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체형인식과 건강관련위험인식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요인
Effects of Health Literacy, Perception of Body Shape and Health Risk Perception in Adolescent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7, 2020년, pp.49 - 57  

정은 (전남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정미라 (한영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체형인식과 건강관련위험인식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변인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J시에 위치한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120명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였다. 자료분석SPSS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건장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관련위험인식(β=-.18, p=.033), 학년(β=.24, p=.006), 성별(β=.19, p=.021)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14.0%(F=6.27, P<.001)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건강관련 위험인식을 낮추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health literacy, body shape and health risk perception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20 adolescents from two m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형성하는 초기 청소년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 체형인식, 건강관련 위험인식의 변인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 체형인식, 건강관련 위험인식과 건강증진행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최근까지 우리나라에서 연구되어진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정보이해능력에 관한 연구는 2편이었으며[1,3], 체형인식과 건강관련 위험인식에 관해 함께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 체형인식, 건강 관련 위험인식, 건강증진행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과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은 외래어인 ‘헬스 리터리시’로 표기하기도 하는데[4], 자신이 건강문제를 인식하고 건강과 관련한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는데 필요한 건강정보와 서비스를 획득하여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5]. 즉, 청소년들이 건강 정보를 얻고, 이해하며 그 정보를 아는 것에 만 그치지않고 일상생활에서 적용 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6]을 말하며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향상은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를 이롭게 할 것이다.
청소년기의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 개선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청소년기는 자아통찰력이 발달하면서 건강에 대한 인식이 생기고 음주, 흡연, 영양, 신체활동 등과 같은 생활양식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13].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수준은 흡연, 음주, 신체활동은 개선되지않았고, 식생활습관은 전반적으로 나빠진 것으로 조사 되었다[1]. 따라서 청소년의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 개선을 위한 정책 개발과 더불어 건강관련 위험인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어느 행위에 영향을 끼치나? 즉, 청소년들이 건강 정보를 얻고, 이해하며 그 정보를 아는 것에 만 그치지않고 일상생활에서 적용 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6]을 말하며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향상은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를 이롭게 할 것이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높은 청소년은 건강증진행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3,7], 최근에는 건강정보이해능력이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8]. 따라서 청소년의 긍정적인 건강정보이해능력을 향상시키는 전략을 위한 탐색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Call Center. (2019). 2019 Korea youth's risk behavior web-based survery. KCDC(Online). https://www.cdc.go.kr/yhs/ 

  2. M. J. Hockenberry, D. Wilson & D. L. Wong. (2015). Wong's Nursing Care of Infants and Children (10th ed.), Amsterdam: Elsevier Publishing. 

  3. J. Y. Kim & M. H. Suk. (2016). Health Liter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3), 570-582. DOI : 10.5932/JKPHN.2016.30.3.570 

  4. K. J. Hong, Y. G. Ju, S. I. Jun, H. J. Yoon & M. S. You. (2012).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public institution's health message for measuring health literacy.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3), 53-61. 

  5.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ffice of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2010). Quick guide to health literacy. Washington (DC): US Government. 

  6. B. S. Jang. (2017). Development of korea adolescent health literacy scale(KHLS-Tee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7. A. Y. Jeong. (2017). Influence of health liter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middle school students. Woosuk National University, Pusan. 

  8.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2016).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mid-and-long-term strategies for providing consumer health informat.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Online). https://www.khealth.or.kr/kps/rsrhBusnRept/view?menuIdMENU00894&rsrh_idx1005 

  9. E. H. Jeong & I. S. Lee. (2018). Multilevel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subjective weight perception among normal body weight adolescents based on the 2017 Korean youth's risk behavior surve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9(4), 476-487. DOI : 10.12799/jkachn.2018.29.4.476 

  10. M. Y. Hong. (2013).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ppearance stress and depression. Ajou National University, Suwon. 

  11. M. J. Kim. (2012). BMI, body image, food habit and food attitude in college female students. The Journal of Digita6l Policy & Management, 10(10), 389-395. 

  12. J. S. Kim, M. J. Sim, I. S. Kwon. (2018).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adolescents. The Journal of the Co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4(4), 57-65. DOI : 10.17703/JCCT.2018.4.4.57 

  13. J. D. Boardman. (2006). Self-rated health among US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38(4), 401-408. DOI : 10.1016/j.jadohealth.2005.01.006 

  14. L. Sjoberg, B. E. Moen & T. Rundmo.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Rotunde publikasjoner Rotunde, 84, 55-76. 

  15. K. W. Choi. (2014). Factors related to self-rated health in adolescents: Findings for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1(3), 39-50. DOI : 10.14367/kjhep.2014.31.3.39 

  16. J. S. Lee, S. Y. Lee & J. O. Rho. (2012). The effects of body weight status, perception of body shape and satisfaction of body shape on obesity stress, self-esteem among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Korea Journal of Human Ecology, 21(6), 1223-1234. DOI : 10.5934/KJHE.2012.21.6.1223 

  17. N. T. Brewer, G. B. Chapman. F. X. Gibbons, M. Gerrard, K. D, McCaul & N. D. Weinstein. (2007).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The example of vaccination. Health psychology, 26(2), 136. 

  18. K. J. Hong, Y. G. Ju, S. I. Jun, H. J. Yoon & M. S. You. (2012).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public institution1s health message for measuring health literac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3), 53-61. 

  19. S. N. Walker, K. R. Sechrist & N. J. Pender. (1987). The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ntrid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2), 76-81. 

  20. J. E. Lim. (2012). A study on the relate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of som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health behavior. Ewha womans National University, Seoul. 

  21. J. Cohen.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Abingdon. England: Routledge. 

  22. J. S. Yoo. (2011). Study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practice in some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1(6), 583-588. 

  23. O. k. Kim. (2018). The relationship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social support and health literacy of adolescent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University, Seoul. 

  24. L. M. Sanders, J. S. Shaw, G. Guez, C. Baur & R. Rudd. (2009). Health literacy and child health promotion: Implications for research, clinical care, and public policy. Pediatrics, 124, 306-314. 

  25. M. R. Jung & E. Jeong. (2017).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body image in adolescents. Journal of Digital Covergence, 15(8), 267-275. DOI : 10.14400/JDC.2017.15.8.267 

  26. J. H. Jeong & J. S. Kim. (2014). Health literacy, health risk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of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5(1), 65-73. http://dx.doi.org/10.12799/jkachn.2014.25.1.6524 

  27. Y. H. Kang. (2012). Self-efficacy, health promotion behavior inten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13(3), 87-100. 

  28. N. T. Brewer, G. B. Chapman, F. X. Gibbons, M. Gerrard, K. D. McCaul & N. D. Weinstein. (2007).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the example of vaccination. Health Psychology, 26(2), 136-145. DOI : 10.1037/0278-6133.26.2.1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