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STM을 활용한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
Forecasting the Container Volumes of Busan Port using LSTM 원문보기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36 no.2, 2020년, pp.53 - 62  

김두환 (동아대학교 스마트물류연구센터) ,  이강배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운항만물류산업은 세계 경제활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항만 시설은 중요한 사회간접자본시설이다. 부산항은 우리나라 최대의 항만으로 우리나라 컨테이너 운송의 75%가 부산항을 통해 운송되고 있으며, 국가 경쟁력 측면에서 그 중요성은 매우 크다. 항만 물동량 예측은 항만 개발 및 운영 전략에 영향을 미치며, 정확도 높은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오늘날 해운항만물류산업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기존 시계열 예측 방법으로는 예측 정확도 향상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해 딥러닝 모형LSTM 모형을 활용하여 컨테이너 물동량을 예측한다. 모형의 성능 평가를 위해서 SARIMA 모형과 LSTM 모형의 예측 정확도를 비교한다. 그 결과 LSTM 모형이 SARIMA 모형보다 예측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예측치가 실측치의 특성을 반영하여 잘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ritime and port logistics industry is closely related to global trade and economic activity, especially for Korea,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trade. As the largest port in Korea, Busan Port processes 75% of the country's container cargo; the port is therefore extremely important in term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허브 항만인 부산항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2004년부터 2018년까지의 월별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 자료를 활용하여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을 예측한다.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을 위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지만, 해운 항만물류산업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컨테이너 물동량 흐름의 변동성과 복잡성이 증가하여 기존 시계열 예측 방법으로는 예측 정확도 향상에 어려움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기법 중 LSTM 모형을 활용하여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을 시도하였으며, 이는 딥러닝을 활용한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 및 분석과 관련된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정확도 높은 예측치를 바탕으로 해운항만물류산업 및 항만 운영 이해관계자들에게 항만 개발 및 시설 확장을 위한 투자 의사 결정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터미널 운영 및 장비 활용 계획, 컨테이너 물동량 유치를 위한 마케팅 계획과 같은 항만 운영 전략 수립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최적의 하이퍼파라미터를 찾기 위해 과 같이 하이퍼파라미터 입력 값에 대해서 반복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 대표적인 시계열 예측 모형인 ARIMA 모형은 계절 변동이나 추세가 잘 반영되어 있고, 시계열 자료의 패턴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경우에는 예측 정확도가 높게 나타나지만, 불규칙하고 변동성이 큰 경우에는 예측력이 떨어지고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해 비선형 모델링 (non-linear modeling)이 가능한 딥러닝(Deep Learning) 모형 중 LSTM(Long Short-Term Memory) 모형을 활용하여 컨테이너 물동량을 예측 한다. 모형의 성능 평가를 위해서 SARIMA(Seasonal ARIMA) 모형과 LSTM 모형의 예측 정확도를 비교하여 모형의 객관적인 성능을 검증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 물동량 흐름의 변동성과 복잡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의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 딥러닝 기법 중 LSTM 모형을 활용한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 모형을 개발ㆍ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만 물동량 예측이란? 항만 물동량 예측은 항만 경쟁력 향상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며, 항만 물동량 자료에 기초하여 시설 투자계획, 항만운영계획 등이 수립된다. 많은 선행 연구에서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모형, 인과모형, 회귀분석 등의 다양한 시계열 예측 모형을 활용하여 항만 물동량을 예측하였다.
시계열 예측 모형을 활용하여 항만 물동량을 예측할 경우의 문제점은? 많은 선행 연구에서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모형, 인과모형, 회귀분석 등의 다양한 시계열 예측 모형을 활용하여 항만 물동량을 예측하였다. 하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항만 물동량 흐름의 변동성과 복잡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선박의 대형화, 기항지의 축소와 같은 해운항만물류산업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기존 시계열 예측 방법으로는 예측 정확도 향상에 어려움이 있다(Xie, et al., 2015).
항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요구되는 것은? 또한 시설 확보가 시의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물류비 상승, 수출입 경쟁력 약화, 사회적 손실 발생 등으로 항만 경쟁력이 하락한다(김범 중, 2010). 항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항만의 면적 대형화를 통해 취항 선사 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항만의 관리 운영이 요구되며(신계선, 2007), 항만에 입항하는 선박이 신속하게 하역작업을 완료 하고 출항할 수 있도록 선박의 체선 시간을 줄이는 것이 항만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로 이를 위해서는 항만 시설의 적절한 확장이 필요하다(이민규,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고병욱.윤희성.김은수.최건우(2018), 컨테이너 해상물동량 예측 모형 연구, KMI. 

  2. 김범중(2010), 항만시설 확보의 중요성에 대하여, 해양물류연구, 제7권, 5-14. 

  3. 김정훈(2008),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부산 북항의 물동량 예측,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권 제2호, 1-17. 

  4. 김종길(2011), SD기법과 ARIMA를 적용한 컨테이너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5. 김창범(2007), 해상운송의 물동량 예측과 항만물류정책,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권 제1호, 149-162. 

  6. 민경창.하헌구(2014), SARIMA 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 한국교통학회지, 제32권 제6호, 600-614. 

  7. 신계선(2007), 항만경쟁력 결정요인 분석과 부산 신항의 발전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권 제1호, 115-148. 

  8. 신창훈.강정식.박수남.이지훈(2008), 하이브리드 ARIMA -신경망 모델을 통한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2권 제1호, 81-88. 

  9. 이민규(2012), 항만 서비스 혁신 관점에서의 선박 재항시간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혁신학회지, 제7권 제1호, 51-69. 

  10. 이재득(2013), 승법계절 ARIMA 모형에 의한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 추정과 예측,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9권 제3호, 1-23. 

  11. 이지원(2008), 컨테이너 물동량을 이용한 인공신경망과 ARIMA 모형의 예측력 비교에 관한 연구, 해양대학교. 

  12. 전찬영.송주미(2006),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항만물동량 예측 활용방안 연구, KMI. 

  13. 조준호.변제섭.김희철(2017), 글로벌 해운시장 현황 분석 및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부산신항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295-303. 

  14. Brooks, M., Pallis, T. and Perkins, S.(2014), Port investment and container shipping markets, International Transport Forum Discussion Papers(OECD), No. 2014/03. 

  15. Chen, S. H. and Chen, J. N.(2010), Forecasting Container Throughputs at Ports Using Genetic Programming,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37(3), 2054-2058. 

  16. Chung, J., Gulcehre, C., Cho, K. and Bengio, Y.(2014), Empirical evaluation of gated recurrent neural networks on sequence modeling, arXiv preprint arXiv:1412.3555. 

  17. Ding, M. J., Zhang, S. Z., Zhong, H. D., Wu, Y. H. and Zhang, L. B.(2019). A Prediction Model of the Sum of Container Based on Combined BP Neural Network and SVM,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15(2), 305-319. 

  18. Fang F. P. and Fang X. F.(2013), Multivariant forecasting mode of Guangdong province port throughput with genetic algorithms and Back Propagation neural network,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96, 1165-1174. 

  19. Hochreiter, S. and Schmidhuber, J.(1997), Long short-term memory, Neural computation, 9(8), 1735-1780. 

  20. LeCun, Y., Boser, B., Denker, J. S., Henderson, D., Howard, R. E., Hubbard, W. and Jackel, L. D.(1989), Backpropagation applied to handwritten zip code recognition, Neural computation, 1(4), 541-551. 

  21. LeCun, Y., Bottou, L., Bengio, Y. and Haffner, P.(1998), Gradient-based learning applied to document recognition, Proceedings of the IEEE, 86(11), 2278-2324. 

  22. LeCun, Y., Bengio, Y. and Hinton, G.(2015), Deep learning, Nature, 521(7553), 436-444. 

  23. Meersman, H., Van de Voorde, E. and Vanelslander, T.(2003), Port pricing. Considerations on economic principles and marginal costs, European Journal of Transport and Infrastructure Research, 3(4), 371-386. 

  24. Raschka, S.(2018), Model evaluation, model selection, and algorithm selection in machine learning, arXiv preprint arXiv:1811.12808. 

  25. Reimers, N. and Gurevych, I.(2017), Optimal hyperparameters for deep lstm-networks for sequence labeling tasks, arXiv preprint arXiv:1707.06799. 

  26. Xie, G., Wang, S., Zhao, Y. and Lai, K. K.(2013), Hybrid approaches based on LSSVR model for container throughput forecasting: a comparative study, Applied Soft Computing, 13(5), 2232-2241. 

  27. Zhang, C., Huang, L. and Zhao, Z.(2013), Research on combination forecast of port cargo throughput based on time series and causality analysis, Journal of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6(1), 124-1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