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규조류 Skeletonema pseudocostatum Medlin (Thalassiosirales, Bacillariohyta)의 형태적 특징과 분자계통학적 위치

Morpho-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diatom Skeletonema pseudocostatum(Thalassiosirales, Bacillariophyta) from the Korean coast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8 no.1, 2020년, pp.21 - 29  

한경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시료도서관) ,  이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  박준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생명공학연구센터) ,  윤주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시료도서관) ,  김현정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시료도서관) ,  곽경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시료도서관) ,  오석진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신현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시료도서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keletonema pseudocostatum의 세포는 규산질 성분의 돌기에 의한 사슬 형태로, 길이는 6~17.3 ㎛였고, 엽록체는 세포 당 1~2개를 포함하고 있었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결과 Skeletonema 종을 구분할 수 있는 가장자리 받침돌기끝(terminal fultoportula process)은 끝이 갈라지거나, 갈고리 모양이었고, 길이가 1.67±0.5 ㎛이고, 개각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으며, 개수는 8.10±1.1개로 개각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말단세포 입술돌기(terminal rimoportula process)는 두꺼운 원통형의 나팔관 모양으로, 개각의 중앙 근처에 위치하였고, 길이는 1.1±0.6 ㎛였으며, 개수는 1개였다. 연결세포 받침돌기(intercalary fultoportula process)는 대부분 1 : 1 결합으로 서로 맞물려 있는 형태였고, 1 : 2 결합도 종종 발견되었다. 계통분석 결과는 형태적 특징이 유사한 종 간의 유전학적 거리가 가깝다는 것을 나타냈고, 지리적 기원이 다른 동일 종의 경우, 유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S. pseudocostatum은 지리적 위치와 상관없이 유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단일계통(monophyly)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rphology of a strain of unspecified Skeletonema species established from Korean coast was examined by light, fluorescenc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SSU(small subunit) and LSU(large subunit) rDNA of the strain were also sequenced. The specimen was characterized by solitary or short cha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해양식물플랑크톤 기탁등록보존기관에서 보존하고 있는 Skeletonema 속의 배양주(strain)를 이용하여 종의 형태적 특징과 계통분류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석 종이 국내에서는 기록되어 있지 않은 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keletonema 속은 어떻게 명명되었는가? Skeletonema 속은 바베이도스 주변의 에오세 후기 퇴적물로부터 관찰된 Skeletonema barbadense Grev.을 기준 종(type species)으로 하여 명명되었다(Greville 1865). Greville (1866)은 홍콩 연안에서 발견된 돌말류 표본과 요크셔 연안의 해초류(ascidian)의 위장에서 발견된 표본이 동일한 종임을 확인하고, 그 종을 Melosira costata Grev.
S. pseudocostatum Medlin은 S. costatum과 어떤 부분에서 구별되는가? S. pseudocostatum Medlin은 받침돌기 외부형태, 입술돌기(rimoportula process)의 위치와 유전적 차이에 의해 S. costatum과 구별된다(Medlin et al.
S. pseudocostatum의 군체 돌기(process)의 구조와 위치 등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해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였는데, 이를 위해서 어떤 처리를 해줬는가? pseudocostatum의 군체(chain) 길이와 모양, 엽록체 구조 등의 형태적 특징은 광학현미경(Primo Vert, Zeiss, Germany)과 형광현미경(Axio Imager 2; Zeiss, Germany) 으로 관찰하였고, 돌기(process)의 구조와 위치 등의 미세구조는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 JSM7600, Jeol, Tokyo, Japan)으로 관찰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위해 S. pseudocostatum 배양주는 최종농도 2%인 Lugol 용액으로 고정한 후, 에탄올 시리즈(10, 30, 50, 70, 90, 99, 99%) 로 시료를 15분씩 탈수하였고, 임계점 건조법(critical point drying method) (Spi-DryTM Regular Critical Point Dryer, SPI Supplies, West Chester, PA, USA)을 통해 건조하였다. 건조된 시료는 aluminum stub에 고정하고 백금코팅(platinum)하여 5~15Kv, 8.0mm working distance 하에서 관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lverson AJ and L Kolnick. 2005. Intragenomic nucleotide polymorphism among small subunit (18s) rDNA paralogs in the diatom genus Skeletonema (bacillariophyta) 1. J. Phycol. 41:1248-1257. 

  2. Alverson AJ, RK Jansen and EC Theriot. 2007. Bridging the Rubicon: phylogenetic analysis reveals repeated colonizations of marine and fresh waters by thalassiosiroid diatoms. Mol. Phylogenet. Evol. 45:193-210. 

  3. Bergesch M, M Garcia and C Odebrecht. 2009. Diversity and morphology of Skeletonema species in southern Brazil, southwestern Atlantic Ocean (note). J. Phycol. 45:1348-1352. 

  4. Cleve PT. 1873. Examination of diatoms found on the surface of the Sea of Java. Bih. Kongl. Svenska Vetensk.-Akad. Handl. 11:1-13, 3 pls. 

  5. Greville RK. 1865. Descriptions of new and rare diatoms. Series XXI. Tr. Micr. Soc. Lond. 13:43-75. 

  6. Greville RK. 1866. Description of new and rare diatoms. Series 20. Tr. Micr. Soc. Lond. 14:77-86. 

  7. Guiry MD and GM Guiry. 2019. 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http://www.algaebase.org; searched on 05 September 2019. 

  8. Hasle GR. 1973. Some marine plankton genera of the diatom family Thalassiosiraceae. Nova Hedwigia 45:1-49. 

  9. Jung SW, SM Yun, SD Lee, YO Kim and JH Lee. 2009.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ur species in the genus Skeletonema in coastal waters of South Korea. Algae 24:195-203. 

  10. Kaeriyama H, E Katsuki, M Otsubo, M Yamada, K Ichimi, K Tada and PJ Harrison. 2011. Effects of temperature and irradiance on growth of strains belonging to seven Skeletonema species isolated from Dokai Bay, southern Japan. Eur. J. Phycol. 46:113-124. 

  11. McCarthy PM. 2013. Census of Australian Marine Diatoms. Australian Biological Resources Study, Canberra. 

  12. Medlin LK, HJ Elwood, S Stickel and ML Sogin. 1991. Morphological and genetic variation within the diatom Skeletonema costatum (Bacillariophyta): evidence for a new species, Skeletonema pseudocostatum. J. Phycol. 27:514-524. 

  13. Round FE, RM Crawford and DG Mann. 1990. The Diatoms. Biology and Morphology of the Gene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 747. 

  14. Sarno D, WH Kooistra, LK Medlin, I Percopo and A Zingone. 2005. Diversity in the genus Skeletonema (Bacillariophyceae). II. An assessment of the taxonomy of S. costatum-like species with the description of four new 1. J. Phycol. 41:151-176. 

  15. Sarno D, WH Kooistra, S Balzano, PE Hargraves and A Zingone. 2007. Diversity in the genus Skeletonema (BACILLARIOPHYCEAE): III. Phylogenetic position and morphological variability of Skeletonema costatum and Skeletonema grevillei, with the description of Skeletonema ardens sp. nov. 1. J. Phycol. 43:156-170. 

  16. Takano Y and T Horiguchi. 2006. Acquir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al, light microscopical and multiple gene sequence data from a single dinoflagellate cell 1. J. Phycol. 42:251-256. 

  17. Veen A, CHJ Hof, FAC Kouwets and T Berkhout. 2015. Rijkswaterstaat Waterdienst, Informatiehuis Water. Available at: http://ipt.nlbif.nl/ipt/resource?rchecklist-twn (last accessed May 18,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