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 영재들의 소집단 활동에서 의사소통 구조와 집단 내 지위에 따른 언어적 상호 작용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Verbal Interactions according to Communication Structures and Communication Status in Small Group Activity of Earth Science Gifted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1 no.3, 2020년, pp.307 - 319  

정덕호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이철민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박경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소집단 활동에서 의사소통 구조와 집단 내 지위에 따라 지구과학 영재들의 언어적 상호 작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구의 밀도를 측정하는 소집단 탐구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소집단 간의 의사소통 구조가 서로 다른 공유형 집단 4개, 독점형 집단 4개 등 8개 소집단을 선정하였다. 이후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개발하여 소집단 간의 특성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 구조에 관계없이 모든 소집단에서 학생들은 핑퐁(pingpong)형의 단순한 의사소통 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소집단의 의사소통 구조 및 집단 내 지위에 관계없이 모든 소집단에서 '제재', '지시', '불만', '자신감 부족'과 같은 부정적인 상호작용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셋째, 소집단 내의 방관자의 지위에 있는 학생들은 상대방에게 지시하는 행동, 상대방의 행동을 저지하는 행동, 그리고 구성원의 태도나 능력에 대한 불만 표현 등의 언어적 상호 작용을 주로 보이고 있었다. 그러므로 교사는 소집단 활동에서 학생들이 상위 수준의 언어적 상호 작용을 구사하도록 지도해야 하고, 부정적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학생들의 의사소통에 관여해야 한다. 또한 교사는 사전에 소집단 내 방관자의 지위에 있는 학생들에 대한 성취 수준을 확인하고 이들이 소집단 활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설계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verbal interactions of earth science gifted depending on their communications structures and group status in small group activities. To this end, a small group activit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density of the ear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소집단 활동이 몇몇의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집단 내 구성원들의 특성에 따라 의사소통 구조나 각 구성원들의 지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특성을 고려한 소집단 활동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성을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탐구를 위한 소집단 활동 과정에서 집단의 의사소통 구조 및 집단 내 지위에 따라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성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소집단 활동 과정에서 집단의 의사소통 구조와 집단 내 지위에 따라 언어적 상호 작용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소집단 활동에서 집단의 의사소통 구조 및 집단 내 지위에 따라 지구과학 영재들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J지역 소재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소속 지구과학 영재 76명들을 대상으로 임의로 16개의 소집단으로 편성한 후 과학탐구 활동을 실시하였다.
  •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핵심 역량으로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자신의 생각을 주장하고 다른 학생의 의견을 이해하고 조정하는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영재학생들의 소집단 활동에서 의사소통 구조와 집단 내 지위에 따른 언어적 상호 작용을 분석한 것으로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설계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시사점이 있다. 다만 본 연구가 영재학생들의 소집단 활동에서 의사소통 구조와 집단 내 지위를 바탕으로 언어적 상호 작용을 분석한 것으로, 문제해결능력 또는 의사소통 능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지는 못했다.

가설 설정

  • A: 이거는 색깔만 봐선 이거 같은데? (Msb)
  • C: 맨틀이 철이야? (Qb)
  • C: 아, 맨틀, 그럼 아예 맨틀 자체를 빼자고 그냥? (Qc)
  • D: 맨틀은 그거 같아. 그냥 액체로 보는 것 같아.
  • D: 일단 육에서 칠 하고, 쟤보고. (Msb)
  • D: 현무암이 구멍 뚫린거 아니야? (Msc)
  • E: 세 암석이 모두 정해졌네. (Roa)
  • E: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 했다. (Msa)
  • 둘째, 소집단 활동에서 집단 내 지위에 따른 언어적 상호 작용은 차이가 있는가?
  • 첫째, 소집단 활동에서 의사소통 구조에 따른 언어적 상호 작용은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지식의 특징은? 한편,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지식이란 사람들 간의 사회적 상호 작용, 특히 언어적 상호 작용을 통해 형성해 나간다(Vygotsky, 1978). 과학사적으로도 과학자 사이의 논쟁(argument)과 토론(discussion)을 통해 과학적 지식을 구성해 가는 사회적 활동이 중요하게 다뤄지듯이(Johnson et al.
소집단 활동의 긍정적 효과는? 특히, 과학 수업에 활용되는 소집단 활동은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가 꾸준히 논의되어 왔는데, 실제로 소집단 활동이 학생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공유할 뿐만 아니라 집단 공동의 지식을 내면화하는 과정을 통해 개인의 것으로 학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Bennett et al., 2010; Cohen, 1994; Lee et al.
소집단 활동에 대한 연구와 언어적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이유는 무엇인가? 과학사적으로도 과학자 사이의 논쟁(argument)과 토론(discussion)을 통해 과학적 지식을 구성해 가는 사회적 활동이 중요하게 다뤄지듯이(Johnson et al., 1985),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학습 내용에 대한 개인의 독자적 활동보다 동료들과의 언어적 상호 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더 중요하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소집단 토론 활동에서 학생 간의 언어적 상호 작용을 통해 다양한 사고를 경험하고 지식을 스스로 구축하는 경험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측면에서도 중요하다(Kang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ennett, J., Hogrth, S., Lubben, F., Cambell, B., and Robinson, A., 2010, Talking science: The research evidence on the use of small group discussions in science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1), 69-95. 

  2. Braund, M. and Driver, M., 2005, Pupils' perceptions of practical science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Implications for improving progression and continuity of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 47(1), 77-92 

  3. Chung, D. H., Cho, K. S., and Yoo, D. Y., 2013a, Communication status in group and semantic network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small group activity.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2), 148161. (in Korean) 

  4. Chung, D. H., Lee, J. K., Kim, S. E., and Park, K. J., 2013b, An analysis on congruency between educational objectives of curriculum and learning objectives of textbook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Focus on earth science I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 711726. (in Korean) 

  5. Chung, D. H. and Yoo, D. Y., 2013, A communication structure of science gifted students based on the social network analysi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1), 8192. (in Korean) 

  6. Cohen, E. G., 1994, Restructuring the classroom: Conditions for productive small group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4(1), 1-35. 

  7. Johnson, R. T., Johnson, D. W., Scott, L. E., and Ramolae, B. A., 1985, Effects of single-sex and mixed-sex cooperative interaction on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s and cross-handicap and cross-sex relationship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2(3), 207-220. 

  8. Kang, S. J., Kim, C. M., and Noh, T. H., 2000,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in small group discuss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3), 353-363. (in Korean) 

  9. Kang, S. J., Kim, Y. H., and Noh, T. H., 2004, The influence of small group discussion using the history of science upon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5), 996-1007. (in Korean) 

  10. Kim, H. K., 2008, Learners' characteristics influencing on verbal interaction in chemistry lessons through group discussion of science high school.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3 p. (in Korean) 

  11. Kim, J. Y., 2012, Improving method of teacher education according to types of "teaching difficulties in Korean language class" by elementary school teacher.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44, 203-227. (in Korean) 

  12. Kim, M. H. and Kim, Y. S., 2015, An analysis of the verbal interaction patterns of science-gifted students in science inquiry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2), 333-342. (in Korean) 

  13. Kim, Y. H., Chung, D. H., Cho, K. S., Choi, J. A., and Park, K. J., 2011, A perception of beginning earth science teachers on porphyritic Textur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7), 860-870. (in Korean) 

  14. Lee, B. W., 2004, Analysis of interaction pattern of the students in online discussion of physics investig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3), 638-645. (in Korean) 

  15. Lee, H. Y., Chang, S. S., Seong, S. K., Kang, S. J., and Choi, B. S., 2002, Analysis of student-student interaction in interactive science inquiry experi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3), 660-670. (in Korean) 

  16. Lee, I., 2018, An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circ}$ O modeling and small group interactions during peer instruction in solving mechanics problem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19 p. (in Korean) 

  17. Lee, S. Y., Kim, C. J., Choe, S. U., Yoo, J. H., Park, H. J., Kang, E. H., and Kim, H. B., 2012, Exploring the patterns of group model development about blood flow in the heart and reasoning process by small group interac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5), 805-822. (in Korean) 

  18. Lim, C. H., 2008,. Classification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elementary science based on new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Research of Science and Math Education, 31, 25-42. (in Korean) 

  19. Linn, M. C. and Burbules, N. C., 1993,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group learning. In K. Tobin (ed.), The practice of constructivism in science education, Washington DC: AAAs Press, 91 p. 

  20.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278 p. (in Korean) 

  21. Park, K. J., Chung, D. H., and Cho, K. S., 2013, An analysis of the changes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structure about sedimentary rocks before and after the field trip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2), 173-186. (in Korean) 

  22. Qin, Z., Johnson, D. W., and Johnson, R. T., 1995, Cooperative versus competitive efforts and problem solv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5(2), 129-143. 

  23. Sampson, V. and Clark, D., 2009. The impact of collaboration on the outcome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Science Education, 93(3), 448-484. 

  24. Shin, A. K. 2006, Characteristics of students' verbal interaction in small group activities of MBL classe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83 p. 

  25. Vygotsky, L.,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NY: Harvard University Press, 159 p. 

  26. Wang, H. A., 1998, Science textbook studies reanalysis: Teachers "friendly" content analysis methods.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2 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