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우울증 환자에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가 우울증상, 통증 그리고 신체증상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son of Effect of SSRIs and SNRIs on Depression, Pain and Somatic Symptoms in Elderly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8 no.1, 2020년, pp.72 - 80  

한은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강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통증 및 신체증상이 동반된 노인 우울증 환자에서 기분증상 및 통증, 신체 증상에 대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와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SNRI)의 치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 법 본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 시행된 전향적 개방연구로 DSM-5 진단기준에 의해 주요우울장애로 진단받은 총 43명의 대상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평균연령 : 72.53세, 여성 58.1%). 대상군은 SSRI, SNRI 두 군으로 분류되었고 우울, 통증 및 신체증상은 각각 한국판 해밀턴 우울증 평가척도(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K-HDRS), 시각적 비율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환자 건강 설문지(Patient Health Questionnare-15, PHQ-15)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이원배치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measure ANOVA)으로 약물 투여 전과 투여 후 6주의 KHDRS, VAS, PHQ-15 점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 과 SSRI군과 SNRI군에서 K-HDRS, VAS, PHQ-15 모두 약물 투약 전에 비해 6주 후의 점수가 유의하게 호전되었으며, 두 군 간에 호전 정도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노인 우울증 환자에서 SSRI, SNRI 모두 통증 및 신체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통증 및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노인 우울증 환자에게 약물치료를 시행할 때 선택할 수 있는 항우울제 처방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약물의 장기적인 효과에 대해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 and 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SNRI) for mood symptoms, pain, and somatic symptoms in elderly depression patients with pain and somatic symptoms. Methods : This study is a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통증 및 신체 증상이 동반된 노인 우울증 환자에서 통증과 신체증상에 대한 SSRI와 SNRI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SSRI, SNRI가 우울감은 물론 통증과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 SSRI 군과 SNRI군에서 K-HDRS, VAS, PHQ-15 모두 투여 전에 비해 6주 후의 측정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호전되었고, 두 군 간의 효과의 차이가 없음을 보였다.
  • 우울감, 통증, 그리고 신체 증상에 대한 SSRI군과 SNRI군의 약물의 효과를 확인하고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통해 두 군 사이에 성별 분포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고, 정규분포를 만족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를 통해 두 군에서 나이, 투여 전과 6주 후 K-HDRS, VAS, PHQ-9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을 시행하였다.
  • 또한 통증을 제외한 신체 증상에 대한 SNRI의 효과를 평가하거나, 통증과 기타 신체증상을 구분하여 두 약물의 효과를 비교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에 내원한 노인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통증 및 신체 증상과 기분증상에 대해 SSRI와 SNRI 약물 간의 치료 효과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에게서 가장 흔한 정신질환은 무엇인가? 1%(세계 2위)에 이를 전망이다.1) 노년기에는 질병이나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노인에게서 볼 수 있는 가장 흔한 정신질환은 우울증이다.2) 노인에서의 우울증은 정신건강 뿐만 아니라 신체 건강의 악화를 초래하며, 이환율과 사망률을 높이는 중요한 건강 문제이다.
노인 우울증 치료에는 일차적으로 어떤 약물이 선호되는가? 노인 우울증 치료에는 일차적으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가선호되고 있으며, SSRI 대신에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에 모두 작용하는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SNRI)도자주 사용되고 있다.15) 그 밖에 bupropion, mirtazapine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삼환계 항우울제(tricyclic antidepressants, TCA)를 고려하기도 한다.
국내 노인에서의 우울증환자 수는 어느 정도인가? 3) 미국의 경우 65세 이상 3,100만 명 중 약500만 명, 즉 1/6 정도가 임상적인 우울감을 느끼고 있고, 약 100만 명이 주요 우울장애를 경험하고 있다.4)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건강 보험공단의 자료 분석에 의하면 2007~2011년까지 인구 10만명당 우울증 진료 환자수가 연평균 60대에서 1.6% 증가하고 80대에서 7.8%로 증가하여, 40대의 3.1%와 20대의 1.2% 증가와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이로 인한 진료비 지급도 2007년에 비해 2011년에는 60대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Statistical Offic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Survey Sample Aggregation Results (Women, Children, Elderly People, etc.). Statistics Korea, 2015 

  2. Birrer RB, Vemuri SP. Depression in later life: a diagnostic and therapeutic challenge. Am Fam Physician 2004;69:2375-2382. 

  3. Cole MG, Dendukuri N. Risk factors for depression among elderly community subjec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 J Psychiatry 2003;160:1147-1156. 

  4. Boswell EB, Stoudemire A. Major Depression in the primary care setting. Am J Med 1996;101:3S-9S. 

  5. Health Insurance Policy Research Institut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NHIC];2013. 

  6. Hans PK. Somatic symptoms in depression. Dialogues Clin Neurosci 2006;8:227-239. 

  7. Schappert SM. National Ambulatory Medical Care Survey, 991 Summary, 1994. 

  8. Roh S, Park YC.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in Korea and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Korean J Biol Psychiatry 2006;13:226-233. 

  9. Kim Im. Elderly psychiatry. Edited by Min Sung-gil. The Latest Psychiatry 6th Edition. Seoul: Sculpture;2015. p.724-738. 

  10. Yun KW, Kim SI.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on the severity of 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in depressive wome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0;49:304-311. 

  11. Song JY, Park JC, Park JH, Oh DJ, Sohn HS, Chung KJ. Frequenc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in of the patients in psychiatric out-patient clinic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9;38:1402-1411. 

  12. Brodaty H, Harris L, Peters K, Wilhelm K, Hickie I, Boyce P, Mitchell P, Parker G, Eyers K. Prognosis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A comparison with younger patients. Br J Psychiatry 1993;163:589-596. 

  13. Gerber PD, Barrett JE, Barrett JA, Oxman TE, Manheimer E, Smith R, Whiting RD. The relationship of presenting physical complaints to depressive symptoms in primary care patients. J Gen Intern Med 1992;7:170-173. 

  14. Papakostas GI, Petersen T, Denninger J, Sonawalla SB, Mahal Y, Alpert JE, Nierenberg AA, Fava M. Somatic symptoms in treatment-resistant depression. Psychiatry Research 2003;118:39-45. 

  15. Alexopoulos GS. Pharmacotherapy for late-life depression. J Clin Psychiatry 2011;72:e04. 

  16. Solai LK, Mulsant BH, Pollock BG.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for late-life depression. Drugs & Aging 2001;18:355-368. 

  17. Cole MG, Elie LM, McCusker J, Bellavance F, Mansour A.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reatments for post-stroke depression in elderly inpatients: systematic review. J Geriatr Psychiatry Neurol 2001;14:37-41. 

  18. Cole MG.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reatments for depression in elderly medical inpatients: a systematic review. Int Psychogeriatr 2000;12:453-461. 

  19. Mulsant BH, Pollock BG, Nebes RD, Miller MD, Little JT, Stack J, Houck PR. A double-blind randomized comparison of nortriptyline and paroxetine in the treatment of late-life depression: 6-week outcome. J Clin Psychiatry 1999;60:16-20. 

  20. Bird H, Broggini M. Paroxetine versus amitriptyline for treatment of depression associated with rheumatoid arthritis: a randomized, double blind, parallel group study. J Rheumatol 2000;27:2791-2797. 

  21. Emslie G, Judge R. Tricyclic antidepressants and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use during pregnancy, in children/adolescents and in the elderly.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2000;101:26-34. 

  22. Arnold LM. Duloxetine and other antidepressants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fibromyalgia. Pain Medicine 2007;8:S63-S74. 

  23. Perahia DG, Pritchett YL, Desaiah D, Raskin J. Efficacy of duloxetine in painful symptoms: an analgesic or antidepressant effect? Int Clin Psychopharmacol 2006;21:311-317. 

  24. Pernia A, Mico J-A, Calderon E, Torres LM. Venlafaxine for the treatment of neuropathic pain. J Pain Symptom Manage 2000;19:408-410. 

  25. Max MB, Lynch SA, Muir J, Shoaf SE, Smoller B, Dubner R. Effects of desipramine, amitriptyline, and fluoxetine on pain in diabetic neuropathy. N Engl J Med 1992;326:1250-1256. 

  26. Moon DE. Consideration of antidepressants in patients with chronic pain. J Korean Pain Soc 2004;17:S54-S62. 

  27. Arnold LM, Hess EV, Hudson JI, Berno SE, Keck PE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flexible-dose study of fluoxetine in the treatment of women with fibromyalgia. Am J Med 2002;112:191-197. 

  28. Mallinckrodt CH, Prakash A, Houston JP, Swindle R, Detke MJ, Fava M. Differential antidepressant symptom efficacy: placebo-controlled comparisons of duloxetine and SSRIs (fluoxetine, paroxetine, escitalopram). Neuropsychobiology 2007;56:73-85. 

  29. Hamilton M. A rating scale for depression.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Res 1960;23:56. 

  30. Yi JS, Bae SO, Ahn YM, Park DB, Noh KS, Shin HK, Woo HW.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K-Hdr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44:456-465. 

  31. DeLoach LJ, Higgins MS, Caplan AB, Stiff JL. The visual analog scale i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intrasubject variability and correlation with a numeric scale. Anesthesia & Analgesia 1998;86:102-106. 

  32. Kroenke K, Spitzer RL, Williams JB. The Phq-15: validity of a new measure for evaluating the severity of somatic symptoms. J Psychosom 2002;64:258-266. 

  33. Han C, Pae CU, Patkar AA.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PHQ-15) for measuring the somatic symptoms of psychiatric outpatients. Psychosom 2009;50:580-585. 

  34. Berger A, Dukes E, Edelnerg J, Stacey B, Oster G. Use of tricyclic antidepressants in older patients with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Clin J Pain 2007;23:251-258. 

  35. Sindrup SH, Jensen TS. Pharmacologic treatment of pain in polyneuropathy. Neurology 2000;55:915-920. 

  36. Lee SS. Diagnosis and treatment of fibromyalgia syndrome. The Korean J Med 2013;84:650-658. 

  37. Hauser W, Thieme K, Turk DC.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fibromyalgia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Eur J Pain 2010;11;505-521. 

  38. Patkar AA, Masand PS, Krulewicz S, Mannelli P, Peindl K, Beebe K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controlled release paroxetine in fibromyalgia. Am J Med 2007;120:448-454. 

  39. Anderberg UM, Marteinsdottir I, von Knorring L. Citalopram in patients with fibromyalgia--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Eur J Pain 2000;4:27-35. 

  40. Otto M, Bach FW, Jensen TS, Brosen K, Sindrup SH. Escitalopram in painful polyneuropathy: a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cross-over trial. Pain 2008;139:275-83. 

  41. Watson CPN, Evans RJ. The postmastectomy pain syndrome and topical capsaicin: a randomized trial. Pain 1992;51:375-379. 

  42. Geisser ME, Roth RS, Robinson ME. Assessing depression among persons with chronic pain using the Center for Epidemiology Studies-Depression Scale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a compariative analysis. Clin J Pain 1997;13:163-170 

  43. Bair MJ, Robinson RL, Katon W, Kroenke K. Depression and pain comorbidity: a literature review.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3;163:2433-2445. 

  44. Melzack R. Gate control theory: on the evolution of pain concepts. Pain Forum 1996;5:128-138. 

  45. Melzack R. From the gate to the neuromatrix. Pain 1999;82:S121-S126. 

  46. Campbell LC, Clauw DJ, Keefe FJ. Persistent pain and depression: a biopsychosocial perspective. Biol Psychiatry 2003;54:399-409. 

  47. D'Sa C, Duman RS. Antidepressants and neuroplasticity. Bipolar Disord 2002;4:183-194. 

  48. Lee AL, Ogle WO, Sapolsky RM. Stress and depression: possible links to neuron death in the hippocampus. Bipolar Disord 2002;4:117-128. 

  49. Mitchell BM, Sue AL, Joanne M, Susan ES. Effects of desipramine, amitriptyline, and fluoxetine on pain in diabetic neuropathy. N Engl J Med 1992;326:1250-1256 

  50. Engel CC, Walker EA, Engel AL, Bullis J, Armstrong A. A randomized, double-blind crossover trial of sertraline in women with chronic pelvic pain. J Psychosom Res 1998;44:203-207. 

  51. Mico JA, Ardid D, Berrocoso E, Eschalier A. Antidepressants and pain. Trends Pharmacol Sci 2006;27:348-354. 

  52. Tylee A, Gaspar M, Lepine JP, Mendlewicz J. DEPRES II. Depression Research in European Society II: a patient survey of the symptoms, disability and current management of depression in the community. DEPRES Steering Committee. Int J Psychopharmacol 1999;14:139-151. 

  53. Simon GE, VonKorff M, Piccinelli M, Fullerton C, Ormel J. An international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somatic symptoms and depression. N Engl J Med 1999;341:1329-1335. 

  54. Denninger JW, Papakostas GI, Mahal Y, Merens W, Alpert JE, Nierenberg AA, Yeung A, Fava M. Somatic symptoms in out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treated with fluoxetine. Psychosom 2006;47:348-352. 

  55. Broekaert D, Gevers A, Janssens J. A double blind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crossover trial of citalopram, a selective 5-hydroxytryptamine reuptake inhibitor, in irritable bowel syndrome. Gastroenterology 2001;120:32-50. 

  56. Kroenke K, Messina 3rd N, Benattia I, Graepel J, Musgnung J. Venlafaxine extended release in the short-term treatment of depressed and anxious primary care patients with multisomatoform disorder. J Clin Psychiatry 2006;67:72-80. 

  57. Hojo M, Miwa H, Yokoyama T, Ohkusa T, Nagahara A, Kawabe M, Asaoka D, Izumi Y, Sato N. Treatment of functional dyspepsia with antianxiety or antidepressive agents: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5;40:1036-1042. 

  58. Wu CY, Chou LT, Chen HP, Chang CS, Wong PG, Chen GH. Effect of fluoxetine on symptoms and gastric dysrhythmia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Hepato-Gastroenterology 2003;50:278-283. 

  59. Herschbach P, Henrich G, von Rad M. Psychological factors in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characteristics of the disorder or of the illness behavior? Psychosom Med 1999;61:148-153. 

  60. Hegeman JM, de Waal MW, Comijs HC, Kok RM, van der Mast RC. Depression in later life: a more somatic presentation? J Affect Disord 2015;170:196-202. 

  61. Wang YW, Lee CU.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psychiatric disorders of the elderly. J Korean Med Assoc 2010;53:972-9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