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규모 건설현장 중점 안전관리 항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ority Safety Management Items in the Medium and Small sized Construction Sites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1 no.4, 2020년, pp.38 - 49  

장윤라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  고성석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재해는 건설업 특성상 외부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시 가변적인 공정 과 인력투입의 다양성, 취약계층의 증가, 건설기계 장비의 위험성 등 복합적인 요소들로 인하여 재해발생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특히, 건설재해 중 120억 미만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는 전체 건설 재해의 88.9%(사망 73.4%)를 차지하고 있는 바, 이는 관리감독자의 부재로 인한 관리소홀과 사전 안전조치 미흡 등이 문제라 할 수 있다. 또한, 대규모 건설현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안전관리 인력 및 기술체계가 부족한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조직 부재에 따라, 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및 안전시설물 설치 등 기본적인 안전관리도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설재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중·소규모 건축공사의 재해예방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건축공사의 재해율 저감을 위해 건설현장 재해사례와 안전관리 문제점을 도출·분석하고 재해다발요인의 중점 위험항목을 제시하여 중·소규모 건축공사 현장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improving, people are getting higher interest and higher expectation for safety. However, the accident rate at the construction site is still high. Therefore, it is urgent to secure the safety at the construction work. Due to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c...

주제어

표/그림 (2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규모 건축공사 현장특성에 적합한 안전관리 항목을 조사, 선정하여 중점 관리될 수 있는 항목을 연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 규모별로 적합한 중점안전관리 항목을 통한 재해율 감소를 위한 목적으로 재해사례 현황과 중·소규모 건축공사 현장 실태조사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해 중점 안전관리 항목을 선정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 AHP는 목표 값들 사이의 중요도를 계층적으로 나누어 파악함으로 각 대안의 중요도를 산출하는 기법으로서, 다수의 목표, 평가기준, 의사결정 주체가 포함되어 있는 의사결정 문제를 계층화하여 해결하는데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관리항목의 중요도를 결정하는데 적합하고 요소들의 쌍대비교를 통해 상대적 중요도와 가중치를 구함으로써 우선순위를 구하는데 용이한 AHP기법의 쌍대비교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건설현장 안전관리항목의 중요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문항별 서열을 정확히 측정하는데 간편하고 측정에 동원된 모든 항목을 동일한 가치를 부여하여 평가자의 개입을 배제한 객관적인 측정과 다수의 문항을 사용하기에 정밀한 응답과 타당성이 확보 될 수 있는 리커트 척도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건축공사 현장의 안전관리 항목의 도출을 위해 면담조사와 함께 유관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안전관리 항목을 분석하였다.
  •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재해율 저감을 위해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재해사례와 안전관리 문제점을 도출·분석하여 재해 다발요인의 중점 위험항목을 제시하여 건축공사 현장의 안전관리를 이루고자 한다.
  • 또한, 안전관리 실태의 문제점 분석을 위해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관리주체별 사업주, 관리자, 근로자를 조사대상으로 150개소를 직접방문 1:1면담조사를 통해 조사, 평가하는 건설업 재해현황 분석과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조사와 분석으로 나타난 결과로 중점 안전관리 항목을 선정하고 항목별 중요도를 평가하고 자 계층화 의사결정분석을 실시하여 중점안전관리 항목을 도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Hong, J.S., Bae, D.K., and Kim, J.J. (2005). "A Safety Management Activity Improvement in Construction sites through analysisof success factor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6(5), pp 148-156. 

  2. Kim, B.S., Jin, S.E., and Chang, S.R. (2018). "Measurement of Incident-reporting Rate for Developing a Leading Indicator of Safety Cul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33(6), pp. 93-101. 

  3. Kim, S.H. (2017). "A Study on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 for construction site." Korea University. 

  4. Lee, J.B. (2012). "Measurement of Severity of Hazards and Investment in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ccording to Ship Type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7(1), pp. 105-110. 

  5.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KOSHA (2017). Industrial Disaster Occurrences. 

  6.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KOSHA (2015). Guide for Risk Assessment. 

  7. OSHA (2015). Incident investigations: a guide for employers. https://www.osha.gov/dte/IncInvGuide4Empl _Dec2015.pdf 

  8. Song, D.H. (2010). "Safety Management Priority Classified by Participants in Planning & Design Stages."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5(1), pp. 50-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