 개선 논의와 함께 농창업자의 생존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교육설계 과정에서 정책기관과 교육기관이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제시하며, 창업농을 위한 지원정책 시행과정에서 중요성 높아진 창업교육설계의 참고자료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henomena for agri-food entrepreneurs whose main business is the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sale of processed products, using the qualitative study Strauss & Corbin(1998)'s evidence theory approach. From the entrepreneur's point of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택코딩은 무엇인가? 선택코딩은 코딩의 마지막 단계로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모든 범주들이 통합되어 이론이 구축되는 과정이다. 이야기 윤곽을 통해 이론으로 형성될 핵심범주를 도출하고, 축코딩 단계에서 패러다임 모형을 형성하는 중심현상과 다른 범주들과의 관계 유형을 분석한다.
농식품분야 창업자들이 생각하는 농창 업자의 창업역량의 취약성은 분류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현상의 패러다임을 살펴보면, 농식품분야 창업자들은 농창 업자의 창업역량이 부족하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 이들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특성은 기업가정신의 취약과 창업자역량 취약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기업가정신과 관련해서 기업가라 생각하지 않는 농민, 막연한 기대, 승계농의 창업자정신 부재, 창업에 대한 두려움이 거론되고 있다.
농식품 창업교육에서 작용 및 상호 작용은 어떤 범주를 갖는가? 농식품 창업교육에서 작용/상호작용은 교육운영요인, 교육내 용요인, 교육행정요인이란 3개 범주를 가지고 있다. 교육운영 요인에서 교육생 규모, 교육생 분반, 교육시기, 교육기간, 교육시간이 하위범주를 이루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rmaz, K.(2006).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CA: Sage Publications. 

  2. Choung, J. M.(2010). An Analysis of Youth Fandom Based on the Ground Theory. Studied on Korean Youth, 21(3), 91-119. 

  3. Glaser, B. G.(1978). Theoretical Sensitivity: Advances in the methodology of Grounded Theory. Sociology Press. 

  4. Goulding, C.(2002).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d for Management, Business and Market Researchers. LD: Sage Publications. Inc. 

  5. Hong, H. S., & Seol, B. M.(2013).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Students' Business Incubation Club on Youth Start-up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8(2), 141-151. 

  6. Iiamhub(2017). Plans to Establish a Full-time Support System to Promote Venture Start-ups in the Agri-food Sector as a Means of Creating Jobs,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si. 

  7. Jung, T. W., & Jang, D. H.(2019).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of Farmers on Management Performance: Focusing on Small Scale Start-up Management. The Korean Journal of Cooperative Studies, 37(2), 1-15. 

  8. Kilpatrick, S., Johns S., Murray-Prior R., & Art D.(1999). Managing Farming: How Farmers learn. Rural Indust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9. Kim, J. M.(2006). Innovative Strategies on Farmer Education for the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38(3), 75-111. 

  10. Kim, J. M., Kim, J. K., Ma, S. J., Jeon, Y. W., Lee, J. H. and Ju H. M.(2007). An Analysis of Farmer Education Program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39(1), 99-116. 

  11. Kim, J. M., Oh, S. H., & Yang, J. K.(2007). A Study on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 Korea: Focusing on the Entrepreneurship Graduate School. Korean Small Business Institute, Seoul. 

  12. Kim, S. S., Ha, J. H., Jung, H. J., & Seo, S. T.(2017). Criteria for Determining Accounting Unit and Purchasing Price of Raw Materials in Sixth Industry Farms. The Korean Journal of Cooperative Studies, 35(1), 1-16. 

  13. Kim, Y. L., & Seol, B. M.(2018). Exploratory Study on the Phenomena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Food and Agriculture Sectors Focused on Educational Provider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3(5), 73-86. 

  14. Ma, S. J.(2006). who Participate in Farmer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Rural Economy, 29(3), 33-50. 

  15. Ma, S. J.(2014). Farmers' Education Participat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6(3), 83-106. 

  16. Ma, S. J., & Kim, Y. S.(2005). Improvement Plan of Education Program for Improved Professional Ability of Farmer.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Research Report, R506, Naju City. 

  17. Ma, S. J., & Choi, K. E.(2007). How to Enhance Farmers' and On-Farm Implementatio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Research Report, R544, Naju City. 

  18. Ma, S. J., & Choi, K. H.(2006). How to Improve Professionality of Farmer Education & Training Practitioner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olicy Research Report, P85, Naju City. 

  19. Ma, S. J., Jeong, E. M., & Kim, K. G.(2017). How to Advance a Young Beginning Farmers a Fostering System.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City. 

  20.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2013). The Plan for the Agricuture.Rural and the development of Food Industry. Retrieved (2019.5.15) from https://www.mafra.go.kr/bbs/mafra/71/303780/artclView. 

  21. Mok, Y. D., & Choi, M. G.(2012). A Study of the Entrepreneurship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o Systemiz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dergraduate School.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5(2), 833-857. 

  22. Na, S. I., Jyung, C. Y., Kim, J. M., Ahn, K. H., Kim, K. H., Chun, S. H., & Min, S. K.(2006).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Model for Farmer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38(3), 29-48. 

  23. Park. J. B., & Seol, B. M.(2015). Exploratory Study on the Phenomenon of Technology Transfer in Food and Agriculture Sector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Journal of the Korea Entrepreneurship Society, 10(4), 107-128. 

  24. Park, J. Y., Kim, Y. J., & Choi, J. Y.(2016). Plans to Promote the Start-up of Agri-food Venture Enterprises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Research Report, R779, Naju City. 

  25. Song, Y. S., & Hwang, D. Y.(2010).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Return-farm and Return-rural Education. The Society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Presentation Source, 95-121. 

  26. Statistics Korea(2020).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survey results in 2019. Retrieved (2020.6.9) from http://kostat.go.kr/assist/synap/preview/skin/doc.html?fnsynapview381656_1&rs/assist/synap/preview 

  27. Strauss, A., & Corbin, J.(1998).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CA: Sage Publications. Inc. 

  28. Wan, J., Liang, L., & Wan, D.(2013). Research on Risk Factors of ICT Commercialization with Grounded Theory. Journal of Computers, 8(9), 2356-2365. 

  29. Yang, J. I., Lee, J. H., & Hwang, D. Y.(2014). Empirical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6th Industrialization of Rural Agricultural Resources: Focus on the Field Experts and the Complementary Deman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3), 111-120. 

  30. You, M. B., & Shim, H. I.(2011).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facework and conduct that civil servants experience in organizational life: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5(1), 199-2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