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졸자의 자격보유가 취업과 일자리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f college graduates' qualifications on employment and job suitabilit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7, 2020년, pp.223 - 230  

임미정 (경기대학교 직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격을 보유하고 있는 대졸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학교소재지에 따른 취업과 일자리적합도 분석을 통해 자격의 경제적, 비경제적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를 SPSS 25를 사용하여 기초통계,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밝힌 취업의 효과성을 재확인하였으며, 특히, 비 서울권 대졸자의 자격보유는 취업 및 일자리적합도를 높이는데 일부 긍적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개인속성과 학교소재지에 따른 자격의 효과성은 다를 수 있으나, 이를 고려한 적절한 자격보유 독려와 취득 지원은 대졸자의 취업과 일자리적합도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graduates who obtain qualifications, and to check the economic and ineffectiveness of qualifica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employment and job relevance according to their school area. For the main research, the "2016 Graduat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자리적합도와 관련한 국내연구들을 살펴보면, 사회적 취업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적합도, 학력적합도, 전공적합도를 사용한 연구가 있으며[12], 장애인 고용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적합한 노동을 교육수준 적합도, 기술수준 적합도, 지식/기능의 활용도 변수를 사용하여 측정한 연구도 있다[13]. 본 연구에서는 GOMS자료에 있는 설문결과를 토대로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기술 및 교육 그리고 대학교에서 배운 전공을 기준으로 일자리적합도를 분석하였다.
  • 하지만 자격을 취득한 이들이 본인이 원하는 일자리에서 일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 즉, 지역별 일자리적합도와 같은 비경제적 요소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격의 경제적 효과인 취업과 비경제적 효과인 일자리적합도, 두 가지 측면을 보면서 학교소재지에 따른 자격보유의 상호작용 효과까지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대졸자에게 자격보유 및 활용에 대한 적합한 방법을 제언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이상과 같이 학교소재지에 따른 취업효과의 연구에서 비서울권대학 학생들이 취업이나 직무일치도 등에서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자격보유가 취업과 적합한 일자리를 찾는데 효과성이 있는지 서울권을 기준으로 타 지역권과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자의 인적속성별 자격보유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대졸자의 자격보유가 취업에 영향을 미쳤는가? 셋째, 대졸자의 자격보유가 일자리적합도에 영향을 미쳤는가? 넷째, 자격보유자의 학교소재지는 일자리적합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이다.
  •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자의 인적속성별 자격보유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대졸자의 자격보유가 취업에 영향을 미쳤는가? 셋째, 대졸자의 자격보유가 일자리적합도에 영향을 미쳤는가? 넷째, 자격보유자의 학교소재지는 일자리적합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 Y. Oh. (2007). University Hierarchy and Labor Market Outcome - Wage Differentials between Provincial and Seoul Metropolitan Area University Graduates -. Kore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30(2), 87-118. 

  2. A. K. Kim & S. H. Kang. (2004). The Factors of the Acquisition of Qualifications and the Employment and Wage Effects of the Acquisition of Qualifications. Kore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27(1), 1-25. 

  3. K. Y. Lee & Y. H. Kim. (2003). The Determinants of Youth Labor Market Performance.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3(2), 69-93. 

  4. D. L. Lee & D. G. Kim. (2002). A Study the Impact of Vocational Qualification in the Labor Market. Kore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30(2), 87-118. 

  5. M. K. Lee. (2008). Actual Conditions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 Possessor And Effects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 Possession On Employment And Wage.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15(3), 131-149. 

  6. [Y. K. Park & Y. M. Lee. (2012), The Effect of the Female College Graduates' Acquisition of Qualification on Employment, Wage, and Job Satisfaction, When Their Entering into Labor Market.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19(3), 135-150. 

  7. D. L. Lee & S. J. Lee. (2008).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Qualifications: Centering on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Level. Koreanische Zeitschrift fuer Wirtschaftswissenschaften, 26(3), 51-77. 

  8. A. K. Kim. (2003). An Analysis of the Factors of Youth Unemployment and Nonparticipa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26(1), 23-52. 

  9. Y. J. Hwang & B. B. Back. (2008). Determinants of Employment Status of University Graduates Youth.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vol, 11(2), 1-23. DOI : 10.36907/krivet.2008.11.2.1 

  10. Y. H. Lee & H. J. Kwon. (2009). The Effect of Occupational Certification on the Labor Market of the Graduate Youth.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8(4), 95-111. 

  11. S. M. Jin & J. S. Kong. (2011). The Effects of College Graduates' Overeducation on Work Transition.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3(1), 95-120. 

  12. S. H. Kim. (2005), Individual and Social Outcomes of First Employment Through Social Networks and Formal Mean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39(1), 53-85. 

  13. J. A. Son & S. M. Park. (2011), An Exploratory Study on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Decent Job Perspective.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11(1), 31-165 

  14. J. S. Ryu. (2003). A Study on the School-to-Work Transition of Provincial College Graduates.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9(1), 171-196. 

  15. B. S. Rhee & J. Y. Choi. (2009), Exploring the Differential Impacts of Personal and Institutional Factors on Recent College Graduates' Employment.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36(1), 191-215. 

  16. J. W. Lee & S. B. Jeong. (2018). A decent job for a university graduate 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Journal of regional studies, 26(4), 189-206. DOI : 10.31324/JRS.2018.12.26.4.189 

  17. H. S. Kim. (2010), Analysis o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Local University Graduates and Regional Education Gap.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32(2), 55-92. 

  18. N. H. Hwang & J. Y. Jeong. (2011). Factors of Downgrading Employment of Young College Graduat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21(2), 271-292. 

  19. Y. S. Ahn, Y. J. Kim, H. J. Chung & H. J. Seo. (2011). Status and Strategies of License Acquisition of University Students for Regional HRD. The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and HRD, 7(3), 125-151. 

  20. C. S. Park. (2010).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Acquisition of Qualifications on School-To-Work Transition,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13(2), 91-110. DOI : 10.36907/krivet.2010.13.2.9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