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용로봇기반 SW융합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협업능력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ducational Robot-based SW Convergence Education on Primary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Collaborative and Communication Skills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4 no.2, 2020년, pp.131 - 138  

최형신 (춘천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이정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프트웨어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문제의 해결책을 정보처리 체계에 의해 효과적으로 처리되도록 문제를 구성하고 자신의 사고를 제시할 수 있는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더욱이 이 컴퓨팅 사고력이 발현되는 문제해결의 장이 실제적인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의미 있는 문제해결의 경험을 제공해 줄 때 더 바람직한 소프트웨어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교육에서 구체적인 결과물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교육용 로봇을 활용하여 학습자가 몰입하여 해결할 수 있는 사회적 문제 상황 속에서 로봇과 프로그래밍을 결합하여 동료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로봇기반 SW융합수업을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그 효과를 컴퓨팅 사고력과 사회적 역량(협업능력과 의사소통능력)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초등교육 현장에서 사회적 맥락을 가진 문제해결상황에서 컴퓨팅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는 교육용로봇기반 SW융합수업 사례를 제공하고, 이 수업의 효과성을 컴퓨팅 사고력과 사회적 역량의 관점에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software education is to increase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CT) skills that they can compose problems and provide solutions which can be carried out effectively by information-processing systems. Furthermore, if problem solving situations can provide students with meaningful prob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협업 프로젝트 과정에서 로봇을 통해 실제로 프로그래밍이 이루어지는 것을 시각적으로 함께 보면서 학습자들은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팀원 간 의사소통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은 촉진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팀프로젝트기반수업으로 문제해결형 교육용로봇기반SW융합교육을 설계하고 그 효과성을 보고자하였으며, 효과성 변인으로컴퓨팅 사고력, 협업능력, 의사소통능력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SW교육에서 구체적인 결과물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교육용 로봇[1]을 활용하여 학습자가 몰입하여 해결할 수 있는 사회적 문제 상황 속에서 로봇과 프로그래밍을 결합하여 동료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SW융합수업을설계하고 운영하였다. 또한 이러한 교육용로봇기반 SW융합수업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과 사회적 역량(협업능력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SW교육에서 구체적인 결과물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교육용 로봇[1]을 활용하여 학습자가 몰입하여 해결할 수 있는 사회적 문제 상황 속에서 로봇과 프로그래밍을 결합하여 동료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SW융합수업을설계하고 운영하였다. 또한 이러한 교육용로봇기반 SW융합수업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과 사회적 역량(협업능력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로봇기반 SW융합교육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과 협업능력 및 의사소통능력과 같은 사회적 요인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4학년 대상 로봇기반 SW융합교육은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ers, M. U. (2018). Coding as a playground. New York: Routledge. 

  2. Chai, S., & Chun, S. (2015). The Effects of STEAM-based Programming Education with Robot on Creativity and Charact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9(2), 159-166. 

  3. Choi, Y., Noh, J., Lim, Y., Lee, D., Lee, E., & Noh, J. (2013). The Development of the STEAM literacy measurement instrument for elementary, junior-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13(2), 177-198. 

  4. Cuny, J., Snyder, L., & Wing, J. (2010). Demystifying computational thinking for non-computer scientists. Unpublished manuscript, referenced in http://www.cs.cmu.edu/-CompThink/resources/ TheLinkWing.pdf. 

  5. Denis, B., & Hubert, S. (2001). Collaborative learning in an educational robotics environment. Computer Human Behavior, 17(5), 465-480. 

  6. Kim, S. W., & Lee, Y. (2019). Development of Project-based Robot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Interest toward Robots and Computational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4(1), 247-255. 

  7. Kim, Y., & Kim, J. (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oftware Education Program of App Inventor Utilization for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Girls’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9(4), 385-398. 

  8. Kong, S-C., Chiu, M. M. & Lai, M. (2018). A study of primary school students' interest, collaboration attitude, and programming empowerment in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Computers & Education. 127, 178-189. 

  9. Lee, J., Park, H., & Choi, H. (2018). Effects of SW Education Using Robots on Computational Thinking, Creativity, Academic Interest and Collaborative Skil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2(1), 9-21. 

  10. Noh, J., & Lee, J. (2017). The effects of SW education using robot on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1(3), 285-296. 

  11. Papert, S. (1980). Mindstorms: Children, Computers, and Powerful Ideas. New York: Basic Books. 

  12. Park, Y., & Jeong, I. (2017). Assess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on Bebras tasks.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Research Journal, 8(1), 27-31. 

  13. Saez-Lopez, J.-M., Roman-Gonzalez, M., & Vazquez-Cano, E. (2016). Visual programming languages integrated across the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A two year case study using "Scratch" in five schools. Computers & Education, 97, 129-141. 

  14. Saez-Lopez, J., Sevillano-Garcia, M. & Vazquez-Cano, E. (2019). The effect of programming on primary school students' mathematical and scientific understanding: educational use of mBot. Educ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67, 1405-1425. 

  15. Seo, Y., & Lee, Y. (2010). A subject integration robot programming instruction model to enhance the creativity of information gifted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3(1), 19-26. 

  16. Yoon, H., & Kim, S. (2001).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applying Jigsaw II on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achievement, self-esteem & cooperation. Studies on Education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13(2), 194-211. 

  17. You, I. (2014). Design a plan of robot programming education using tools of web 2.0.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8(4), 499-508. 

  18.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19(3), 33-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