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경기지역의 초등학생 대상 당 저감화에 관한 소비자 인식 및 관련 교육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consumer perception and related education effect on the reduction of sugar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3 no.3, 2020년, pp.303 - 318  

김기남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정숙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심지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정혜경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해랑 ((주)영양과미래) ,  장문정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당 관련 영양교육이 당 섭취에 관한 영양지식과 영양태도, 식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당 섭취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당 교육인지군과 비인지군으로 나누어 영양지식과 식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초등학생들의 당류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조사 대상자 중 당 교육을 받았다고 인지한 교육 인지군은 270명 (49.8%) 이었고, 비인지군은 302명 (50.2%) 이었다. 당 교육 인지 여부에 따른 이론적 지식 점수를 보면 교육 인지군 3.67점, 비인지군 3.55점으로 교육 인지군이 비인지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바른 행동에 대한 지식 점수는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류 섭취 관련식행동 점수, 음료 선택 및 간식 구매 빈도는 당 교육 인지 여부에 따른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영양표시에서 당류 함량을 확인하는 비율은 교육 인지군이 31.2%로 비인지군 15.4%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아이들이 즐겨 섭취하는 식품군별 섭취 빈도를 보면 교육 인지군이 비인지군에 비해 무가당 캔디나 젤리류, 생과일류의 섭취 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식품군별 당류 섭취량은 달지 않은 빵류, 흰 우유 및 생과일을 통한 당류 섭취량이 비인지군에 비해 교육 인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당 관련 지식 점수와 식행동 사이의 상관성을 보면 교육 인지군의 경우 식행동 점수, 아이스크림, 초콜릿, 탄산음료를 덜 먹으려는 행동과는 양의 상관성을, 방과 후 간식 구입 빈도, 평균 당류 섭취량과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비인지군의 경우 식행동 점수, 아이스크림, 빵을 먹을 때 잼을 덜 먹는 행동 및 과일 섭취 시 설탕을 덜 먹으려는 식행동과 양의 상관성을, 방과 후 간식구입 빈도 및 당류 섭취량과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비인지군에 비해 교육 인지군에 좀더 높은 상관계수 값을 보였다. 또한 하루 총 당류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교육 인지군에서만 영양(교)사의 교육 여부가 총 당류 섭취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당 교육을 인지한 대상자들이 비인지군에 비해 당류 함량이 낮은 식품을 섭취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영양교사의 교육 여부가 당류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므로 초등학생들의 당류 섭취량 감소를 위해서는 학교의 영양 전문가인 영양(교)사에 의해 지속적이고,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는 실천 중심의 영양교육이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당 관련 영양교육 자료의 개발 및 보급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related to sugar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nutritional knowledge,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knowledge, attitudes, and intake related to sugar was conducted on 572 students in grad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영양교육의 목적은 단순히 영양지식을 전달하기보다 실제 식생활에 적용하여 올바른 식행 동을 유도함으로써 바람직한 식습관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당류 관련 영양교육이 당류 섭취와 관련한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 하기 위하여 당류 섭취와 관련된 영양지식과 영양태도, 관련 식행동 및 당류 식품의 섭취 빈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Feig DI.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hypertension. Future Cardiol 2010; 6(6): 773-776. 

  2. Gross LS, Li L, Ford ES, Liu S. Increased consumption of refined carbohydrates and the epidemic of type 2 diabetes in the United States: an ecologic assessment. Am J Clin Nutr 2004; 79(5): 774-779. 

  3. Kosova EC, Auinger P, Bremer AA. The relationships between sugar-sweetened beverage intake and cardiometabolic markers in young children. J Acad Nutr Diet 2013; 113(2): 219-227. 

  4. Lee EJ, Hwang IK, Jin BH, Paik DI. Correlation between snack food intakes and dental carie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8; 24(2): 251-257. 

  5. Lee HS, Kwon SO, Yon M, Kim D, Lee JY, Nam J, et al. Dietary total sugar intake of Korean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J Nutr Health 2014; 47(4): 268-276. 

  6. Ha K, Chung S, Joung H, Song Y. Dietary sugar intake and dietary behaviors in Korea: a pooled study of 2,599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9-14 years. Nutr Res Pract 2016; 10(5): 537-545. 

  7. Ko YS, Kim EM, Lee HS. A study of dietary intake of total sugars by elementary students in Jeju province. J Nutr Health 2015; 48(1): 81-93. 

  8. Kim SY, Kim MH, Kang MH, Choi MK. Association of total sugars intake with nutrient density and obesity degre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nam.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7; 27(2): 176-184. 

  9. Ludwig DS, Peterson KE, Gortmaker SL. Relation between consumption of sugar-sweetened drinks and childhood obesity: a prospective, observational analysis. Lancet 2001; 357(9255): 505-508. 

  10. Millar L, Rowland B, Nichols M, Swinburn B, Bennett C, Skouteris H, et al. Relationship between raised BMI and sugar sweetened beverage and high fat food consumption among children. Obesity (Silver Spring) 2014; 22(5): E96-E103. 

  11. Hur YI, Park H, Kang JH, Lee HA, Song HJ, Lee HJ, et al. Associations between sugar intake from different food sources and adiposity or cardio-metabolic risk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the Korean Child- Adolescent Cohort Study. Nutrients 2015; 8(1): 20-37. 

  12. An M, An H, Hwang HJ, Kwon HJ, Ha M, Hong YC, et al. Dietary factors associated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school-aged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018; 23(5): 397-410.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R). The first comprehensive plan for the sugar reduction ('16-'20). Osong: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14.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Special act on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style [Internet]. Sejong: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20 [cited 2020 Jan 14].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EB%B2%95%EB%A0%B9/%EC%96%B4%EB%A6%B0%EC%9D%B4%EC%8B%9D%EC%83%9D%ED%99%9C%EC%95%88%EC%A0%84%EA%B4%80%EB%A6%AC%ED%8A%B9%EB%B3%84%EB%B2%95. 

  15. Kang MH, Lee JS, Kim HY, Kwon S, Choi YS, Chung HR, et al. Selecting items of a food behavior checklist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NQ) for children. Korean J Nutr 2012; 45(4): 372-389. 

  16.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R). Sugar database compilation for commonly consumed foods. Cheongju: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5. 

  17. Park DY. Theory and model applying for nutrition education. Korean J Community Nutr 1997; 2(1): 97-104. 

  18. Lee JW, Lee HS, Chang N, Kim JM.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knowledge scores and dietary behavior, dietary intakes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among prim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ing in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orean J Nutr 2009; 42(4): 338-349. 

  19. Lee O, Chang SO, Park MJ. Comparison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habi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nutrition educ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8; 37(11): 1427-1434. 

  20. Han HM, Lee SS.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for the elementary students: focused on sugar intake education. J Korean Pract Arts Educ 2008; 21(2): 111-131. 

  21. Yun JS, Lyu ES.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nutrition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41(9): 1259-1264. 

  22. Park HJ, Lee JS, Kim EK. Assessment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2010; 16(3): 226-238. 

  23. National Food Safety Information Service (NFIS). Current status of sugar reduction in major countries (focused on sugar tax). Food Safety Policy Research Report 2017-05. Seoul: National Food Safety Information Service; 2017.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uideline: sugars intake for adults and childre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25. Louie JC, Moshtaghian H, Boylan S, Flood VM, Rangan AM, Barclay AW, et al. A systematic methodology to estimate added sugar content of foods. Eur J Clin Nutr 2015; 69(2): 154-161. 

  26. Ford ES, Mokdad AH.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diabetes mellitus incidence among U.S. adults. Prev Med 2001; 32(1): 33-39. 

  27. Bazzano LA, He J, Ogden LG, Loria CM, Vupputuri S, Myers L, et al.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US adults: the first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Am J Clin Nutr 2002; 76(1): 93-99. 

  28. Bazzano LA, Li TY, Joshipura KJ, Hu FB. Intake of fruit, vegetables, and fruit juices and risk of diabetes in women. Diabetes Care 2008; 31(7): 1311-1317. 

  29. Auerbach BJ, Dibey S, Vallila-Buchman P, Kratz M, Krieger J. Review of 100% fruit juice and chronic health conditions: implications for sugar-sweetened beverage policy. Adv Nutr 2018; 9(2): 78-85. 

  30. Hwang O. The actual condition and needs on nutritional education among school nutrition teachers in Chonbuk province [master's thesis]. Jeonju: Jeonbuk National University; 2012. 

  31. Oh NG, Gwon SJ, Kim KW, Sohn CM, Park HR, Seo JS. Status and need asessment on nutrition & dietary life education among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2): 152-164. 

  32. Kim HS. A survey on nutrition education activities by nutrition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area [master's thesis]. Incheon: Inha University;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