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편적 빅데이터와 빅데이터 교육의 방향성 연구 - 빅데이터 전문가의 인식 조사를 기반으로
Study on the Direction of Universal Big Data and Big Data Education-Based on the Survey of Big Data Experts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4 no.2, 2020년, pp.201 - 214  

박윤수 (중앙대학교) ,  이수진 (중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데이터 관련 법안이 개정되면서 빅데이터의 활용 분야는 점차 확장되고 있으며, 빅데이터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지식과 스킬이 필요하고, 이를 모두 교육하기에는 오랜 시간과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광범위한 영역의 빅데이터를 보편적 빅데이터(Universal Big Data)로 정의하고, 대학교 수준에서 보편적 빅데이터를 교육하기 위해서 중점적으로 교육해야 할 지식 영역을 산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전문인력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설문 조사를 통해 빅데이터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전문가들은 컴퓨터과학에서 의미하는 빅데이터보다 광범위한 범위의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빅데이터의 가공 과정에 반드시 빅데이터 처리 프레임워크 또는 고성능 컴퓨터가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빅데이터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과학(공학)적 지식과 스킬보다는 빅데이터의 분석 방법과 응용 방법을 중심으로 교육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보편적 빅데이터 교육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g data is gradually expanding in diverse fields, with changing the data-related legislation. Moreover it would be interest in big data education. However, it requires a high level of knowledge and skills in order to utilize Big Data and it takes a long time for education spends a lot of money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관련 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빅데이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편적 빅데이터의 개념을 정의하고자 한다. 나아가 보편적 빅데이터를 교육하기 위해 어떤 영역의 지식을 교육해야 하는지 그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빅데이터 교육의 확산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가설을 세웠다.
  • 문항 Q4는 현재 소속된 기업 또는 교육기관에서 응답자가 담당하는 업무가 빅데이터 또는 인공지능과 관련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문항이고, 문항 Q5는 응답자가 담당한 직무가 빅데이터 비즈니스 또는 빅데이터 개발 영역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문항이며, 문항 Q6는 응답자의 경력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이다. 문항 Q4에서부터 문항 Q6까지는 비즈니스와 개발의 두 축을 중심으로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문항 Q7에서부터 문항 Q9까지는 전문가의 입장에서 빅데이터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으로 가설 1과 가설2를 검증하기 위해 선정했다.
  •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을 바탕으로 보편적 빅데이터 활용의 개념을 도출하기 위해 빅데이터 인식에 대한 세 가지 가설을 세웠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관련 산업 종사자를 분류하는 기준을 마련하고, 전문가 33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 4장에서는 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5장에서는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빅데이터 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정의와 교육의 주안점 그리고 교육 영역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교육 방향성을 제시하는 틀을 마련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 2장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컴퓨터과학에서 정의하는 빅데이터는 산업 현장에서 의미하는 빅데이터와 의미가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관련 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빅데이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편적 빅데이터의 개념을 정의하고자 한다. 나아가 보편적 빅데이터를 교육하기 위해 어떤 영역의 지식을 교육해야 하는지 그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빅데이터 교육의 확산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빅데이터를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렵고, 빅데이터를 전문적으로 교육한다 하더라도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모든 지식(Knowledge)과 스킬(Skills)을 반영해서 교육하기 위한 지침서가 없으며, 전문적인 시설과 환경을 갖추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광범위한 영역의 빅데이터를 정의하고, 빅데이터 확산을 위한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SW 기술자 등급’을 참고하여 빅데이터 전문가를 분류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Forbes(2019). The 7 Biggest Technology Trends That Will Transform Telecoms In 2020. Retrieved from https://www.forbes.com/ 

  2. Forbes(2020). Why 2020 Will Be The Year Enterprise Applications Go Cloud Native. Retrieved from https://www.forbes.com/ 

  3. Gartner(2020). Gartner Top 10 Strategic Technology Trends for 2020. Retrieved from https://www.gartner.com/ 

  4. Pena-Lopez, Ismael(2017). OECD digital economy outlook 2017. 

  5. Schwab, Klaus(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urrency. 

  6. Chulho Jang, & Minseop Kim(2019). A Study on the Contribution of Data Industry to the Korean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Journal of Economics Studies, 37(4), 1-22. 

  7. Rajaraman, Anand, & Jeffrey David Ullman(2011). Mining of massive datase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Joon-Soo Kim(2018). Big Data Monthl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42, 2018. 

  9. Kyoo-Sung Noh, Seong Taek Park, & Kyung-Hye Park(2015). Convergence Study on Big Data Competency Reference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3), 55-64. 

  10. Hyun Min Song(2015). A Study of Development for job Competency in the bigdata using DACUM method, Korea University master's thesis. 

  11. Korea Data Agency(2018). 2018 Data Industry Survey, Korea Data Agency. 

  12. Do-Sik Choi(2017). Problems of Big Data Analysis Education and Their Solution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265-274. 

  13. SeungHwa Jung, & Jaewoo Do(2019). Case Study on Operation of Big Data Educational Program,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JOEC), 25(5), 621-640. 

  14. Hwa-Min Jeong, & Youngsook Song(2019).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Big Data Training - Based on Perception of Participants in Consortium for HRD Ability Magnified Program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JLCCI), 18(4), 29-45. 

  15. Eun-Han Jeong, & Kyng-Ihl Kim(2018). A Study on Improvement of Accounting Curriculum in Big Data Ag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JCIT), 8(5), 142-152. 

  16. Hunkoog Jho(2017). The changes of higher education and the tasks of gene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1(2), 52-89. 

  17. Gandomi Amir, & Murtaza Haider(2015). Beyond the hype: Big data concepts, methods, and analy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5(2), 137-144. 

  18. Apache Hadoop. Retrieved from https://hadoop.apache.org/ 

  19. Traffic information of Seoul. Retrieved from http://news.seoul.go.kr/ 

  20. Jong Soo Park, & Keumsook Lee(2015). Time-distance accessibility computation of Seoul bus system based on the T-card transaction big databases,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18(4), 539-555. 

  21. Hee Jeoung Moon(2019). A Study on Visualizing Method and Expression for Big Data, Smart Media Journal, 8(1), 59-66. 

  22. Soo-Hyung Park(2016). Report on research results to develop data experts (Kdata 16-013), Korea Data Agency. 

  23. Ji Hei Kang(2016).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Data Science curriculu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its direc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3), 343-363. 

  24. Wooje Cho(2018). Creating Value for Education through Big Data Analysis Education Programs, The Korean Journal of Bigdata 3(2), 123-130. 

  25. Youn-Soo Park, & Minjeong Lee(2020). A Study on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of University by Reflecting Learner's Perception and Instructor's Opin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4(1), 167-191. 

  26. Ji-Wun Jung(2018).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items for big data analysis article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7. Korea Policy Briefing. Retrieved from http://www.korea.kr/ 

  28. Armbrust Michael, Fox Armando, Katz Randy, & Konwinski Andy(2010). A view of cloud comput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53(4), 50-58. 

  29. Botta Alessio, Donato Walterde, Persico Valerio, & Pescape Antonio(2016). Integration of cloud computing and internet of things: a survey, Future generation computer systems, 56, 684-700. 

  30. Announcement of average wages for SW engineers in 2018. Retrieved from https://www.sw.or.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