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세대 유산균 포스트바이오틱스
Postbiotics: Next-Gen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원문보기

축산식품과학과 산업, v.9 no.1, 2020년, pp.11 - 19  

홍성욱 (세계김치연구소 미생물기능성연구단)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기고문에서는 1세대 유산균부터 최근 새롭게 등장하는 차세대 포스트바이오틱스까지 국내외 연구 와 동향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최신 지견을 소개하고자 한다.
  • 또한 장내미생물은 건강에 좋은 영향을 주는 유익균과 질병을 야기하는 유해균, 때때로 유익균이 되기도 하고, 유해균이 되기도 하는 대부분의 미생물(중간균)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프로바이오틱스와 같은 유익균과 중간균이 유해균의 증식과 기능을 억제하면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Frick과 Autenrieth, 2013). 이와 같이 프로바이오틱스가 장내에 정착하여 유익한 작용을 하는 포스트바이오틱스 대사산물을 생산함으로써 장내 미생물의 밸런스를 유지하고, 장 건강 및 만성질환 예방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가설 설정

  •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도 프로바이오틱스는 ‘건강에 좋은 효과를 주는 살아있는 균‘이라 정의하면서 내산성과 담즙산 내성을 보유하고 소장까지 이동, 증식 및 부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장에서 유효한 효능을 나타내며, 비병원성 및 독성이 없어야 한다고 제한하였다. 국내 식약처의 건강기능식품 공전(2019년)에 따른 기준 및 규격으로 허가된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가능한 균주는 19종이다(표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guilar-Toala JE, Garcia-Varela R, Garcia HS, Mata-Haro V, Gonzalez-Cordova AF, Vallejo-Cordoba B, Hernandez-Mendoza A. 2018. Postbiotics: An evolving term within the functional foods field. Trends Food Sci Technol 75:105-114. 

  2. Anukam KC, Reid G. 2007. Probiotics: 100 years (1907-2007) after Elie Metchnikoff's observation. In Mendez-Vilas A (ed). Communicating current research and educational topics and trends in applied microbiology. Formatex, Spain. pp 466-474. 

  3. Carrie AMW, Sharon YG, Jan K, Guus R, Clara B. 2019. Postbiotics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in early life nutrition and beyond. Int J Mol Sci 20:4673-4696. 

  4. Cherifi S, Robberecht J. Miendje Y. 2004. Saccharomyces cerevisiae fungemia in an elderly patient with Clostridium difficile colitis. Acta Clin Belq 59:223-224. 

  5. Cunningham-Rundles S, Ahrne S, Bengmark S, Johann-Liang R, Marshall F, Metakis L, Califano C, Dunn AM, Grassey C, Hinds G, Cervia J. 2000. Probiotics and immune response. Am J Gastroenterol 95:S22-25. 

  6.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World Health Organization [FAO/WH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World Health Organization health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probiotics in food including powder milk with live lactic acid bacteria. http://www.who.int/foodsafety/publications/fs_management/probiotics 

  7.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World Health Organization [FAO/WHO].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probiotics in food. In joint FAO/WHO working group on drafting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probiotics in food; WHO: London, Ontario, Canada, 2002. 

  8. Frick JS, Autenrieth IB. 2013. The gut microflora and its variety of roles in health and disease. Curr Top Microbiol Immunol 358:273-289. 

  9. Gibson GR, Roberfroid MB. 1995. Dietary modulation of the human colonic microbiota: Introducing the concept of prebiotics. J Nutr 125:1401-1412. 

  10. De Groote MA, Frank DN, Dowell E, Glode MP, Pace NR. 2005. Lactobacillus rhamnosus GG bacteremia associated with probiotic use in a child with short gut syndrome. Pediatr Infect Dis 24:278-280. 

  11. Heselmans M, Reid G, Akkermans LM, Savelkoul H, Timmerman H, Rombouts FM. 2005. Gut flora in health and disease: Potential role of probiotics. Curr Issues Intest Microbiol 6:1-7. 

  12. Ledoux D, Labombardi VJ, Karter D. 2006. Lactobacillus acidophilus bacteraemia after use of a probiotic in a patient with AIDS and Hodgkin's disease. Int J Std AIDS 17:280-282. 

  13. Mackay AD, Taylor MB, Kibbler CC, Hamilton-Miller JM. 1999. Lactobacillus endocarditis caused by a probiotic organism. Clin Microbiol Infect 5:290-292. 

  14. Noverr MC, Huffnagle GB. 2004. Does the microbiota regulate immune responses outside the gut. Trends Microbiol 12:562-568. 

  15. Ohishi A, Takahashi S. Ito Y, Ohishi Y, Tsukamoto K, Nanba Y, Ito N, Kakiuchi S, Saitoh A, Morotomi M, Nakamura T. 2010. Bifidobacterium septicemia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probiotic therapy in a neonate with omphalocele. J Pediatr 156:679-681. 

  16. Roberfroid M. 2007. Prebiotics: The concept revisited. J Nutr 137:830-837. 

  17. Parvez S, Malik KA, Ah KS, Kim HY. 2006. Probiotics and their fermented food products are beneficial for health. J Appl Microbiol 100:1171-1185. 

  18. Saarela M, Lahteenmaki L, Crittenden R, Salminen S, Mattila-Sandholm T. 2002. Gut bacteria and health foods-the European perspective. Int J Food Microbiol 78:99-117. 

  19. Sanchez B, Delgado S, Blanco-Miguez A, Lourenco A, Gueimonde M, Margolles A. 2017. Probiotics, gut microbiota, and their influence on host health and disease. Mol Nutr Food Res 61:1600240. 

  20. Zein EF, Karaa S, Chemaly A, Saidi I, Daou-Chahine W, Rohban R. 2008. Lactobacillus rhamnosus septicemia in a diabetic patient associated with probiotic use: A case report. Ann Biol Clin 66:195-198. 

  21. 홍성욱. 2019. 장내 유익균 프로바이오틱스 살리는 식단 프리바이오틱스.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e-생물산업 웹진. 3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