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 기술자격 미용사(피부) 검정형과 과정평가형 실기시험 평가방법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Practical Test Methods for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nd Course-bas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License for Esthetician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7, 2020년, pp.240 - 248  

김나영 (삼육보건대학교 뷰티융합과 의료미용전공) ,  김정원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안전서비스출제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NCS 기반으로 개편된 미용사(피부) 검정형 자격과 과정평가형의 자격시험에 관한 선행연구의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국가기술자격 미용사(피부) 종목 과제 및 평가방법에 대해 비교·분석 하였다. 검정형 자격은 암기 위주의 이론시험과 단순 기능 반복을 통한 작업능력을 기반으로 평가가 이루어져 자격과 일이 상호 연계되지 않고 있고, 과정평가형 자격은 상대적으로 시험 집행을 시작한 기간이 짧은 상태로 시행기관에서의 자체 내부평가의 신뢰성 저하 문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향후 현재 평가에 반영되고 있지 못하는 다양한 능력 단위를 적용하여 실기시험 평가 항목에 포함할 수 있는 상위자격의 신설 및 실기시험 평가방법 개선 등을 통해 현장과의 연계성을 제고시키고 관련 분야의 현장 적응 및 재교육 시간 단축 등의 자격제도 혁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tasks and evaluation methods of national technically qualified Skin Esthetic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prior studies on qualification tests for Skin Esthetic qualification and process evaluation types that have been reorganized based on NCS. The nat...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산업구조 변화에 대비한 기술 인재양성의 기초가 되는 국가 자격 시험제도 자격취득 방식의 다양화에 따른 국가 자격증 미용사(피부) 과제 및 평가제도에 대해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미용사(피부) 국가 기술 자격 검정형 자격과 과정평가형 자격을 비교하고, 그에 따라 미용사 (피부)종목 실기시험 평가방법을 비교 분석 하고자 이들 자격과 관련한 다양한 국내외 자료를 고찰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미용사(피부) 국가 기술자격증 과제 출제 기준이 NCS 기반으로 개편됨에 따라 미용사(피부) 자격검정형과 과정평가형의 자격시험에 관련한 내용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격이란 무엇인가? 최근 블라인드 채용을 확대한 정부 및 공공기관의 기조에 따라 개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척도로 자격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1]. 자격이란, 일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평가·인정된 지식이나 기술의 습득 정도로서 직무수행능력을 말하는데 국가기술자격이 그 대표적인 제도이다[2]. 국가기술자격은 ‘산업현장의 수요에 적합한 자격제도를 확립함으로서 기술 인력의 직업능력을 개발하고, 기술 인력 이 사회적 지위 향상과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운영된다[3].
과정평가형 자격의 목적은 무엇인가? 과정평가형 자격은 일-교육·훈련-자격 간 연계를 강화하여 합격기준을 충족하는 훈련생에게 국가 기술자격을 부여하여 현장실무형 인재를 배출하는데 목적이 있다[1,11]. 미용사(피부)는 현재 검정형방식과 과정평가형 방식으로 이원화되어 운영되고 있다.
국가기술 자격제도는 무엇인가? 정부는 1973년 ‘국가기술자격법’을 제정하여 부처별로 각각 운영되던 국가기술자격을 단일 체계로 통합하였으며, 그 이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오늘의 국가기술 자격제도로 Table 1과 같이 자리매김하였다[13]. 이 제도는 국가가 산업현장에서의 직무수행에 요구되는 지식이나 기술(skill)의 습득정도를 파악하여 일정한 기준 및 절차에 따라 교육을 평가·인정하는 제도이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 K. Jang. (2018). A Study on the Effects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Innovation on Companies' Decision on Employment : Focused on Course-base Qual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11), 278-86. DOI : 10.5762/KAIS.2018.19.11.278 

  2. S. L. Na, J. Y. Cho, S. B. Uh & H. J. Jang. (2012). The Strategies for the New Installation of a National Certificate on the Basic Competencie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1(44), 131-160. DOI : 10.23840/agehrd.2012.44.1.131 

  3. Statute. (2020).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Enforcement Decree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http://www.law.go.kr 

  4. S. B. Uh. (2017). The Study on Selecting Qualification Items and Preparing Strategies for Mutual Recognition Agreement.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6(1), 105-131. 

  5. S. H. Shin. (2019). Convergence Study on Job Value and Lifestyles in Som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2(9), 190-197. DOI : 10.22156/CS4SMB.2019.9.12.190 

  6. S. W. Hwang. (2009). Research on ways to advance the beauty industry related to nails and makeup. Chungbuk : KHIDI 

  7. Y. O. Ryu. G. M. Jo. (2010). A study on social reputation index of national esthetician certificate and professional esthetician -with in Gwangju and Jeonnam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ry of Beauty And Art, 11(3), 41-51. 

  8.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20). Skilled workers by job field. Status of qualifications of skilled workers by job area. hppt://www.data.go.kr/dataset 

  9. J. O. Ju. (2009). A study on the Administrative System Improvement, and Developmental Plan for the Issuance System of Korean Hairdress license. thesis requesting a master's degree. Dongduk university, Seoul. 

  10. H. J. Kim. (2018).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asks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hairdresser (general) certified type and the course evaluation type qualification. thesis requesting a master's degree. Han-Sung university, Seoul. 

  11. J. Y. Shim. (2018). The Status of Process Assessment Type Qualification System and its Effects on Field Adaptability. thesis requesting a master's degree. Kon-Kuk university, Seoul. 

  12.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6). NCS Confirmation Notice. http://www.moel.go.kr/info/lawinfo/instruction/view.do?bbs_seq1469152044332 

  13. B. H. No, S. H. Choi. (2014).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law. Busan : The Korea Society Of Comparative Labor Law. 

  14. Statute. (2020).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Enforcement Decree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http://www.law.go.kr/isinfop.do?1siseq 

  15.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20). Skilled workers by job field. Status of qualifications of skilled workers by job area. hppt://www.c.q-net.or.kr 

  16. NCS. (2020). National job competency standards. NCS Learning module. http://www.ncs.go.kr 

  17. KRIVET. (2013). Quality management plan for development and use of NCS and learning modules. Seoul : Korea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Center NCS center. 

  18. HRD. (2010). Vocational Competency. Seoul : HRD Association. 

  19. S. J. Kang, M. H. Woo & Y. S. Park. (2016). An Analytical Study on Feasibility of NCS Level of Qualification Redesign Categories in 7 Major Area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19), 47-53. DOI : 10.18108/jeer.2016.19.1.47 

  20. E. J. Cha & H. S Ahn. (2011). Comparison of Beautician National Licensing System in Germany, United Kingdom, and South Korea.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9(3), 141-15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