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간호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Influence of Job Embeddedness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7, 2020년, pp.389 - 397  

하혜진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  김은아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간호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한 300병상 이상의 4개의 종합병원에 재직 중이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간호사 20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9년 10월 부터 12월 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분석, pearson' correlation,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배태성과 간호근무환경 순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배태성을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을 시행하여야 할 것이며, 이와 함께 간호근무환경을 개선하여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rses', job embeddedness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turnover intention. The participants were conducted in 4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300 hospital bed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targeted 203 nurses who understo...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무배태성, 간호근무환경, 이직 의도의 정도를 설명하고 예측력을 높이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간호사의 이직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주요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간호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들을 대상으로 직무배태성, 간호근무환경, 이직의도의 정도 및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간호사 이직을 결정함에 있어 가장 큰 선행요소인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규명하여 간호사의 이직률 감소를 위한 효과 적인 전략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들을 대상으로 직무배태성, 간호근무환경, 이직의도의 정도 및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간호사 이직을 결정함에 있어 가장 큰 선행요소인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규명하여 간호사의 이직률 감소를 위한 효과 적인 전략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정부에서는 간호인력을 수급하기 위해 간호대학의 신설과 정원 증가, 유휴간호사 재취업 장려 등의 대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로 대부분의 의료현장에서는 적정 수준의 간호인력을 유지하는 비율은 저조한 실정이다 [29].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료서비스 분야의 주된 문제로 언급되는 간호사의 이직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현재 임상에서 근무 중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내적 요인인 직무배태성과 외적 요인인 간호근무환경을 파악하여 이들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8). Statistical Yearbook of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Seoul. http://www.mohw.go.kr 

  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8). Based on OECD statistics Current Status and Key Issues of Korean Medical Resources. Policy Trends, 12(4), 7-16. Wonju : HIRA. http://www.hira.or.kr 

  3.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8).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placement. Seoul : KHNA. https://KHNA.or.kr/home/pds/utilities.php 

  4. K. S. Kim & Y. H. Han. (2013). A Study on Intention to Quit and Job Overload, Role Ambiguity, Burn Out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2), 121-129. DOI: 10.5807/KJOHN.2013.22.2.121 

  5. S. N. Chae, S. L. Ko, I. S. Kim & K. S. Yoon. (2015). Effect of Perception of Career Ladder System on Job Satisfaction, Intention to Leave among Perioperative Nurses.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3), 233-242. DOI: 10.11111/JKANA.2015.21.3.233 

  6. L. Hayes et al. (2006). Nurse Turnover: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3(2), 237-263. DOI: 10.1016/IJNURSYU.2005.02.007 

  7. M. A. Kim, K. O. Park, S. J. You, M. J. Kim & E. S. Kim. (2009). A Survey of Nursing Activities in Small and Medium-Size Hospitals: Reasons for Turnover.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1), 149-165. 

  8. W. H. Mobley. (1982).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MA : Addison-Wesley. 

  9. A. C. Bluedorn. (1982). A Unified Model of Turnover from Organizations. Human Relations, 35(2), 135-153. 

  10. T. R. Mitchell, B. C. Holtom, T. W. Lee, C. J. Sablynski & M. Erez. (2001). Why People Stay: Using Job Embeddedness to Predict Voluntary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6), 1102-1121. 

  11. H. N. Sung & D. H. Cho. (2013). The Relationship of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Construction IT Industry. Daehan Academ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32(2), 339-357. 

  12. J. S. Ko. (2012).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urnover Intention by Job Embeddedness.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5(2), 1789-1810. 

  13. E. H. Kim, E. J. Lee & H. J. Choi. (2012).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s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4), 394-401. DOI: 10.11111/JKANA.2012.18.4.394 

  14. Y. M. Kim & Y. S. Kang. (2013).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Plateau, Self-Efficacy,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10), 5078-5090. DOI:10.5762/KAIS.2013.14.10.5078 

  15. E. H. Cho, M. N. Choi, E. Y. Kim, I. Y. Yoo & N. J. Lee. (2011).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41(3), 325-332. DOI: 10.4040/JKAN.2011.41.3.325 

  16. S. Y. Choi & M. A. Lee. (2018). Effect of Job Embeddednes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Intent to Stay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4(3), 234-244. DOI: 10.11111/JKANA.2018.24.3.234 

  17. K. N. Kang. (2012).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2), 155-165. 

  18. D. J. Kim. (2020). Relationship of Nurses' Clinical Career, Resilience, Work Environment and Intention to Stay. Doctor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19. D. K. Gormley & S. Kennerly. (2011). Predictors of Turnover Intention in Nurse Faculty.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0(4), 190-196. DOI:/10.3928/01484834-20110214-05 

  20. M. R. Kim & G. A. Seomun. (2013). Relationships among Burnou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o Resign i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2), 93-101. 

  21. S. J. Kang. (2013).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Relation-oriented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3), 372-381. 

  22. Y. R. Yeun. (2014). Job Stress, Burnou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8), 4981-4986. 

  23. J. H. Jeon & Y. H. Yom. (2014). Roles of Empower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sion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30), 302-312. DOI: 10.11111/jkana.2014.20.3.302 

  24. S. B. Kwon, M. J. Park, H. M. Song & J. S. Moon. (2017). Effects of Job Embedded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of Nurses in Medium and Small Sized Hospital.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1(1), 55-66. 

  25. J. H. Kim. (2009). The Effects of Job Embe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Hospital Employee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ity Traits.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26. Y. J. Ko. (2019).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rsing Work Environment Scale of Clinical Nurses(NWES-CN).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7. S. D. Cheon. (2005). A Study about Influence on Job Stress Factors with Leadermember Exchang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clination. Korean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Fall Conference, 673-696. 

  28. J. K. Kim, S. J. Lee & W. J. Kim. (2020). Effects of Internal Oriented Policy, Social Support, and Job Embeddedness by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21(3), 89-95. DOI: 10.5762/KAIS.2020.21.3.89 

  29. S. Y. Son & J. S. Choi. (2015). Effect of Job Embeddedness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sion in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7(2), 180-187. 

  30. M. Y. Kim. (2018). The Effects of Nurses' Working Environment and Reliability with Superiors on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457-465. DOI:10.15207/JKCS.2018.9.10.457 

  31. O. S. Shim & J. S. Kang. (2018). The Factors Influencing on Compliance with Job Satisfaction of the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 Focusing 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7), 347-354. DOI:10.15207/JKCS.2018.9.7.347 

  32. J. O. Kwon & E. Y. Kim. (2012).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Nurse Turnover Intention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4), 414-423. DOI:10.11111/JKANA.2012.18.4.414 

  33. M. J. Song & S. Y. Choi. (2017). A Convergence Study about Influenc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2), 83-89. DOI:10.15207/JKCS.2017.8.2.083 

  34. M. I. Choi, H. S. So & E. Ko. (2019). Influences of Occupational Stress, Ethical Dilemma,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6(1), 42-51. DOI: 10.7739/JKAFN.2019.26.1.42 

  35. C. H. Woo & M. J. Lee. (2018). The Effect of Hospital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Silence and Job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of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385-394. DOI: 10.14400/JDC.2018.16.3.385 

  36. J. Y. Lee & M. H. Lee. (2020). A Study on Calling, Resillence, Leader-Member Exchange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2), 313-321. DOI: 10.14400/JDC.2020.18.2.313 

  37. S. J. Moon & S. S. Han. (2011). A Predictive Model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Korea.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41(50), 633-641. DOI: 10.4040/JKAN.2011.41.5.6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