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붕장어(Conger myriaster) 조미소스를 활용한 조미김(Pyropia yezoensis)의 영양특성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Seasoned Laver Pyropia yezoensis with Conger Eel Conger myriaster Seasoning Sauce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3 no.3, 2020년, pp.382 - 387  

김도엽 (덕화푸드 기업부설연구소) ,  강상인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이창영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김혜진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이정석 (경상대학교 수산식품산업화 기술지원센터) ,  허민수 (경상대학교 수산식품산업화 기술지원센터) ,  김진수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seasoned laver Pyropia yezoensis with conger eel Conger myriaster seasoning sauce (SL-CES) with those of commercial seasoned laver (C-SL). SL-CES had higher protein and lower ash contents than those of C-SL. However, the moisture and lipid cont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된 붕장어 가공부산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붕장어 조미소스를 첨가한 조미김의 효율적 이용과 소비 확대를 위한 일련의 연구로 붕장어 조미김의 총아미노산, 지방산 및 무기질 등과 같은 영양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은 어떤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가? , 2009). 김은 식이섬유와 단백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칼슘, 마그네슘, 요오드, 철 및 아연 등과 같은 무기질들도 아주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 만이 아니라(Rupéerez, 2002; Davis et al., 2003), 비타민, 오메가-3 지방산 및 chlorophyll, phycobilin 등과 같은 색소성분 등도 다량 함유되어 있는 저열량 식품이다(Galland-Irmouli et al., 1999; Dawczynski et al.
김의 정의 및 종류는? 김은 홍조류의 대표적인 해조류로서, 주로 광택이 나는 적자색을 띠지만 재래김 품종인 참김(Porphyra tenera)과 방사무늬김(Porphyra yezoensis), 돌김 품종인 잇바디돌김(Porphyra dentata)과 모무늬돌김(Porphyra seriata) 등과 같은 종(species)에 따라 색깔이 차이가 있다(Cho et al., 2009).
붕장어 부산물을 활용한 조미김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붕장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 2019) 등에 관한 것이 있을 뿐이고, 붕장어 부산물을 활용한 조미김의 개발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붕장어는 우리나라 전 연안에서 연중 어획되고 있으나 양식이 되고 있지 않은 대표적인 어종, 즉 자연산 어종이며, 비타민, 양질의 단백질 및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이 많아 대표적인 강장식품으로 알려져 있는 소비자 친숙 수산물 소재이다(Ryu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ligh EG and Dyer WJ. 1959. A rapid method of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ol 37, 911-917. 

  2. Cho SM, Kim BM, Han KJ, Seo HY, Han YN, Yang EH and Kim DS. 2009. Current status of the domestic processed laver market and manufac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7-70. 

  3. Cornish ML and Garbary DJ. 2010. Antioxidants from macroalgae: potential application in human health and nutrition. Algae 25, 155-171. https://doi.org/10.4490/algae.2010.25.4.155. 

  4. Davis TA, Volesky B and Mucci A. 2003. A review of the biochemistry of heavy metal biosorption by brown algae. Water Res 37, 4311-4330. 

  5. Dawczynski C, Schubert R and Jahreis G. 2007. Amino acids, fatty acids, and dietary fiber in edible seaweed products. Food Chem 103, 891-899. 

  6. Galland-Irmouli AV, Fleurence J, Lamghari R, Lucn M, Rouxel C, Barbaroux O, Bronowicki JP, Villaume C and Guent JL. 1999. Nutritional value of proteins from edible seaweed Palmaria palmata (Dulse). J Nutr Biochem 10, 353-359. 

  7. Heu MS, Lee TS, Kim HS, Jee SJ, Lee JH, Kim HJ, Yoon MS, Park SH and Kim JS. 2008.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Tang from conger eel by-produ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77-484. https://doi.org/10.3746/jkfn.2008.37.4.477. 

  8. Jeon YS, Kang MH and Choi MK. 2015. Manufacture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onion seasoned lav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 146-152. https://doi.org/10.17495/easdl.2015.2.25.1.146. 

  9. Jun EC and Han SO. 2019. The challenges of the export industry an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of laver as a semiconductor in the food industry. Kor Assoc Inter Comm Inform 21, 301-319. 

  10. Kang SI, Lee JS, Heu MS, Kim JS. 2020.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seasoned laver with concentrated cooking oyster effluent using RSM. Korean J Fish Aquat Sci 53, 156-164. https://doi.org/10.5657/KFAS.2020.0156. 

  11. Kim DY, Kang SI, Jeong UC, Lee JS, Heu MS and Kim JS. 2019. Processing optimization of seasoned laver Pyropia yezoensis with concentrates of octopus Octopus vulgaris cooking effluen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ish Aquat Sci 52, 311-320. https://doi.org/10.5657/KFAS.2019.0311. 

  12. Kim HS, Kang KT, Han BW, Kim EJ, Heu MS and Kim JS. 2006. Preparation and characterics of snack using conger eel fra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467-1474. 

  13. Kim JG, Han BW, Kim HS, Park CH, Chung IK, Choi YJ, Kim JS and Heu MS. 2005. Lipid characteristics of fish frame as a functional lipid resour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380-388. https://doi.org/10.3746/jkfn.2005.34.3.380. 

  14. Kim KH. 2014. Concentration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 in mainly consumed fishes. M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Tongyeong, Korea, 23-58. 

  15. KS (Korean Industrial Standards). 2019. Seasoned and roasted laver. Retrieved from https://standard.go.kr/KSCI/standard-Intro/getStandardSearchView.do?menuId919&topMenuId502&upperMenuId503&ksNoKSH6019&tmprKsNoKSH6019&reformNo06 on Oct 2, 2020. 

  16. Lee EH, Kim SK, Cho DJ, Kim JD, Sudibjono and Kim SH. 1978. Conditions for conger eel and hagfish skin glue processing and the quality of product. Bull Korean Fish Soc 11, 189-195. 

  17. MF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9. Korean food code. chapter 8. General analytical method. Retrieved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2.jsp?idx263 on Apr 22, 2020. 

  18. National Fishery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2019. Quality control of fish and fishery products. Retrieved from http://www.nfqs.go.kr/2013/index.asp on Oct 14, 2020. 

  19.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6. 9th revision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I. RDA, Wanju, Korea, 14-17. 

  20. Rupeerez P. 2002. Mineral content of edible marine seaweed. Food Chem 79, 23-26. 

  21. Ryu KY, Shim SL, Kim W, Jung MS, Hwang IM, Kim JH, Hong CH, Jung CH and Kim KS. 2009. Analysis of the seasonal change of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taste components in the conger eels Conger myriast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069-1075. https://doi.org/10.3746/jkfn.2009.38.8.1069. 

  22.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6.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Ministry of health welfare. Sejong, Korea, 157-218. 

  23. Yoo YM.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aponin content of seasoned laver with the addition of dried red ginseng powder. M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24. Yoon MS, Kim HJ, Park KH, Park JY, Lee JS, Jeon YJ, Son HJ, Heu MS and Kim JS. 2009. Food quality characterizations of commercial salted mackerel. Korean Fish Soc 42, 123-130. https://doi.org/10.5657/kfas.2009.42.2.1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